-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한 법정리. 가내리(佳內里)는 가내1리, 가내2리, 가내3리로 이루어지며 신창면의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주요 소득원은 벼 재배이고 인삼을 재배하거나 한우를 키우는 농가도 있다. ‘가내리’라는 명칭은 1914년 가리(佳里)와 언내리(堰內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가내리는 본래 신창군 북면에...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덕리(佳德里)는 가덕1리와 가덕2리로 이루어지며 신창면 북부에 있는 마을로 주민들은 주로 벼농사를 짓고 있으며 밭농사도 일부 짓는다. ‘가덕리’라는 명칭은 1914년 가야리(佳野里)와 덕동(德洞)을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가덕리는 본래 신창군 북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산리(佳山里)는 가산1리와 가산2리로 이루어지며 선장면의 북쪽에 있는 마을로 농업이 주요 소득원이지만 인근 공장이나 회사에 취업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가산리’라는 명칭은 1914년 가락리(佳樂里)와 굴산동(堀山洞)을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가산리는 본래 천안군 돈의면에...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속하는 법정리. 갈매리(葛梅里)는 갈매1리, 갈매2리, 갈매3리로 이루어지며 주로 농사를 짓는 농촌마을이었으나 현재는 주민의 85%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갈매리’라는 지명은 지형이 거머리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갈매1리인 암소고개는 그머리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지형이 암소가 누워 있는 모양과 같다 하여 ‘암소고개’ 또는...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갈산리(葛山里)는 갈산1리, 갈산2리로 이루어졌으며 넓은 들판이 있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으나 선문대학교 아산캠퍼스가 들어선 이후 시가지가 새로 형성되고 상업시설이 들어서는 등 변화를 겪고 있다. ‘갈산리’라는 명칭은 전래 지명인 갈미마을에서 유래하였다. 갈미마을의 ‘갈’은 길이나 산줄기 등이 ‘갈라지다’는 의미를 지닌...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강당리(講堂里)는 국도 39호선을 기준으로 입구 쪽[북서쪽]인 벌뜸 지역의 강당2리, 안쪽[남동쪽] 강당골 지역의 강당1리 등 2개 리로 이루어져 있다. 강당리는 조선 후기 유학자 외암 이간(李柬)의 외암정사라는 강학 공간이 있어서 흔히 ‘강당골’이라 하였고 마을 이름도 강당골에서 비롯되었다. 강당...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강장리(江長里)는 강장1리와 강장2리로 이루어진 농촌마을로 2015년 예꽃재마을이라는 33세대의 전원마을이 조성되었다. 강장리는 강씨와 장씨가 많이 거주하여 ‘강장리’라 했다고 한다. 강장리는 본래 온양군 남상면에 속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강장리, 인아리, 지라리를 병합하여 강장리...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강청리(江淸里)는 뒤에는 영인산(靈仁山)을 등지고 마을 앞으로는 곡교천이 흐르는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농촌마을이다. 강청리는 본래 아산군 삼서면(三西面) 지역으로, 돌이 많아 영인산의 물이 돌 아래로 흘러 시냇물이 늘 말라 있으므로 건천동(乾川洞)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강척골 또는 강청리라 부르게 되...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거산리(巨山里)는 거산1리와 거산2리로 이루어졌으며 송악면은 물론 아산시에서도 가장 남쪽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거산리는 산이 매우 크고 숲이 울창한 산골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거산리는 본래 온양군 남상면에 속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거산리, 용두원, 성동, 구만리를 병합...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걸매리(傑梅里)는 인주면 소재지 북쪽에 있으며 바다와 면하여 갯벌이 보존되어 있는 마을이다. 간척지가 조성되어 논농사가 이루어지며, 걸매리의 상당 부분을 인주일반산업단지가 차지한다. ‘걸매리’라는 명칭은 새롭게 개척된 넓은 황무지란 뜻의 우리말 ‘걸매’를 한자를 빌려 ‘걸매(傑梅)’로 쓴 데서 유래한다....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 곡교리(曲橋里)는 곡교1리와 곡교2리로 이루어지며 평야에 형성된 마을로 주민 다수가 농업에 종사한다. 곡교리는 조선시대에 곡교천(曲橋川)에 섶다리를 놓았는데, 그 다리가 휘어져 ‘다리가 굽었다’는 의미의 고분다리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곡교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아산군 근남면(近南面...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공세리(貢稅里)는 공세1리~공세6리로 이루어지며 인주면의 북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예전에는 수로 교통의 요충지여서 조세미를 모아두는 공세곶창[공진창]이 있었으며, 현재에는 국도 34호선과 국도 39호선이 교차하고, 아산만방조제를 지나는 국도 38호선이 평택시로 이어지는 아산시 육로 교통의 요충지이다. 공세리는...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속하는 법정리. 공수리는 공수1리~공수21리의 21개 리로 이루어지며, 배방읍의 중심 지역으로 행정기관과 금융기관, 편의시설 등이 밀집해 있다. 공수리는 백제 제21대 개로왕 시절 ‘공수(公須)’라는 이름을 가진 칠순 노파가 이곳에 최초로 터를 잡고 살아 그 이름을 따 공수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전설과, 조선시대에 관아의 경비...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관대리(館垈里)는 둔포면의 한가운데 있는 마을로 북동 지역을 제외하고는 동서는 좁고 남북으로 길쭉한 모양이다. 예로부터 교통이 편리하여 조선시대 천안부(天安府) 모산면(毛山面)의 행정 중심지였다. 관대리는 모산부곡(毛山部曲)과 모산면사무소가 있었으므로 관터 또는 관대라 부른 것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관암리(觀巖里)는 관암1리와 관암2리로 이루어지며 인주면소재지 남쪽에 인접한 마을로 주민의 80%가 농업에 종사한다. ‘관암리’라는 명칭은 1914년 관청동(觀淸洞), 암사동(巖寺洞)을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관암리는 본래 아산군 일서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속하는 법정리. 구령리(九靈里)는 구령1리와 구령2리로 이루어진다. 구령1리인 구렁이마을은 구령들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고, 구령2리인 수청리는 배방역 부근으로 인구 수가 100여 명이 더 많다. 구령리는 그 지형이 구렁이와 같으므로 ‘구렁이’ 또는 ‘구령’이라 하기도 하고, 또 다른 이유로는 아홉 명의 성현이 신선이 되어 승...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성리(九星里)는 구성1리, 구성2리, 구성3리로 이루어지며 영인면소재지에서 북쪽으로 5~6㎞ 지점에 있는데, 넓은 평야에서 생산되는 쌀은 우수한 청결미로 이름이 높다. ‘구성리’라는 명칭은 1914년 구산리(龜山里)와 신성리(新星里)을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이때 일제가 구산리의 ‘구산...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군덕리(君德里)는 군덕1리, 군덕2리, 군덕3리로 이루어지며 선장면행정복지센터가 있는 마을로 도농복합적인 성격을 띠나 주민들의 주요 소득원은 농업이다. ‘군덕리’라는 명칭은 1914년 군자동(君子洞)과 하덕리(下德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군덕리는 본래 신창군 대서면 지역이...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궁평리(宮坪里)는 궁평1리, 궁평2리, 궁평3리로 이루어지며 선장면의 중심에 있는 마을로 주민들의 주요 소득원은 벼농사이다. 궁평2리에는 청동기시대 유적인 궁평리유적이 있다. ‘궁평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궁리(新宮里)와 신평리(新坪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궁평리는 본...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궁평리(宮坪里)는 송악면의 한가운데 있는 마을로 송악저수지 남쪽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다. 농경지도 거의 없는 상황이어서 전업농은 드물고 직장생활이나 개인사업을 하면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 궁평리는 북서 지역의 궁들마을에서 이름을 따왔다. ‘궁’은 ‘구유’를 뜻하고 한자로 표기할 때 주로 ‘궁(宮)...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궁화리(宮華里)는 궁화1리와 궁화2리로 이루어지며 신창면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주업은 농업이고 다양한 밭작물을 재배하여 소득을 올리고 있다. ‘궁화리’라는 명칭은 1914년 궁동(宮洞)과 화산리(華山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궁화리는 본래 신창군 북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3동에 속하는 법정동. 권곡동(權谷洞)은 행정동인 온양3동의 관할을 받으며 권곡1통~권곡12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권곡동은 조선시대 ‘권고랑리’에서 ‘권곡리(權谷里)’로 표기한 기록이 남아 있다. 마을이 우묵하고 물이 적어 마른 구덩이라는 의미의 ‘건구렁’에서 접미사 ‘이’가 붙어 생긴 이름이다. 권곡동은 본래 온양군...