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824
한자 琴湖高等學校
영어공식명칭 Kumho High School
이칭/별칭 금호고,금호고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금호로 100[운암동 14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효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73년 1월 25일 - 금호고등학교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73년 3월 8일연표보기 - 금호고등학교 개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2월 9일 - 금호고등학교,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지난 5년간 수능 성적 향상 7대 고등학교로 선정
최초 설립지 금호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금호로 100[운암동 140]
현 소재지 금호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금호로 100[운암동 140]지도보기
성격 사립고등학교
설립자 박인천
전화 062-608-1000
홈페이지 http://kumho.gen.hs.kr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금호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전인적인 사람'을 기르는 것과 '개척적인 사람'을 기르는 것, 창의적인 사람을 기르는 데 있다. 교훈은 '진취'이다.

[변천]

1973년 1월 25일 금호고등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아 같은 해 3월 8일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하였다. 2019년 9월 1일 제12대 김형곤 교장이 취임하였다. 2021년 1월 19일에 제46회 졸업식을 통해 232명이 졸업하여 총 21,04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금호고등학교의 특색 사업은 첫째,'글로벌 리더십 교실, 수학 문화 주간, 과학탐구실험대회, 리더 비전 트립-진로 탐험 이야기를 통해 리더십을 갖춘 창의적 사고 역량을 갖추는 것이다. 둘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국제학생콘퍼런스[International Students’ Web Conference]를 통해 글로벌 지식 정보처리 역량을 함양하는 것이다. 셋째, 자율 동아리 활동이나 선생님과 함께하는 독서 모임을 통해 의사소통 역량을 함양하는 것이다. 넷째, 더불어 잘사는 ‘글로벌 시민교육 프로젝트'와 텃밭 가꾸기 등을 통해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고 인성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다섯째, 학생 창의 전공 설계 캠프 등을 통해 자기 관리 역량을 함양하는 것이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은상/ 작곡 박태준]는 다음과 같다.

[1절] 겨레의 얼이 깃든 전통의 터전/ 무등산 아침 햇빛 눈이 부시다/ 세기의 빛을 받은 학문의 동산/ 새 나라 세울 일꾼 여기 모였다

[2절] 슬기롭게 자라는 배달의 아들/ 가슴에 번쩍이는 늘 푸른 이상/ 미덥다 늠름하다 보람찬 모습/ 새 사회 꾸밀 일꾼 여기 모였다

[후렴] 어둠과 거짓을 물리치려고/ 밝음과 참됨을 가르치는 곳/ 조국과 인류의 영광을 위해/ 오래거라 빛나거라 금호고등

2. 교화: '백목련'으로, '순수하고 담백한 기상과 겸양의 덕'을 상징한다.

3. 교목: '메타세쿼이아'로, '늠름하고 진취적인 기상'을 상징한다.

4. 교색: '초록'으로, '항상 푸르고 싱싱함'을 상징한다.

[현황]

금호고등학교는 2021년 2월 6일 기준 총 682명의 남학생이 재학 중이며, 교원 수는 57명[남 36명 , 여 21명]이다. 학급당 학생 수는 26.2명이고,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3.6명이다. 기숙사, 보건실, 도서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 금호고등학교(http://kumho.gen.hs.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