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791
한자 光神大學校
영어공식명칭 Kwangshin University
이칭/별칭 광신대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택지소로 36[본촌동 132-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96년 12월 11일 - 광신대학교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65년 3월 4일연표보기 - 광주신학교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72년 10월 12일 - 광주신학교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90년 8월 25일 - 광주신학교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96년 10월 26일연표보기 - 광주신학교에서 광신대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광주신학교 - 광주광역시 동구 대의동 57 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광주신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금호로40번길 9[운암동 110-11]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광주신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택지소로 36[본촌동 132-1]
현 소재지 광신대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택지소로 36[본촌동 132-1]지도보기
성격 사립대학교
설립자 대한예수교장로회
전화 062-605-1004
홈페이지 광신대학교(https://www.kwangshin.ac.kr)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본촌동에 있는 사립 대학.

[교육 목표(교훈 포함)]

광신대학교 교육 목표는 '교회와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기독교의 지도자 양성'이다. 교훈은 '칼빈주의 신학의 보수와 선포', '성령충만으로 세계복음화', '경건한 신앙의 생활화'이다.

[변천]

광신대학교는 1954년 10월 광주시 동구 대의동광주신학교를 인가받아 개교하였다. 1956년 10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제40회 총회에서 신학교로 인준받고, 1965년 3월 광주신학교를 설립, 주간신학교를 개교하였다[광주중앙교회]. 1972년 10월 북구 운암동, 1990년 8월 지금의 주소지인 본촌동으로 이전하였다. 1992년 12월 학교법인 광신학원을 설립, 1996년 12월 11일 광신대학교를 인가받았다.

[교육 활동]

광신대학교는 교회와 산학협력의 내실화 및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사회봉사와 해외선교를 실천하고자 한다.

[교가와 상징물]

교가[작사 H.P. Main/작곡 W. A. Mozart]는 찬송가 '십자가를 내가 지고'[통일 367번]로, 다음과 같다.

[1절] 십자가를 내가 지고 주를 따라가도다/ 이제부터 예수로만 나의 보배 삼겠네/ 세상에서 부귀영화 모두 잃어버려도/ 주의 평안 내가 받고 영생 복을 얻겠네

[2절] 주도 곤욕 당했으니 나도 곤욕 당하리/ 세상 친구 간사하되 예수 진실하도다/ 예수 나를 사랑하사 빛난 얼굴 뵈시면/ 원수들이 미워하나 염려할 것 없도다

[3절] 내가 핍박당할 때에 주의 품에 안기고/ 세상 고초 당할수록 많은 위로 받겠네/ 주가 주신 기쁨 외에 기뻐할 것 무어냐/ 주가 나를 사랑하니 기뻐할 것뿐일세/ 아멘

[현황]

광신대학교는 2021년 기준 5개 학부와 6개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2020년도 대학정보공시 전임 교원 1명당 학생 수는 26.82명, 취업률은 61%를 기록하였다. 2021년 대학정보공시에 따르면 취업률은 58.6%이고, 전임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27.98명이다. 재학생은 534명[남 234명, 여 300명]이며, 전임 교원은 146명[남 95명, 여 51명]이 근무하고 있다. 부설 교육기관으로 보육교사교육원, 평생교육원, 생활한방교육원, 외국인근로자성경아카데미[한국어과정], 어린이집, 사모상담전문지도자과정, 여자신학원[여전도사과정], 한국어교육원, 목회자심리상담사과정, 한국가족치유상담교육원, 성지연구소, 성경해석학연구소, 고대근동어연구소, 개혁주의 신학연구소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