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산리(金山里)는 금산1리, 금산2리, 금산3리로 이루어지며 도고면의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주민들은 주로 벼농사를 지으며 축산업을 하는 농가도 있다. ‘금산리’라는 명칭은 1914년 금곡리(金谷里)와 산정리(山井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금산리는 본래 신창군 남상면에 속하였...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금성리(金城里)는 인주면의 남쪽에 있는 마을로 주민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한다. 북쪽으로 현대자동차 아산공장이 있으며, 마을 뒷산에는 테뫼식 토축산성인 금성리산성이 있다. ‘금성리’라는 명칭은 1914년 금곡리(金谷里)와 성동(城洞)을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금성리는...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 기곡리(基谷里)는 도고면의 북쪽에 있는 마을로 기곡1리, 기곡2리, 기곡3리로 이루어진다. 도고온천이 있어서 파라다이스스파도고 등 각종 휴양시설과 숙박시설, 음식점 등이 들어서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많다. ‘기곡리’라는 이름은 『여지도서』에 신창현 서쪽 소서면에 ‘기곡리’라는 명칭이 기록되어 있어 오래된 지명임을...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5동에 속하는 법정동. 기산동(岐山洞)은 행정동인 온양5동의 관할을 받으며 기산1통~기산2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산동의 ‘기산(岐山)’은 ‘거리미’라고 하며 온양군과 신창군의 갈림이라는 의미이다. 기산동은 본래 온양군 서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에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기산리, 성산리와 신평리, 지라리를 병합하여 기...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6동에 속하는 법정동. 남동(南洞)은 행정동인 온양6동의 관할을 받으며 통은 나누어지지 않고 단통이다. ‘남동’은 온양군 군내면의 남쪽 끝에 있어서 남리(南里)라 부른 데서 이름이 유래한다. 남동은 본래 온양군 군내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이북면 판교리를 병합하여 남리라 하고 아산군 배방면에 편입되었다....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남성리(南城里)는 남성1리~남성13리로 이루어지며 신창면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남성1리~남성3리는 농촌마을이지만 남성4리~남성13리는 아파트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1980년대 이후 아산만 개발사업과 더불어 배후 주거지역으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현재는 상주인구 1만 명이 넘는 도시로 발전하였다. ‘남성리’라는 명...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냉정리(冷井里)는 인주면소재지 동남쪽에 있는 전형적인 산골마을로 농업용수를 공급해 주는 냉정저수지가 있으며 대부분 주민들의 생업은 농업이다. ‘냉정리’라는 명칭은 마을에 찬[냉(冷)] 우물[정(井)]이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냉정리는 본래 아산군 일서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농은리(農隱里)는 도고면의 남단에 있는 마을로 주민들의 주업은 농업이며 대부분 벼농사를 짓는다. 마을이 험한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어 고라니와 멧돼지 등 산짐승의 피해를 입기도 한다. ‘농은리’라는 명칭은 1914년 농산리(農山里)와 자은리(自隱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대동리(大同里)는 마을을 산이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며, 주민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는 농촌마을이다. 대동리는 큰 골짜기가 있다 하여 ‘대동(大同)’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대동리는 본래 아산군 원남면의 지역으로서 황골·황곡이라고도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대중리와...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음리(大音里)는 대음1리, 대음2리, 대음3리로 이루어지며 주민들 대부분은 장완들 및 간척지를 이용한 농업에 종사한다. 현대자동차 아산공장 건립으로 마을 규모가 상당히 커졌으며 주변에 상가가 밀집되어 상업지역으로 급부상 중이다. ‘대음리’라는 명칭은 1914년 대각리(大角里)와 동음리(冬音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대정리(大井里)는 선장면의 남서쪽에 있는 작은 마을로 대부분의 지역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민들의 주업은 농업이다. ‘대정(大井)’은 한자로 ‘큰 우물’이라는 뜻으로 갯물이 들어오지 못하게 신덕리에서 장곳리에 이르는 긴 갯둑을 쌓아 그곳에 물이 고여 큰 우물이 생겼으므로 ‘한우물’ 또는 ‘대정’이라 부르게...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흥리는 대흥1리~대흥4리로 이루어지며 선장면의 중심부에 있는 마을로 주업은 농업이지만 목축업이나 과수업을 하는 농가도 있다. ‘대흥리’라는 명칭은 1914년 대포리(大浦里)와 신흥리(新興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대흥리는 본래 신창군 북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덕암리(德巖里)는 도고면 동쪽에 있는 마을로 한살림과 함께하는 유기농 사업을 진행하여 청정자연을 보존하고 있다. 덕암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병합된 내덕암 및 외덕암의 이름을 따서 ‘덕암(德巖)’이라 하였다고 하는데, ‘덕암’의 유래는 알려지지 않는다. 덕암리는 본래 신창군 남...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지리(德地里)는 덕지1리, 덕지2리, 덕지3리로 이루어지며 음봉면의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덕지1리 주민은 주로 논농사를 짓지만, 덕지2리와 덕지3리 주민들은 회사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많다. 덕지리의 ‘덕지’는 지대가 높은 마을이라는 데서 유래한 명칭이다. 덕지리는 본래 아산군 일동면 지역이었으...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도고면(道高面)은 아산시 서남부에 있으며 국내 최대의 유황온천인 도고온천을 비롯하여 도고산, 세계꽃식물원, 코미디홀 등의 명소가 있어 관광객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도고면’이라는 지명은 도고면 남서쪽에 있는 도고산(道高山)에서 비롯되었다. 도고산은 『고려사』나 『세종실록』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도 기록되어 있는데...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산리(道山里)는 도산1리와 도산2리로 이루어지며 도고면의 남서쪽에 있는 오래된 마을이다. 주업은 농업으로 벼농사와 쪽파 농사를 짓는데, 특히 쪽파는 도산리의 특산물이다. ‘도산리’라는 명칭은 1914년 도촌리(道村里)와 노산리(老山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도산리는 본래...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흥리(挑興里)는 도흥1리와 도흥2리로 이루어지며 인주면의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산줄기에서 남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큰 골에 도흥1리와 도흥2리가 각각 자리잡고 있으며, 주민 대부분이 농업을 생업으로 하고 있다. ‘도흥리’라는 명칭은 1914년 도정리(挑井理)와 신흥리(新興理)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돈포리(頓浦里)는 돈포1리, 돈포2리로 이루어졌으며 선장면의 남서쪽에 있는 청정한 마을로 이곳에서 생산되는 선장쌀은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돈포리’라는 명칭은 1914년 돈곶리(頓串里)와 포남리(浦南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돈포리는 본래 천안군 덕흥면 지역이었는데 189...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산리(銅山里)는 동산1리, 동산2리, 동산3리, 동산4리로 이루어졌으며 들판이 넓어 풍요롭고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으나 1990년대부터 주변에 공장과 아파트가 들어서는 등 변화가 일고 있다. 동산리는 매봉의 남쪽 자락에 있는 구루미[구리미, 구름뫼]가 지명의 어원으로, 옛 기록의 운산리를 근거로 하면 ‘구루미...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암리(銅岩里)는 동암1리, 동암2리, 동암3리로 이루어졌으며 서쪽의 동암저수지와 동쪽의 월랑저수지 사이에 있는 마을로 동암1리는 벼농사가 주업이지만, 동암2리와 동암3리는 회사에 다니는 사람들이 많다. 동암리는 마을 앞에 구리바위가 있어 구리 ‘동(銅)’ 자와 바위 ‘암(岩)’ 자를 서서 ‘동암’이라 이름...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동정리(東亭理)는 동남부에 염치저수지[가혜저수지]가 넓게 펼쳐지고 마을 주변에는 산이 둘러싸고 있는 아름다운 마을로 대부분이 벼농사를 짓고 있다. 동정리는 자연마을인 독정이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는데, 옛날에 큰 우물이 있었다 하여 ‘독정이’라 하였다고 한다. 동정리는 본래 아산군 원남면(遠...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천리(東川里)는 동천1리, 동천2리로 이루어진다. 상대적으로 들이 넓은 동천1리는 주로 논농사를 하고, 구릉지로 이루어진 동천2리는 사슴 사육, 멧돼지 사육, 승마장 운영 등을 하고 있다. 동천리는 예전에 냇물이 흘러가 뒷내 또는 후천마을이라 하였는데, 홍수로 물길이 바뀌어 하천이 있던 자리에 마을이 형성되...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화리(東華里)는 동화1리, 동화2리, 동화3리로 이루어졌으며 송악저수지가 있어 곳곳에 전원주택이 들어서고 있다. ‘동화리’라는 명칭은 일제강점기 동화산 이름을 따서 동화리라 하였다고 한다. 동화리는 원래 온양군 남상면에 속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상서리, 중서리, 약봉리, 장재리, 백학리,...