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에서 사랑을 주제로 하여 엮어 나가고 있는 노래. 「개성 난봉가」는 광혜원면 대막거리에서 개성의 명승을 주제로 사랑을 노래한 토속민요이다. 이를 「박연 폭포」라고도 한다. 경기도 민요로 분류되기도 하는 「박연 폭포」는 이 노래의 첫 구절 “박연 폭포가 흘러 흘러서 법사정으로 가구서”에서 따온 것이다. 사설은 세월이 흐르고 나이가 들기 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술을 권하며 부르는 유희요. 「권주가」는 술을 대작할 때 흥을 돋우기 위해 부르는 노래로서, 진천군 문백면에서 채집된 「권주가」는 구가(舊歌)와 현행가(現行歌)의 두 종류가 있다. 특히 진천군에서 전승되는 「권주가」는 “잡으시오 잡으시오 이 술 한잔 잡으시면 천만년이나 사오리다.”류의 사설을 가지고 있어서 현행가에 속한다. 충...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기생이 신세를 한탄하며 부르는 유희요. 「기생 노래」는 진천군 문백면에서 전승되는 소리로서, 기생 자신의 처지에도 불구하고 여자로서의 굳은 절개를 강조하며 신세타령을 하는 토속민요이다. 장구 장단은 잦은 타령으로 빠른 템포로 노래하는데, 3분박 4박자의 리듬형을 보이고 있다. 「기생 노래」의 사설은 비록 기생일지라도 그 절개는 성벽처럼...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김을 매면서 부르던 노래.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쓸데없는 잡초를 손이나 연장으로 뽑아버리거나 흙에 묻어 없애는 일을 ‘김매다’라고 하며, 매는 곳에 따라서 ‘논매다’ 또는 ‘밭매다’라고 한다. 「김매기 노래」에는 「논매기 소리」와 「밭매기 소리」의 두 가지가 있다. 광혜원면 회안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에서 말이나 소에게 먹일 풀을 베면서 부르던 노래. 꼴은 말과 소에 먹일 풀을 말한다. 진천 지역에서 채록된 「꼴베는 노래」는 꼴베는 총각을 주제로 한 노래로 남녀의 사랑을 묘사하는 토속 민요이자 노동요이다. 또한 지역의 사투리가 잘 나타나고 있다. 지역에 따라 「꼴베는 총각노래」라고도 부른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나무꾼이 땔감으로 쓸 나무를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나무하러 가면서 부른 노래」는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나무꾼들이 땔감을 구하기 위해 산으로 가거나 풀을 베면서 부르는 임산노동요이다. 진천 지역에서 들을 수 있는 「나무하러 가면서 부른 노래」는 「초부가(樵夫歌)」라고도 한다. 협의로는 나무꾼들이 땔나무를 하며 부르는 소리를 뜻하고...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맺힌 한을 물에 띄워 보내고픈 심정을 읊은 노래. 「노들강변」은 일제강점기에 새로이 창작된 유희적 성격이 강한 신민요로서 2절로 되어 있다. ‘에헤요 봄버들도 못잊을까 하노라’라는 후렴구가 각 절의 끝에서 반복되며, 3절로 되어 있는 서울·경기 지역의 「노들강변」보다도 후렴구가 짧다. 즉 진천 지역의 「노들강변」은 서울·경기...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달구질 노래」는 집터를 다지거나 말박기를 할 때에 부르는 토건노동요이며, 무덤을 조성하면서 하관 후 관 주변에 흙 또는 회를 넣고 다질 때에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이를 「달구 소리」라고도 하는데, 특히 무덤을 만들 때는 흙에 회를 섞어서 다지기 때문에 「회다지 소리」, 「회방아 소리」라고도...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담배를 소재로 과부의 힘든 생활을 읊은 노래. 「담배 노래」는 담배를 소재로 하고 있으며, 사설은 과부의 힘든 생활을 묘사한 신세타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담바귀 타령」이라고도 한다. 「담배 노래」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나타나는데, 특히 경상북도 안동에서 전승되고 있는 노래의 길이는 매우 길다. 진천의 「담배 노래」는 사...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부족한 돈에 대한 심정을 읊은 노래. 「돈타령」은 문백면 장월리에서 돈을 주제로 하여 돈이 없다고 푸념을 늘어놓는 민요이다. 「돈타령」은 어려운 농촌 생활에서 부족한 돈에 대한 집착이 강하게 표현된 노래이며, 이를 통하여 진천 지역 농민들의 힘든 생활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판소리 「흥부가」에 「돈타령」이 나오며, 이를 차용...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어린아이들이 모래를 가지고 놀면서 부르던 노래. 「두꺼비 노래」는 모래밭에서 모래를 가지고 두꺼비집짓기 놀이를 할 때에 부르던 아동유희요이다. 「두꺼비 노래」는 덕산읍 구산리에서 채집되었지만 인근 지역에서도 볼 수 있으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을 정도로 일반화되어 있다. 두꺼비집짓기 놀이는 혼자서 하는 경우는 드물고, 여러...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와 덕산면 구산리에서 땅을 다질 때 부르던 노래. 「디딤이」는 집터를 다질 때나 말 박기를 할 때 부르는 토목노동요의 하나이다. 