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유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259
한자 쥐 由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수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3년 4월 10일 - 「쥐 유래」 김석철[남, 80세]으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4년 9월 30일 - 「쥐 유래」 『동작구지』에 수록
성격 설화|민담
주요 등장 인물 대감|남성
모티프 유형 끝없는 이야기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에서 혼인하기 위하여 쥐가 한국에 오게 된 유래를 말한 남성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개설]

「쥐 유래」는 끊이지 않는 이야기를 들려주면 혼인할 수 있다는 말에 쥐가 한국에 온 유래를 이야기하는 것으로써 혼인에 성공한 남성과 관련한 민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쥐 유래」는 1993년 4월 10일 동작구 상도1동 노인정에서 김석철[남, 80세]에게 채록한 것으로, 1994년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 간행한 『동작구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에 어느 대감의 외동딸에게 청혼이 끊이질 않았다. 한 남성이 대감의 외동딸과 혼인하고자 대감댁을 찾아갔다가 대감댁에서 ‘외동딸과 혼인하려면 대감이 답을 미처 하지 못하도록 이야기를 해야 한다’는 내용을 적어 붙인 것을 보게 되었다. 그래서 남성은 대감에게 쥐 유래의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옛날에 중국에 있던 쥐가 조선은 먹을 게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바다를 건너오려고 하면서 큰 쥐가 앞에 서고 다른 쥐들이 꼬리를 연이어 물고 바다에 들어갔다는 부분까지 이야기를 하는데 이때까지 대감이 호응을 하며 듣고 있었다. 이후 남자가 쥐가 물에 들어가서 탐방탐방 소리가 난다고 끝없이 반복하며 말하자 대답을 미처 못한 대감이 딸과 남자의 혼인을 허락하였다. 이런 연유로 한국에 쥐가 생겼다고 전하여진다.

[모티프 분석]

「쥐 유래」는 쥐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물을 건넌다는 이야기로 널리 전해지는 설화이다. 이야기가 끝이 없이 이어진다는 측면에 따라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이나 횡성군 공근면에서는 「끝없는 이야기」,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에서는 「끝이 없는 얘기로 부잣집 사위된 총각」으로 전해지기도 한다.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1동에서 전해오는 「쥐 유래」는 대감댁 사위가 되고자 한 남성의 이야기 속에 쥐가 한국에 오게 된 내력이 액자식 구성으로 제시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