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둔포리(屯浦里)는 둔포1리~둔포7리로 이루어졌으며, 둔포면의 중앙에 있는 면소재지로 교통이 편리하고 아산호와 인접하여 아산 지역의 북동부 관문 역할을 한다. 둔포리는 둔포(屯浦)의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여기서 ‘둔포’의 ‘둔(屯)’은 우리말의 듬, 둠, 뜸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둔포’는 ‘둠개-...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둔포면(屯浦面)은 아산시 북동쪽 끝에 있으며, 예부터 아산시 북동부의 관문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조선시대에도 충청수영로가 통과하였다. 오늘날에도 국도 34호선과 국도 43호선, 국도 45호선이 교차하고 경부고속철도가 지나는 등 교통이 매우 편리하여 아산시 지역 북동부의 관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둔포면’은 18세기 경 포...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4동에 속하는 법정동. 득산동(得山洞)은 행정동인 온양4동의 관할을 받으며 득산1통, 득산2통, 득산3통으로 이루어진다. ‘득산동’은 1914년 득박리(得璞里)와 마산리(馬山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득산동은 본래 신창군 대동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마산리 일부, 웅산리...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곡리(馬谷里)는 마곡1리와 마곡2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광덕산 북북서 방향으로 트여 있는 커다란 골에 위치한 마을이다. ‘마곡리’라는 명칭은 마곡리의 중심 마을인 마실을 한자로 옮긴 이름이다. ‘마실’은 높은 마을이라는 뜻으로 ‘상곡’이라 쓰기도 한다. 광덕산 밑의 가장 높은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옛날 이 지방에 설치되...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매곡리(梅谷里)는 매곡1리, 매곡2리, 매곡3리로 이루어진 배산임수의 풍요로운 농촌마을이다. 선문대학교 아산캠퍼스 및 공장들이 들어서고 남쪽 들판에 아산신도시 개발이 진행되는 등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매곡1리는 매골 또는 맹골이라고도 하는데, ‘매골’은 높은 곳에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이를 한자로 잘못...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암리(鳴岩里)는 명암1리에서 명암10리까지 모두 10개 리로 구성되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농촌마을이었으나, 최근 아산탕정디스플레이시티1 일반산업단지 및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는 등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명암1리 마을 뒷산에 차돌바위[차돌배기돌]가 있는데 이 바위가 울면 곡교천 건너 구령리 마을에 과부...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모원리(牟元里)는 인주면소재지에서 북동 방향으로 4㎞ 거리에 있는 농촌마을로 북쪽으로는 산업단지가 형성되어 있고, 남으로는 벼농사를 짓는 넓은 안논들이 있다. 모원리의 ‘모원(牟元)’은 벌판에 새로 둑을 막고 마을을 이루었으므로 ‘발언’이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보리원’[보련] 또는 ‘모원’이 되었...
-
충청남도 아산시에 온양3동에 속하는 법정동. 모종동(毛宗洞)은 행정동인 온양3동의 관할을 받으며 모종1통~모종17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종동의 유래가 된 모종리(毛宗里)는 마을에 큰 못이 있었다 하여 ‘못마루’라고 부른 데서 ‘모종(毛宗)’이라 하였다. 마루는 등성이를 이루는 지붕이나 산 따위의 꼭대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큰 못 위에 마을이 자리...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문방리(文方里)는 문방1리~문방4리로 이루어지며 인주면 서쪽 삽교호와 면해 있는 마을이다. 간척지가 조성된 서북부 지역 대부분이 넓은 평지로 주소득원은 벼농사이며, 남쪽으로는 아산현대모터스밸리가 있다. ‘문방리’라는 명칭은 1914년 문지리(文旨里)와 방축리(方築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한 자씩 따서 붙인 것...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밀두리(密頭里)는 밀두1리, 밀두2리, 밀두3리로 이루어지며 인주면소재지가 있는 마을로 넓은 들을 이용한 논농사가 주요 소득원이다. 최근에는 주위에 많은 공장이 들어서면서 아파트단지와 상업시설이 늘어나는 등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다. 밀두리의 ‘밀두(密頭)’는 해안으로 밀려오는 밀물의 머리쪽이란 의미로 밀머리라...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4동에 속하는 법정동. 방축동(方築洞)은 행정동인 온양4동의 관할을 받으며 방축1통~방축11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축동은 조선 후기 희안제라는 방죽이 있는 동네라 하여 방죽말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로 옮긴 이름이다. 방축동은 본래 온양군 서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방축리 일부, 희안리, 흑석리,...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 방현리(芳峴理)는 방현1리, 방현2리, 방현3리, 방현4리로 이루어졌으며 마을을 둘러싼 산을 뒤로 하고 자리 잡은 마을이다. 밭농사를 많이 지으며 화훼단지가 있다. ‘방현리’라는 명칭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아산군 근남면 방수(芳水)의 앞 글자와 장현(獐峴)의 뒷 글자를 따서 이름 붙여졌다. 방현리는...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4동에 속하는 법정동. 배미동(培美洞)은 행정동인 온천4동의 관할을 받으며 배미1통, 배미2통, 배미3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배미동은 옛날 곡교천에 배가 다니던 시기에 형성된 마을이다. ‘배미’는 배를 매어놓은 형국이라고 해서 지어진 명칭이다. 배미동은 본래 신창군 대동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배방읍(排芳邑)은 1990년대부터 모산역을 중심으로 많은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봉강천을 경계로 서쪽의 배방읍내와 동쪽의 신도시권[장재리·세교리·휴대리]으로 권역이 나뉜다. ‘배방읍’이라는 지명은 배방읍(排芳邑)은 배방읍의 가운데에 있는 배방산에서 유래하였다. 온양방씨의 중시조인 방운이 고려 태조를 도와 고려 창업부터 성종 대까...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석포리(白石浦里)는 백석포1리, 백석포2리로 이루어지며 영인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4㎞ 정도에 있는 전형적인 농어촌마을이다. 예전에는 아산만과 접하여 배가 드나드는 포구마을로서 어업과 상업이 발달하였으나, 현재는 아산만댐 조성과 간척사업으로 많은 농경지가 조성되어 자연스럽게 농촌마을로 변하였다. ‘백석포리’라는 명칭은...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 백암리(白岩里)는 백암1리, 백암2리, 백암3리로 이루어져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형의 농촌마을이다. 백암리는 땅을 5m만 파도 흰 돌이 나와서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과 지형이 뱀처럼 생겨서 ‘뱀밭’이라고 부르고 한자를 빌려 ‘백암(白岩)’이라고 썼다는 설이 전해지는데 정확한 유래는 확인되지 않는다....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6동에 속하는 법정동. 법곡동(法谷洞)은 행정동인 온양6동의 관할을 받으며 법곡1통~법곡4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법곡동은 옛날에 능미라고 불렀는데, ‘능미’의 의미는 확실히 알 수 없으며 ‘법곡’의 유래도 전해지지 않는다. 법곡동은 본래 온양군 읍내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능미와 가무 일부를 병...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봉농리(鳳農里)는 도고면의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도고면에서 논이 가장 넓어 논농사가 주를 이룬다. 세계꽃식물원이 있으며 무한천과 삽교천이 이어져 있어 각종 철새들이 모여드는 철새도래지이다. ‘봉농리’라는 명칭은 1914년 봉암리(鳳巖里)와 포농리(浦農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재리(鳳在里)는 봉재1리, 봉재2리, 봉재3리, 봉재4리로 이루어지며 둔포면의 가장 남쪽에 있는 마을로 봉재저수지의 풍광이 아름다워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봉재리’라는 명칭은 1914년 봉림리(鳳林里)와 장재동(長在洞)을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봉재리는 신양리, 산전리, 관...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속하는 법정리. 북수리(北水里)는 11개 리로 분구되어 있다. 북수1리부터 북수7리까지는 자연마을 단위로 분구되었고, 북수8리부터 북수11리까지는 각각의 아파트 단지로 정해져 분구되었다. 북수리는 북수7리의 이름인 ‘북사리’에서 따온 것이라는 설과 물이 북쪽으로 흐르는 마을이라고 해서 ‘북수리’라고 불렸다는 설이 있다....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동리(山洞里)는 산동1리~산동5리로 이루어지며 음봉면의 동남쪽에 있다. 땅이 비옥하여 논농사가 주요 소득원이며, 산동4리와 산동5리에는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격히 늘었다. 산동리는 산동[못골]이라 부른 데서 유래한 명칭이다. 산동리는 본래 아산군 일동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 산양리(山陽里)는 산양1리, 산양2리, 산양3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산임수의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산양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남산(南山)과 생양(生陽)의 이름을 따서 ‘산양리’가 되었다. 