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965
한자 道天書院
영어공식명칭 Do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진성로 75[당곡리 325-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백지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46년연표보기 - 도천서원 건립
현 소재지 도천서원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진성로 75[당곡리 325-3]지도보기
원소재지 도천서원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진성로 75[당곡리 325-3]
성격 서원
양식 팔작지붕[강당]|맞배지붕[경덕사]
정면 칸수 6칸[강당]|경덕사[3칸]
측면 칸수 3칸[강당]|경덕사[2칸]
관리자 경주 이씨 문중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당곡리에 있는 서원.

[개설]

도천서원은 이알평(李謁平)[?~?]·이천(李蒨)[1274~1349]·이제현(李齊賢)[1287~1367]·이지회(李之會)[?~?]·이항복(李恒福)[1556~1618]을 제향하는 서원으로, 1946년에 건립되었다.

이알평은 신라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신라 육촌장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으로 경주 이씨 가문의 시조이다. 이천의 자는 군실(君實), 호는 국당(菊堂),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1299년(충렬왕 25)에 국자감시(國子監試)에 합격하였으며, 후에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에 봉해졌다. 경주 이씨 국당공파의 파조이다. 이제현의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역옹(櫟翁),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공민왕 연간 정승을 지내며 국정을 총괄하였고, 지공거(知貢擧)로서 이색(李穡) 등을 선발하였다. 문집으로 『익재집(益齋集)』이 전한다.

이지회의 호는 가은(佳殷)으로, 조선 전기 예조참판(禮曹參判)을 지냈다. 허조(許稠)·황희(黃喜) 등과 교유하였으며, 경주 이씨 소경공파(少卿公派)의 파조이다. 이항복의 자는 자상(子常), 호는 필운(弼雲)·백사(白沙)·동강(東岡),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1580년(선조 13)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관직은 영의정(領議政)에 올랐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 1등에 녹훈되고, 오성부원군(鰲城府院君)에 봉해졌다. 문집으로 『백사집(白沙集)』이 전한다.

[위치]

진성초등학교 남쪽의 경산시 진량읍의 진성로를 따라 서쪽으로 약 200m 가량 이동하면, 도로 우측 편에 도천서원이 위치해 있다. 도천서원 남쪽으로 오목천과 합류하는 가야천이 흐르고 있으며, 동남쪽에는 옛 자인현(慈仁縣)의 진산인 도천산(到天山)이 위치한다. 북쪽에 형성된 경산시 진량읍 당곡리 안마실은 15세기 무렵 경주 이씨 가문이 개척한 마을이다.

[변천]

도천서원은 1946년에 역운처사(櫟雲處士) 이장희(李章熙)를 중심으로 경주 이씨 문중에서 건립하였다. 도천산 아래에 서원을 건립하여 ‘도천서원’이라 하였다. 이장희는 제향자 중 경주 이씨 소경공파의 파조인 이지회의 사손(嗣孫)이다.

[형태]

도천서원은 건인문(建仁門), 강당, 개원문(開元門), 경덕사(景德祠)로 구성되어 있다. 외삼문인 건인문을 지나면 중심 건물인 강당이 나온다. 강당은 정면 6칸, 측면 3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비교적 규모가 크다. 가운데 4칸은 대청을 깔고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온돌방 1칸씩을 둔 중당협실형(中堂夾室形) 평면 구조이다. 전면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뜬장여를 화반이 받치고 있으며, 기둥은 원기둥을 사용하였고, 잘 치석된 원형초석으로 마감하였다.

사당인 경덕사는 강당 오른쪽에 위치한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로, 내부에는 마루를 설치하였으며 문은 어칸과 협간 모두 쌍여닫이문으로 구성되었다. 기단은 장대석을 쌓아 올렸으며, 상부 마감은 시멘트로 보수·마감하였다. 기둥은 원기둥을 사용하였다. 사당 주위에 토담을 둘러 별도의 공간을 이루고 있다.

[현황]

도천서원은 매년 음력 3월 상정일(上丁日)에 향사를 지낸다. 후손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내부에 경주 이씨 소경공파 종친회[도천서원보존회] 사무소가 있다.

[의의와 평가]

도천서원은 경산 지역 경주 이씨 가문의 문중 활동 양상과 현대 서원의 특징을 보여주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