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331
한자 文化洞市外-停留所
영어공식명칭 Munhwa-dong Intercity Bus Stop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120[두암동 859-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희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문화동시외버스정류소 -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 지도보기
성격 시외버스정류소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에 있는 시외버스정류소.

[개설]

문화동시외버스정류소는 전남, 경남, 경북, 서대구시외행이 필히 경유하는 정류소이다. 이전에는 담양의 311번 농어촌버스가 정차하였지만, 2017년 5월 1일부터 안전사고로 인하여 농어촌버스를 취급하지 않게 되었다. 승차의 경우 표 구매를 위한 정류소 건물이 있기 때문에 자리가 눈에 확연히 보이지만, 하차의 경우는 표지판만 있어 눈에 잘 띄지는 않는다. 하자 자리는 우산근린공원 쪽에 있으며, 택시정류장에서 남쪽으로 조금 내려오면 있다.

[구성]

문화동시외버스정류소도 다른 시외버스정류소처럼 매표원은 상주하지 않고 무인발매기만 있다.

[현황]

문화동시외버스정류소는 담양, 곡성, 순천, 순창, 남원 등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동부 지역을 오가는 이용자가 하루 평균 2,500명에 달하고 있으며, 말바우시장, 우산근린공원 등을 찾는 시민들도 이용하는 중요 시설이다. 하지만 버스 시간표도 칠판에 분필로 기록하고 있고, 시설이 너무 열악하여 개선해야 한다는 민원이 계속 발생하였고, 2019년에는 광주광역시장이 직접 ’현장 경청의 날‘을 진행하여 앞으로 시설 개선을 하겠다는 발표를 하기도 하였다.

매표원은 없고, 무인발매기가 있으며, 발권을 하면 ’문화동‘이라고 찍힌 표를 받을 수 있다. 이동하는 버스의 운행 방향은 3개 권역으로 나뉜다. 전남권은 여수, 순천, 담양, 곡성, 구례, 화엄사, 옥과이다. 전북권은 남원, 무주, 장계, 안성, 강천사, 순창, 금성, 금과이다. 경상권은 서대구, 거창, 함양이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청(https://www.gwangju.go.kr)
  • 유스퀘어(http://www.usquare.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