산양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형제동(形第洞), 생양, 남산을 병합하며 아산군 염치면...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산전리(山田里)는 둔포면 중앙의 동남부에 있는 마을로 전업농이 대부분이지만, 주변에는 목장과 과수원이 있으며 공장도 여럿 있다. ‘산전리’라는 명칭은 1914년 천안군 모산면(毛山面) 산직리와 합전리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산전리는 관대리, 신양리, 시포리, 운교리...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산정리(山亭里)는 음봉면의 서쪽에 있는 마을로 골이 많고 산속에 위치해 있어 외부와의 접촉이 적으며 주요 소득원은 친환경 특산물이다. ‘산정리’라는 명칭은 1914년 사기리, 사정리, 산소리를 병합할 때 ‘산소’의 앞 글자와 ‘사정’의 뒷 글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산정리는 본래 아산군 일북면에...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거리(三巨里)는 아산시 음봉면 소재지로 삼거1리와 삼거2리로 이루어졌으며 주민들은 주로 농업과 상업에 종사한다. ‘삼거리’라는 명칭은 세 방면[북으로 둔포, 동으로 천안, 남으로 아산 시내 방향]으로 길이 나뉘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삼거리는 본래 아산군 일동면에 속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상성리는 면소재지인 아산리 서쪽에 있으며 상산김씨 집성촌으로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성리’라는 명칭은 1914년 상불리와 성대리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한 글자씩 따서 붙인 것이다. 상성리는 본래 아산군 현내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 서원리(書院里)는 서원1리와 서원2리로 이루어지며 산으로 둘러싸인 농촌마을이다. 서원리는 마을에 인산서원(仁山書院)이 있었다 하여 지어진 서원골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서원리는 조선시대 아산현(牙山縣) 지역으로 1610년경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후 고종 때 철폐되었다가 서원골과 원골 일대...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곡리(石谷里)는 석곡1리~석곡10리로 이루어지며 둔포면 동부에 있는 마을로 최근 아산테크노밸리가 조성되어 급격한 인구 증가와 더불어 큰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석곡리’라는 명칭은 1914년 석교리(石橋理)와 도곡리(道谷理)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석곡리는 본래 아산군 삼북...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석당리(石堂里)는 도고면의 북동쪽에 있으며 덕암산으로 둘러싸인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석당소류지, 원당소류지, 도고저수지 등 수리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주요 소득원은 벼농사이며, 쪽파 농사를 하는 가구도 여럿 있다. ‘석당리’라는 명칭은 1914년 석우리(石隅里)와 원당리(元堂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 석두리(石斗里)는 석두1리와 석두2리로 이루어지며 염치저수지를 두고 두 개의 산줄기가 양옆으로 감싸는 형태로 주민 대다수는 농업에 종사한다. 석두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아산군 근남면의 석서(石西)와 두미(斗尾)를 병합하여 마을이 개설되었으며 두 마을의 앞 글자를 따서 이름 붙였다. 석두...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 석정리(石亭理)는 석정1리, 석정2리, 석정3리, 석정4리로 이루어진 마을이다. 석정1리는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는 농촌마을이지만, 석정2리~석정4리는 상업적 휴양시설의 성격이 강하다. 석정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아산군 근남면의 석동(石東)의 앞 글자와 온양군 이북면의 소정(小停)의 뒷 글자를 따...
-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행정구역. 선장면(仙掌面)은 충청남도 아산시의 서단에 있으며 군덕리, 대흥리 등의 14개 법정리를 관할한다. 북쪽은 곡교천 하류, 서쪽은 무한천과 삽교천의 하류여서 그 유역에 넓은 평야를 이룬다. 1979년 준공된 삽교천방조제 축조 이전에는 어업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지금은 대부분의 주민이 농업에 종사한다. ‘선장’이라는...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선창리(仙倉里)는 선창1리~선창4리로 이루어지며 선장면의 중심에 있는 마을로 주민들의 주업은 논농사이고, 일부는 목축업을 한다. ‘선창리’라는 명칭은 1914년 선장리(仙掌里)와 창리(倉里)의 일부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선창리는 본래 신창군 대서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내리(城內里)는 성내1리, 성내2리, 성내3리로 이루어지며, 영인면소재지로부터 4㎞ 정도 떨어진 영인면 동쪽 끝 마을로 성내저수지를 이용한 수리시설이 잘 정리되어 농사짓기가 편리하다. ‘성내리’라는 명칭은 1914년 금성리(金城里)와 내동(內洞)을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성내...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속하는 법정리. 세교리(細橋里)는 5개 리로 이루어지며 세교1리는 잔다리마을, 세교2리는 안골마을, 세교3리는 쑥고개마을, 세교4리는 속샘말, 세교5리는 신라아파트와 신한아파트 단지로 나뉜다. 세교리의 ‘세교(細橋)’’는 세교1리의 마을 이름인 잔다리를 한자로 옮긴 것이다. 잔다리마을은 신농씨들 동쪽으로 소소한 다리가 많아서...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세출리(世出里)는 자연부락으로 산이 많고 평야는 좁은 편이나 호서대학교 아산캠퍼스가 있어 상가와 주거시설 등이 밀집하여 있다. 세출리는 세출장상지의 명당이 있어 세나리 또는 세출리라고 불린다. 또한 ‘세출리’라는 지명은 회룡리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 반포한 후 눈병이 발생...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동리(小東里)는 소동1리, 소동2리, 소동3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논농사, 과수업, 축산업이 주요 소득원이다. 소동리의 서부는 아산디지털일반산업단지의 조성으로 옛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소동리는 연암산 동쪽의 작은 마을이라 하여 붙은 지명이다. 연암산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동리가 있는데 규모의 차이가 있어...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 송곡리(松谷里)는 송곡1리, 송곡2리, 송곡3리로 이루어졌으며 마을 북쪽 금병산(錦屛山) 자락을 끼고 형성된 마을로 배산임수의 농촌마을이다. 송곡리는 마을 뒤편 금병산(錦屛山) 안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속곡[內谷]’이라 불렀는데, 발음이 변화하여 ‘송곡’으로 바뀌었다. 송곡리는 본래 아산군 근남면...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송악면(松岳面)은 아산시의 가장 남쪽에 있는 면으로 산이 많아 아산의 대표적인 청정지역이고 친환경 농업지역이며, 아산 외암마을을 비롯하여 많은 문화유적이 있는 지역이다. ‘송악(松岳)’이라는 면 이름은 오늘날 봉수산의 옛 이름인 송악산(松岳山)에서 유래했다. 송악산(松岳山)의 '송악'이 고려의 도읍지 개성의 다른 이름인 ‘송...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용리(松蓉里)는 송용1리, 송용2리, 송용3리로 이루어졌으며, 둔포면의 북부 중앙에 있는 마을로 농경지가 많아 농촌마을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송용리’라는 명칭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송산리(松山里)와 부용리(芙蓉里)를 합칠 때 한 글자씩 따서 만든 이름이다. 송용리는 본래 천안군 모...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송촌리(松村里)는 음봉면의 남쪽에 있으며 벼농사가 주업이다. 마을 한가운데로 국도 43호선과 지방도 628호선[연암율금로]이 교차하여 교통이 편리하다. 송촌리는 예전부터 뒷산에 소나무가 많은 마을이라는 뜻에서 ‘송촌리’라 하였다. 송촌리는 본래 아산군 일동면의 지역으로 송오촌(松烏村)이라...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학리는 송학1리와 송학2리로 이루어진 산촌마을이지만 거산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새로운 주민이 늘고 있다. 송학리는 봉수산[오랫동안 송악산이라고 불림] 속 깊이 들어 앉은 마을이라는 의미로 ‘속안골’이라고 부르던 지명이 변하여 ‘송악골’ 또는 ‘송학골’이라 하며, 송학리와 송악면의 땅 이...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곡리(首谷里)는 수곡1리와 수곡2리로 이루어졌으며 친환경 농업이 활발한 산골마을이다. ‘수곡리’라는 명칭은 남쪽으로 유곡천이 흐르는데 약물[藥水]이 있어서 아픈 머리를 감으면 특효가 있으므로, 머리서리 또는 수곡(首谷)이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수곡리는 본래 충청남도 온양군 남상면에 속했는데 1914년 행정...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장리(水長里)는 수장1리와 수장2리로 이루어지며 신창면의 북동쪽에 있는 마을로 주민들의 주업은 농업이며 주로 벼농사를 짓고 있다. 특산물로 하우스 수박, 포도, 시금치 등을 재배하여 소득을 올리고 있다. ‘수장리’라는 명칭은 1914년 수여리(水餘里)와 장구포리(長久浦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속하는 법정리. 수철리(水鐵里)는 수철1리, 수철2리, 수철3리로 이루어진 농촌마을이지만 1977년 축조된 수철저수지 주위로는 전원주택이 들어서고, 카페, 식당, 팬션 등도 운영 중이다. 수철리는 삼국시대부터 철을 많이 생산한 데서 이름이 붙었다. 수철1리의 명막골마을은 조선 중엽 명막새[제비와 유사] 한 쌍이 마을 부근에서...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 시전리(枾田里)는 시전1리~시전4리로 이루어지며 도고산이 병풍처럼 마을을 감싸고 있어 경관이 아름답다. 주민들의 주요 소득원은 벼농사이고, 특산물은 담배이다. ‘시전(枾田)’이라는 지명은 감나무가 많이 있어서 ‘감밭’이라고 불리던 것에서 유래한다. 시전리는 본래 신창군 남상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시포리(市浦里)는 둔포면 북부의 가운데 서쪽에 있으며, 오랫동안 포구가 발달했던 마을로 간척지가 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다. 시포리는 자연마을인 씨애를 한자로 적으면서 ‘시포(市浦)’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씨애’는 순우리말로 시장을 의미한다. 시포리가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곡리(新谷里)는 신곡1리, 신곡2리, 신곡3리로 이루어지며 신창면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주요 소득원은 벼농사이나 공장에 근무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신곡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리(新里)와 기곡리(基谷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신곡리는 본래 신창군 북면에 속하였는데...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남리(新南里)는 신남1리, 신남2리, 신남3리, 신남4리, 신남4리의 5개 행정리로 이루어졌으며 둔포면에서 서북쪽 끝에 있는 마을로 명품 쌀인 아산맑은쌀의 주산지 중 한 곳이다. 신남리는 1914년 신흥포, 남창리, 명포리, 신흥리, 냉정리, 신리를 병합할 때 신리와 남창리의 이름을 따서 ‘신남리’라 이름...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달리(新達里)는 신달1리, 신달2리로 이루어진 신창면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곡교천 남쪽에 넓은 들이 펼쳐져 주요 소득원은 농업이나 공장이나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신달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촌리(新村里)와 화달리(禾達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신...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덕리(新德里)는 신덕1리와 신덕2리로 이루어졌으며 선장면의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산이 없고 넓은 들이 펼쳐져 있어 농사가 주요 소득원이다. ‘신덕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흥리와 종덕리의 일부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신덕리는 본래 천안군 덕흥면 지역이었는데 1895년(고종...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3동에 속하는 법정동. 신동(新洞)은 행정동인 온양3동의 관할을 받으며 신동1통, 신동2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동’이란 명칭은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으로 새말, 벌말이라고도 한다. 신동은 본래 온양군 이북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소신리, 신리, 일북면의 구미동 일부를 병합하여 신리라...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동리는 신동1리와 신동2리로 이루어지며 선장면의 동쪽에 있는 마을로 주 소득원은 벼농사와 과수 농사이다. ‘신동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기리, 선장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면서 붙인 이름인데, 선장면의 동쪽에 있어서 ‘신동리’라고 한 것으로 추측된다. 신동리는 본래 신창군 대서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문리(薪門里)는 선장면의 가장 북쪽 끝 삽교천과 곡교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마을로 주민들의 주업은 농업이며 대부분 벼농사를 짓고 있다. 신문리는 원래 풀섶[풀숲]이 무성하여 섬문, 섶문이라고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섶문’을 한자로 옮기면서 섶을 한자인 ‘신(薪)’으로 바꾸어 ‘신문리’라...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법리(新法里)는 신법1리, 신법2리로 이루어지며, 마을 주거지 외에는 대부분이 논으로 되어 있어 명품 쌀인 ‘아산맑은쌀’과 ‘아산둔포갯벌쌀’을 생산하고 있다. 신법리는 옛날 개포를 막아 새로운 마을을 만들었다 하여 ‘신포리’라 하다가, 1914년 신포리와 법고리를 통합할 때 한 자씩 따서 ‘신법리’로 명칭이...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봉리(新峰里)는 신봉1리~신봉4리로 이루어졌으며 영인면소재지에서 동북 방향으로 7~8㎞ 떨어진 마을이다. 논과 밭이 고루 분포되어 있는 산골마을로 잘 포장된 농로가 연결되어 있다. ‘신봉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동리(新洞里), 철봉리(鐵峰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철봉리의 ‘철봉...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성리(新聖里)는 신성1리와 신성2리로 이루어지며 선장면의 남쪽에 있는 마을로 주민들의 주업은 농업이고, 주민 일부는 신성리와 선창리에 걸쳐 있는 도고컨트리클럽에 종사한다. ‘신성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라리(新羅里)와 성조리(聖造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신성리는 본래...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성리(新城里)는 신성1리와 신성2리로 이루어지며 인주면소재지에서 동쪽으로 2㎞ 지점에 있는 마을로 주민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한다. ‘신성리’라는 명칭은 자연마을인 새터[신촌(新村)]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나 확실하지는 않다. 신성리는 본래 아산군 일서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새...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수리(新壽里)는 신수1리와 신수2리로 이루어지며 구릉성 산지에 있어 경작지는 넓지 않으나 1990년대 이후 온천이 개발되면서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신수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촌리(新村里)와 수동(禾洞)을 병합할 때 앞 글자를 하나씩 따서 만들었다. 이때 수동의 ‘수(禾)’가 ‘수(壽)’로 바뀌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양리(新楊里)는 신양1리와 신양2리로 이루어지며 둔포면의 동남쪽 모서리에 있는 마을로 인구가 적고 주로 농업을 생업으로 삼고 있다. ‘신양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대리(新垈里)와 백양동(白楊洞)을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신양리는 산전리, 관대리, 시포리, 운교리, 송용리,...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언리(新堰里)는 도고면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신언1리~신언5리로 이루어진다. 예전 장항선의 도고온천역[선장역]이 있어 상업이 발달하였으며, 선장역이 폐쇄되고 도고온천역이 시전리로 이전된 이후에도 도고면의 행정과 치안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신언리’라는 명칭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언리(堰里)를 중심으로...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왕리(新旺里)는 신왕1리, 신왕2리, 신왕3리로 이루어지며 둔포면의 가장 동쪽에 있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행정구역상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지만 실질적인 생활권은 천안시 성환읍에 연결된다. 신왕리는 1914년 상왕리, 중왕리, 하왕리를 통합할 때 새로 만든 왕리라는 의미로 붙인 이름으로 추측되지만 정확하지는...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운리(新雲里)는 신운1리, 신운2리, 신운3리로 이루어지며 영인면소재지에서 북쪽으로 약 2㎞ 내외 떨어진 곳에 있는 마을이다. 농사를 주업으로 하지만 영인농공단지가 있어 겸업 인구가 많은 편이다. ‘신운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중리(新中里)와 운정리(雲井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신유리(新柳里)는 도고면 중심부에 있으며 도고산과 도고저수지 사이에 있는 마을로 주민들의 주업은 벼농사이고, 저수지 주변에서는 쪽파, 수박 등의 작물을 재배한다. ‘신유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리(新里)와 유동(柳洞)을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신리’는 도고산 자락에서 동쪽...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5동에 속하는 법정동. 신인동(信仁洞)은 행정동인 온양5동의 관할을 받으며 신인1통, 신인2통, 신인3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인동’의 명칭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나 유교에서 말하는 5가지 덕목 중 신(信)과 인(仁)을 쓴 것으로 보아 유교의 가르침을 숭상하는 마을이 되라는 의미로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신인동은 본래 온양군 서...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정리(新井里)는 신정1리와 신정2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들이 넓어 논농사와 밭농사, 축산업, 사과·배 등의 과수업이 주요 소득원을 이룬다. ‘신정리’라는 명칭은 1914년 장곡리, 대정리, 신리를 병합할 때 ‘신리’의 앞 글자와 ‘대정’의 뒷 글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신정리는 본래 아산군 일북면에 속했는데...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한 행정구역. 신창면(新昌面)은 아산시의 중서부에 있으며 면의 대부분이 비옥한 평야지대이고, 남부 및 동부에는 과수 농업에 적당한 구릉지대가 펼쳐져 있다. 면의 남부를 장항선 철도가 지나가고 있으며 신창역이 있다. 관내에 순천향대학교와 경찰대학, 한국폴리텍Ⅳ대학 아산캠퍼스가 있는 교육 도시이다. 신창면은 백제 굴직현(屈直縣)이 7...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통리(新通里)는 신통1리와 신통2리로 이루어지며 도고면의 북쪽에 있는 전형적인 농촌마을로 벼농사가 주요 소득원이며 고추 재배와 쪽파 재배도 이루어진다. ‘신통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상리(新上里)와 통산리(通山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신통리는 본래 신창군 남하면에 속...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항리(新項里)는 신항1리, 신항2리, 신항3리로 이루어지며, 둔포면의 남서부에 있는 농촌마을로 윤보선 전 대통령의 생가가 있다. ‘신항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촌리와 항각리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신항리는 본래 천안군 모산면 지역인데 1895년(고종32) 지방관제 개정에...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신현리(新峴里)는 영인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4㎞ 거리에 있는 산간마을로서 농업이 주요 소득원이다. ‘신현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천리와 차현리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신현리는 본래 아산군 현내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신천리, 차현리를...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화리(新化里)는 신화1리, 신화2리, 신화3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인면소재지에서 북쪽으로 4~5㎞ 떨어진 마을이다. 기름진 들에 전답이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수로시설 또한 잘 정비되어 있다. ‘신화리’라는 명칭은 1914년 신대리(新垈里), 안화리(安化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휴리(新休里)는 신휴1리, 신휴2리, 신휴3리로 이루어지며 논농사와 배 재배가 주요 소득원이다. 신휴리는 마을에 부엉바위가 있어 부엉골, 줄여서 붱골, 한자로 수리부엉이 ‘휴(鵂)’ 자를 써, 휴동(鵂洞)이라 불렀는데, 일제에 의해 ‘휴동(休洞)’으로 변경되었다. 신휴리는 본래 아산군 이동면(二東...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있는 법정리. 신흥리(新興里)는 신흥1리와 신흥2리로 이루어지며 금곡천을 따라 마을이 길게 늘어선 농촌마을로 충청남도 기념물 제67호 배방산성이 있다. 신흥리는 본래 온양군 군내면 지역으로 새로 일어난다는 뜻으로 ‘신흥’이라 하였다. 감타기는 뒷산이 감투와 같이 생겼다고 하여 ‘감타기’, ‘감탁리’로 불리며, 양지편마을은 마...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4동에 속하는 법정동. 실옥동(實玉洞)은 행정동인 온양4동의 관할을 받으며 실옥1통~실옥7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옥동의 ‘실옥(實玉)’은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나 지형이 시루와 같이 생겼으므로 시루골 또는 시릿골이라 불렀는데, 이를 한자로 옮기면서 ‘실옥’으로 된 것으로 추측된다. 실옥동은 본래 온양군 서면에 속하였는데...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쌍룡리(雙龍里)는 쌍룡1리, 쌍룡2리로 이루어졌으며 음봉면의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논농사와 배 재배가 주요 소득원이다. 쌍룡리는 쌍룡1리 자하골 부근 고갯마루에서 마을을 바라보면 연암산(燕岩山)에서 마을을 향해 뻗어 나온 두 개의 산줄기가 2마리의 용처럼 보인다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쌍룡리는 본래...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쌍암리(雙岩里)는 쌍암1리, 쌍암2리, 쌍암3리로 이루어졌으며, 음봉면의 동쪽에 있는 마을로 논농사와 배 재배 및 낙농업이 주요 소득원이다. 쌍암리는 1914년 상암리와 하암리를 병합할 때 두 개의 암리가 합쳐졌다 하여 붙은 명칭이다. 쌍암리는 본래 아산군 이동면(二東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 쌍죽리(雙竹理)는 쌍죽1리와 쌍죽2리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비탈진 곳에 있어 주로 밭농사가 이루어지는 농촌마을이다. ‘쌍죽리’란 명칭은 마을 모습이 대나무가 두 개 서 있는 형국이라 하여 일제강점기부터 불리어지게 된 지명이다. 쌍죽리는 본래 아산군 근남면(近南面)의 지역이었다. 지형이 상·중·하의 3대를 이루...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명암리에 지중해와 유럽의 마을을 테마로 조성된 마을. 아산지중해마을은 마을 건물이 하얀 벽면에 파란색 지붕으로 지어져 유럽풍의 지중해 마을을 연상시키며 공연과 이벤트 등 볼거리가 많은 아산 관광의 명소이다. 아산지중해마을은 유럽의 프로방스, 파르테논, 산토리니 건축 양식을 모티브로 하여 만든 마을로 지중해 주변의 유럽의 마을을...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아산리는 아산1리, 아산2리, 아산3리로 이루어지며 면소재지로 영인면의 행정, 교육, 상업 시설이 집중해 있다. 조선시대 아산현 청사가 있던 마을로서 아산향교를 비롯한 많은 문화유산이 남아 있다. 아산리는 원래 영산리였는데, 1917년 아산군의 이름을 따서 개칭한 것이다. ‘아산’이라는 이름은 염치읍 서원리와...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역리는 역1리, 역2리로 이루어지며 영인면소재지에서 동북 방향으로 2㎞ 떨어져 있는 농촌마을이다. 예전에 장시역이 있던 마을로 넓은 들, 풍족한 농업용수 등을 이용한 농업이 주업이다. ‘역리(驛里)’라는 명칭은 조선시대 장시역(長時驛)[예전에는 장세(長世)라 했음]이 있던 곳이므로 역말 또는 역촌이라 부른 데서 유래한...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역촌리(驛村里)는 송악면의 북동쪽에 있는 면 소재지로서 주요 공공기관이 모여 있으며 역촌1리, 역촌2리로 이루어진다. ‘역촌리’라는 명칭은 역이 소재한 마을이라는 뜻으로 붙어졌다. 역촌리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역이 있던 마을로서 예부터 교통의 요지였다. 역의 이름은 고려시대에는 이흥역, 조선시대에는 시흥역이라...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 염성리(鹽星里)는 염성1리와 염성2리로 구분되며 남쪽의 들판을 제외하고는 산지에 가까운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염성리는 염성2리 염티마을에 소금배가 들어와 소금을 산처럼 많이 쌓아 두어 염치(鹽峙)라 하였으며, 또한 마을 뒷산에 소금같이 보이는 바위가 있어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염작리(念作里)는 염작1리, 염작2리로 이루어졌으며 둔포면의 동부에 있는 마을로, 배 재배를 주요 소득원으로 한다. ‘염작리’의 명칭을 볼 수 있는 것은 『여지도서』에 나타난 상염작리(上念作里)이다. 그 외 염작리와 관련된 특별한 역사적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염작리는 본래 아산군 삼북면에 속한 지역으로 19...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염치읍(鹽峙邑)은 아산시의 중북부에 있으며 곡교천을 끼고 비교적 넓은 평야가 형성되어 농업과 축산업 등이 활발하다. 염치읍은 염성리의 자연마을 중 하나인 염티마을에서 유래한다. 염티마을 북쪽에 있는 고개가 큰고개인데 옛말로 '으뜸 고개'라는 뜻의 '엄티'라 했고 엄티의 남쪽에 형성된 마을 이름도 엄티라 했던 것이...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영인면(靈仁面)은 지리적으로 아산시의 북부에 있으며 남으로는 아산시의 염치읍, 서쪽은 인주면, 동쪽은 음봉면과 둔포면, 북으로는 아산호를 사이에 두고 경기도 평택시와 마주하며 충청남도 북단의 도계를 이루는 면이다. 13개 법정리를 관할하며 영인산을 주산으로 하여 너른 농경지와 북쪽으로 아산호를 끼고 있어 수려하고 깨끗한 자연...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목리(五木里)는 오목1리, 오목2리, 오목3리로 이루어지며 신창면 소재지이다. 1922년 충남선[장항선] 오목역이 생긴 이후 급격히 발전한 마을로 지금도 오목1리는 상업이나 기타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가구가 많다. 오목2리와 오목3리는 농업이 주요 소득원이다. ‘오목리’라는 명칭은 1914년 오삼리(五三里)와 시목리(枾...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암리(梧巖里)는 오암1리, 오암2리로 이루어지며 도고면 남동쪽에 있는 마을로 주업은 농업인데, 오암2리에서는 유박비료와 우렁이를 사용하는 유기농 농사를 짓기도 한다. ‘오암리’라는 명칭은 1914년 오곡리(梧谷里)와 구암리(九巖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오암리는 신창군 남...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동. 온양1동(溫陽一洞)은 아산시의 중심지인 온양의 동(洞) 지역에서도 가장 중심인 온천동의 핵심 지역으로 아산시청 소재지이다. 온양1동은 온양 시가지를 동서 방향으로 관통하는 온천대로[국도 제21호선]의 북쪽 지역으로 법정동인 온천동의 절반 가까이의 면적을 차지한다. 북쪽으로는 곡교천을 건너 염치읍 석정리와 맞닿고 남쪽으로는 온양...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동. 온양2동(溫陽二洞)은 온양온천역 소재지로 아산시 중심 시가지역의 남서부 지역에 해당한다. 시가지를 동서 방향으로 지나는 온천대로[국도 21호선]의 남쪽 지역으로 전체적으로 한복의 저고리를 펼쳐놓은 것 같은 모양이다. 온천대로를 경계로 직선에 가깝게 북쪽의 온양1동 지역과 구분되며, 동쪽과 남쪽 대부분은 온양5동의 용화동과 접하...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동. 온양3동(溫陽三洞)은 권곡동(權谷洞), 모종동(毛宗洞), 신동(新洞)의 3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지며, 아산시 중심 시가지의 동북부에 있는 주거단지, 농경지가 복합된 시내권의 신흥 주거지역이다. 면적 기준으로 주거 및 상업 지역과 주로 논으로 이루어진 들판이 대략 절반씩이다. 북쪽은 곡교천을 경계로 염치읍과 마주보고, 동쪽은 배방...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동. 온양4동(溫陽四洞)은 실옥동(實玉里), 방축동(防築洞), 점량동(点梁洞), 득산동(得山洞), 배미동(培美洞)의 5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진다. 옛 온양시의 서부 지역에 해당하며, 동쪽은 아산로와 남산 줄기를 경계로 온양1동과 온양2동, 온양5동의 용화동, 신인동과 접하고, 남쪽은 온양5동의 신인동, 기산동과 맞닿아 있다. 서쪽은...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동. 온양5동(溫陽五洞)은 용화동(龍禾洞), 신인동(信仁洞), 초사동(草沙洞), 기산동(岐山洞)의 4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진다. 옛 온양시의 서남부 지역에 해당하며 북쪽으로는 아산시 중심지역인 온양1동과 접하고 동쪽으로는 온양6동과 길게 맞닿아 있다. 남쪽은 황산 줄기를 기준으로 송악면과 경계를 이루고 서쪽은 남산 줄기와 황산천, 오...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동. 온양6동(溫陽六洞)은 읍내동(邑內洞), 좌부동(左部洞), 장존동(長存洞), 법곡동(法谷洞), 풍기동(豊基洞), 남동(南洞)의 6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진다. 조선시대 온양의 중심지인 읍내동이 포함되어 있는 곳으로 아산시의 전통문화와 역사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설화산 산줄기를 경계로 배방읍 공수리, 신흥리,...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 와산리(瓦山里)는 와산1리와 와산2리로 이루어지며 도고면 북동쪽에 있는 마을로 한치고개를 통해 아산 시내에서 예산으로 향하는 온천대로[국도 21호선]가 동서로 관통하고 있어 도고면의 관문 역할을 한다. 주업은 농업이며 축산업을 하는 농가도 있다. ‘와산리’라는 명칭은 1914년 와동(瓦洞)과 봉산리(鳳山里)를 병합할 때...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와우리(臥牛里)는 영인면소재지에서 북쪽으로 3~4㎞ 지점에 있는 작은 마을로 비옥한 들과 밭이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벼농사를 주업으로 한다. ‘와우리’라는 명칭은 마을 뒷산의 형태가 소가 누워 있는 형국이어서 ‘와우(臥牛)’라 부른 데서 유래한다. 와우리는 본래 아산군 이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악면의 북동쪽에 있는 외암리(外岩里)는 외암1리, 외암2리, 외암3리로 이루어지며 아산 외암마을에서 매년 외암민속마을 짚풀문화제가 열린다. ‘외암리’라는 명칭은 서쪽에 있는 역말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곳 역말에는 조선 초기부터 이미 시흥역이 있었고, 외암마을은 이 시흥역의 말을 거두어 먹이던 곳이라서 ‘오...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두리(龍頭里)는 용두1리, 용두2리, 용두3리로 이루어졌으며 최근 아산탕정테크노 일반산업단지, 아산탕정디스플레이시티2 일반산업단지 등이 들어서면서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용두리는 마을 뒷산이 용의 머리와 비슷하여 마을 이름을 ‘용머리’라 하였는데, 이를 한자로 옮긴 명칭이다. 용두리는 본래...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5동에 속하는 법정동. 용화동(龍禾洞)은 행정동인 온양5동의 관할을 받으며 용화1통~용화18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용화동은 1914년 용정리(龍井里)와 상수리(上禾里)를 병합할 때 용정리의 ‘용(龍)’ 자와 상수리의 ‘수(禾)’ 자를 따서 지은 명칭이다. 이때 ‘禾’를 국음인 ‘수’로 읽지 않고 한자음 ‘화’로 잘못 이해하여 ‘용...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교리(雲橋里)는 운교1리와 운교2리로 이루어지며 둔포면의 가운데 있는 마을로 농촌마을이지만 여러 산업체가 들어서고 있어 변화가 예고된다. 운교리의 ‘운교(雲橋)’는 운교1리의 자연마을인 방아다리를 한자로 옮긴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하지는 않다. 운교리는 본래 아산군 삼북면(三北面) 지역으로 1914...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용리(雲龍里)는 운용1리, 운용2리, 운용3리로 이루어지며 둔포면 동북쪽에 있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으나, 석곡리에 조성된 아산테크노밸리와 인접하고 있어서 넓은 지역의 산업단지가 조성되는 등 많은 변화가 일고 있다. ‘운용리’라는 명칭은 운용2리의 예전 이름인 팔용동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되나 정확한 유래는 알 수...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남리(院南里)는 원남1리와 원남2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논농사와 축산 등이 주요 소득원이었는데, 최근 공장이 들어서면서 공장에 다니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원남리’라는 명칭은 요로원 남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원남리는 본래 아산군 이동면에 속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신청...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월랑리(月朗里)는 월랑1리, 월랑2리, 월랑3리로 이루어지며 논농사, 과수 재배, 고추 재배 등이 주요 소득원이고 월랑저수지가 있어 농업용수로 사용된다. 월랑리는 달이 밝은 마을이라는 의미로 붙은 이름이다. 월랑리는 본래 아산군 일동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장수리, 용평리,...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월선리(月船里)는 월선1리, 월선2리, 월선3리로 이루어지며, 영인면 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3~4㎞ 거리에 있는 마을로 농업이 주요 소득원이다. 마을 중앙에 다목적 테마파크인 피나클랜드가 있어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월선리’라는 명칭은 1914년 월견리(月見里)와 선교리(船橋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유곡리(楡谷里)는 유곡1리, 유곡2리, 유곡3리, 유곡4리로 이루어졌으며 봉수산 북동쪽에 자리 잡은 농촌 마을이다. 유곡리는 느릅나무가 많이 있었으므로 느릅실이라 하는데, 한자로 ‘유곡(楡谷)’이라고 쓴다. 유곡리는 본래 온양군 남상면에 속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사기리, 심곡리,...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음봉면(陰峰面)은 관광지로 지정된 아산온천이 있어 많은 관광객이 모여들며, 산업단지와 아파트단지가 연이어 들어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음봉면’이라는 명칭은 아산의 통일신라 때 이름인 음봉(陰峰)에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에 아산현이라 했던 고을의 백제 때 지명이 '아술현(牙述縣)'이었는데, 지금의 영인산을 백제 때...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6동에 속하는 법정동. 읍내동(邑內洞)은 행정동인 온양6동의 관할을 받으며 읍내1통~읍내6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읍내동은 조선시대 온양군의 관아가 있던 곳으로 구한말까지 온양군의 중심지였기에 ‘읍내’라 하였다. 읍내동은 본래 온양군 읍내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전리, 송전리, 동변리, 유기동,...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읍내리(邑內里)는 신창면의 중앙에 있는 마을로 읍내1리~읍내4리로 이루어진다. 남쪽으로는 순천향대학교가 있고 북쪽으로는 신창농공단지가 있어 농사를 짓는 사람은 소수이며 대부분 상업이나 서비스업 등에 종사한다. 읍내리는 조선시대에는 현내면[군내면] 지역으로 신창현의 읍내, 즉 군청소재지였다. 일제가 1914년...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의식리(衣食里)는 아산시 북부 지역으로 천안시와 인접하고 있으며 논농사와 배 재배가 주요 소득원이다. 의식리는 입고[衣], 먹는[食] 걱정이 없는 풍요로운 마을이라는 데서 유래한 명칭으로 옷밥골 또는 의식동(衣食洞)이라 하였다. 의식리는 본래 아산군 이동면(二東面) 지역으로 1914년 행...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인주면(仁州面)은 지리적으로 아산시의 북서부에 있어 남으로는 곡교천을 사이에 두고 아산시 선장면과 신창면, 서쪽으로는 당진시 신평면, 우강면과 시계를 이루며, 동쪽으로 아산시 영인면, 북으로는 아산만과 아산호를 사이에 두고 경기도 평택시와 접해 있는 충청남도 북단의 도계를 이루는 면이다. 12개 법정리를 관할하며 아산만과 삽...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한 법정리이자 행정리. 장곳리는 선장면의 남서쪽 끝에 있으며 산지가 없이 평탄한 마을로, 과거에는 마을 전체가 포구였으나 현재 구획 정리가 잘 된 논으로 개간되었다. 장곳리는 지형이 노루머리 모양을 한 형국이고 또한 곶이라서 노루 ‘장(獐)’ 자와 곶 ‘곶(串)’ 자를 써서 ‘장곶(獐串)’이라 하다가 ‘장곳’으로 바뀌었다....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속하는 법정리. 장재리(長在里)는 현재 18개 행정리로 나뉘며 아산신도시 건설 현장으로 거의 모든 것이 새롭게 생성되고 있는 곳이다. 장재리는 큰 부자가 살아 장재울이라 불린 데서 붙은 명칭이다. 또한 예전에는 역원인 대조원이 있어 ‘대추리 대조원’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장재리는 본래 아산군 동하면 지역으로 191...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6동에 속하는 법정동. 장존동(長存洞)은 온양6동의 관할을 받으며 장존1통~장존3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존동은 자연마을인 장중이를 한자로 옮긴 것으로 추측된다. ‘장중이’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장존동은 본래 온양군 읍내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장존리와 가무리 일부를 병합하여 장존리라 하고...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4동에 속하는 법정동. 점량동(占梁洞)은 행정동인 온양4동의 관할을 받으며 통은 나누어지지 않고 단통이다. 점량동은 예전에 점돌이라고 불렀다. ‘점’은 ‘점점이 있는’의 의미이고, ‘돌’은 ‘도랑’ 또는 ‘징검다리 돌’의 의미이다. 현재 구체적인 모습은 확인할 수 없지만, 마산저수지[신정호]가 축조되기 전 오목천을 건너 동쪽으로...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종곡리(鍾谷里)는 송악면의 동남쪽 지역에 있는 마을로 체험활동 등 마을 공동사업을 통하여 이주민이 늘어나는 등 밝은 미래가 기대되는 마을이다. 종곡리는 지형이 북 모양이라서 북실이라 불렸으며 ‘북실’을 한자로 옮긴 것이 ‘종곡(鍾谷)’이다. 한편으로는 종곡리는 골짜기가 작아서 좀골이라고 했다가 종곡...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6동에 속하는 법정동. 좌부동(左部洞)은 행정동인 온양6동의 관할을 받으며 좌부1통~좌부6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좌부동은 온양군 읍내의 왼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좌부 또는 좌의비라 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좌부동은 본래 온양군 읍내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대교리, 신리, 괴화리를 병합하여 좌...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죽산리(竹山里)는 죽산1리와 죽산2리로 이루어지며 선장면의 동남쪽 끝에 있는 마을이다. 죽산저수지가 있으며 주민들은 농사를 짓거나 일부 과수업을 운영한다. ‘죽산리’라는 명칭은 1914년 일죽리(一竹里)와 성산리(城山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죽산리는 본래 신창군 대서면에...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속하는 법정리. 중리(中里)는 중1리, 중2리, 중3리로 이루어진다. 설화산 아래 자리 잡은 마을로 사적 제109호인 아산 맹씨행단이 있다. 중리는 쇠붙이가 많이 나온다고 하여 붙여진 ‘쇠일’의 가운데 마을이라 하여 ‘중리’라 하였다. 중1리는 정퇴서원이 자리하여 서원골이라 부르며, 중3리는 검은배 또는 검배라 하는데, 이유...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중방리(中方里)는 5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고 약간의 과수업이 이루어지는 농촌마을이다. 중방리는 마을과 마을 사이 중간에 있다 해서 불리게 된 이름이다. 중방리는 중방포(中方浦)라고 불렀으며 아산군 삼서면(三西面)의 지역으로 대장골, 안말, 횟골, 골중뱅이...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창암리(昌巖里)는 창암1리, 창암2리, 창암3리으로 이루어지며 신창면의 남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길게 자리한 마을이다. 주민들은 주로 농사를 짓고, 일부는 상업과 서비스업에 종사한다. ‘창암리’라는 명칭은 1914년 창덕리(昌德里)와 명암리(鳴巖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창암리...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창용리(蒼龍里)는 창용1리~창용4리로 이루어졌으며 영인면소재지에서 북쪽으로 8~9㎞ 떨어져 있는 전통적인 농촌마을로 마을 앞으로 아산만 갯벌 60여만 평의 간척지가 펼쳐져 있다. ‘창용리’라는 명칭은 1914년 창정리와 용동리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붙인 것이다. 창용리는 조선시대 아산현...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5동에 속하는 법정동. 초사동(草沙洞)은 행정동인 온양5동의 관할을 받으며 초사1통, 초사2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초사동의 ‘초사(草沙)’는 초사2통을 사래라 한 데서 유래한다. ‘사래’는 ‘관아의 논밭이 있는 곳’이라는 의미로 한자로 ‘초사(草沙)’라고도 한다. 조선 후기까지 초사리라 하였다. 초사동은 본래 온양군 서...
-
충청남도 아산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탕정면(湯井面)은 아산시의 중동부에 있으며 동부의 갈산리와 매곡리 일대에 선문대학교가 들어서고, 중서부의 명암리와 용두리 일대에는 탕정디스플레이시티1,2가 들어서 아파트와 상업시설 등이 밀집해 있다. ‘탕정면’이라는 명칭은 1914년 군면 통폐합에 따라 여러 마을이 합해지면서 온양의 옛 이름인 탕정(湯井)을 따서 붙인 것이다...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평촌리(坪村里)는 평촌1리, 평촌2리, 평촌3리로 이루어지며, 송악면의 북부 중앙에 있는 마을로 친환경 농업과 체험마을로 널리 알려져 있다. 평촌리 앞에는 온양천 안쪽에 대략 북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평촌들이 있는데, 마을 이름도 평촌들에서 유래하였다. 평촌리 지역은 조선 후기에 온양군 남하면의...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6동에 속하는 법정동. 풍기동(豊基洞)은 행정동인 온양6동의 관할을 받으며 풍기1통~풍기9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풍기동은 읍내동에서 풍기동을 연결하는 청댕이고개의 벼락바위 설화와 연결된 효부 풍순이와 기득이 설화에서 이름이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풍기동은 본래 온양군 서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 속하는 법정리. 해암리(海巖里)는 해암1리~해암4리로 이루어지며 인주면의 남쪽에 있는 마을로 주민의 반 정도가 농업에 종사하고 나머지 일부는 인근 공장에 나간다. 해암리에서 ‘해암(海巖)’이라는 명칭은 모양이 게와 똑같이 생긴 바위가 있어서 ‘긔해’, ‘게해’라 불리다가 한자로 ‘해암(蟹巖)’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행목리(杏木里)는 신창면의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행목1리~행목5리로 이루어진다. 장항선 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의 종점인 신창역이 있고, 신창역 맞은편에 한국폴리텍Ⅳ대학 아산캠퍼스가 자리잡고 있어 농업에 종사하는 주민은 많지 않고 상업이나 서비스업 등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다. ‘행목리’라는 명칭은 1914년...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향산리(鄕山里)는 도고면의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는 온천대로[국도 21호선]를 따라 길쭉한 형태로 발달한 마을이다. 주민 중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절반 이하이고, 나머지는 요식업, 농기계 수리와 판매, 구판장, 주유소, 부동산 중개업 등으로 소득을 올리고 있다. ‘향산리’라는 명칭은 1914년 가향리(佳鄕里)...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호산리는 호산1리~호산5리로 구성되어 있는 농촌마을이었으나, 1990년대 들어 덕우직업전문학교 및 상가와 아파트 등이 들어서는 등의 발전을 보이고 있다. 호산리의 마을 뒷산이 호랑이[범]처럼 생겼다 하여 범미, 버미라 했고 범이 있는 산이라 하여 ‘호산(虎山)’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호산리는 본래...
-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홍곳리는 선장면의 북동쪽에 있으며 선장면, 신창면, 인주면 세 면의 접경 지역이 된다. 선장면에서도 부촌에 속하며 주민의 대부분은 농사를 짓고 일부는 인근 회사에 다닌다. 홍곳리의 원래의 명칭은 홍곶리(洪串里)였는데, ‘홍곶(洪串)’의 ‘홍(洪)’은 넓다는 뜻이고, ‘곶(串)’은 작은 반도라는 의미...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천리(禾川里)는 화천1리와 화천2리로 이루어지며 도고면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주민들의 주업은 벼농사와 쪽파 재배이다. 화천1리에는 입향조인 임수겸이 지었다고 하는 갈곡 연정이 있다. ‘화천리’라는 명칭은 1914년 수동(禾洞)과 대천리(大川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한 자씩 따서 ‘수천리(禾川里)’라 썼는데,...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황산리(黃山里)는 황산1리, 황산2리로 이루어지며 신창면의 동쪽 끝에 있는 농촌마을이다. 황산1리에는 경찰대학이 들어섬으로써 대다수 주민들은 다른 곳으로 이전을 하였다. 황산2리 주민들의 주요 소득원은 벼농사이다. ‘황산리’라는 명칭은 1914년 황동(黃洞)과 오산리(烏山里)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속하는 법정리. 회룡리(回龍里)는 회룡1리와 회룡2리로 이루어지며, 외지에 있어 교통이 불편한 편이다. 주로 농업에 종사하지만 호서대학교 아산캠퍼스와 경계를 이루는 지역에는 서비스업도 활발하다. 회룡리는 하늘나라의 용이 다시 돌아온 마을이라는 전설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회룡1리의 양목골은 조선시대 약수터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효자리(孝子里)는 도고면의 서쪽 외곽으로 아산시와 예산군의 경계에 있으며, 주민들의 주업은 농업으로 벼농사가 가장 많다. 밭작물로는 대파, 열무, 쪽파를 생산하는데, 효자리의 특산물인 대파는 품질이 뛰어나다. ‘효자리’라는 명칭은 효자동(孝子洞)에서 유래되었는데, ‘효자동’은 효자가 많이 난 곳으로 효자 최익...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속하는 법정리. 휴대리는 휴대1리, 휴대2리, 휴대3리, 휴대4리로 이루어지며 벼농사와 고추농사를 주로 짓는다. 천안시와 가깝고 교통이 편리하여 아산신도시의 개발에 발맞춰 도시 개발이 이루어질 여지가 많은 마을이다. 휴대1리 마을은 조선시대에는 동하리라 불리었는데, 조선 말엽 호조참의를 지낸 맹씨가 이 마을에 거주하면서 중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