지역에 따라 「집터 다지는 노래」, 「땅 다지기」로도 불린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5세]와 덕산면 구산리에 사는 주광식 외 2명이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에서 명승지를 유람하며 즐겁게 살자는 내용을 읊은 노래. 「만고강산(萬古江山)」은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변함이 없는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산천경개(山川景槪)라는 뜻이다. 이 노래는 우리나라의 금강산·지리산·한라산 등을 중국의 삼신산(三神山)과 비유하고 있다. 내용은 이른 봄에 삼신산을 찾아 나선 작가가 유명한 명승지와 풍취를 찬양...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서 밤과 생쥐의 재미있는 모습을 읊은 노래. 「밤노래」는 밤을 주제로 하여 재미있는 사설로 노래하는 유희요이다. 민요에서 유희요는 놀이와 더불어 그 진행을 돕거나 혹은 흥을 더하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이때 구연되는 사설의 틀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즉흥적이면서 가변적인 양상을 띤다. 「밤노래」의 사설은 밤 한 톨을 새앙쥐가 먹...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던 노래. 「방개 소리」는 백곡면 구수리에서 논을 김매기하면서 부르는 「논매기 소리」의 일종인 토속민요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는 논농사와 관련된 노동요가 많이 채집된다.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는 「논매기 소리」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방아 소리」가 그 중 하나인데, 「방개 소리」는 이것의 변형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선비가 자연을 벗 삼아 인생사를 읊은 노래. 「백구가(白鷗歌)」는 벼슬에서 밀려난 선비가 자연을 벗 삼아 갈매기가 날아다니는 봄 경치를 즐기는 한가로움, 자연 속에서 느끼는 무소유의 자유로움,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 등을 표현하고 있다. 「백구가」는 사설 첫 머리의 ‘백구야 가지를 마라’에서 백구를 차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이...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에서 청춘이 가고 백발이 오는 것을 탄식하며 부르던 노래. 조선 후기에 편찬된 가사집 『경세설(警世說)』에 다른 12편의 가사작품과 함께 작자·연대 미상의 「백발가(白髮歌)」가 실려 전한다. 작자가 꿈에 어떤 걸인 행색의 노인을 만나 그로부터 젊은 시절의 행적과 백발의 한스러움을 자탄하는 이야기를 듣는 문답식으로 이루어진 내용이다. 진천 지역에서 채...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과 문백면에서 뱃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뱃노래」는 어업노동요로 분류되는데, 충청북도 내륙 지방인 진천군에서 「뱃노래」가 전승되는 점이 주목된다. 「뱃노래」는 일반적으로 바닷가 마을에서 성행하지만 내륙 지방에서도 큰 강이나 저수지에 접해 있는 지역에서도 채집되고 있다. 해안 지역에서 채집되는 「뱃노래」는 배를 닦으면서, 혹은 그물을...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와 문백면 장월리에서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잡가의 하나. 후렴구에 ‘사랑아’란 말이 있어 「사랑가」로 불린다. 민요나 잡가에는 남녀의 사랑을 그린 노래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황해도의 「난봉가」, 함경도의 「어랑 타령」, 전라도의 「등가 타령」, 경기도의 「한강수 타령」 등이 대표적이다. 지역에 따라 「사랑요」, 「님 생각」, 「처녀 총...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상례(喪禮)할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상여 소리」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지역에 따라 「만가(輓歌)」·「향도가」·「회심곡」·「향두가」·「행상 소리」·「옥설개」·「설소리」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에서 수절의 어려움을 노래한 민요. 「수절가」는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수문마을에서 과부가 정절을 지키며 겪는 어려움을 표현하고 있는 토속민요이다. 최명환의 「수절가」는 사설이 매우 짧은데, 이는 노래하는 사람이 기억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수문마을의 주민 최명환[남, 미상]과 최권식[남,...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읊은 노래. 「시집살이 노래」는 여성들이 부르던 부요(婦謠)로서, 봉건적 가족 관계 속에서 겪는 여성들의 한스러운 삶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이를 「시어머니 노래」라고도 한다.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채록된 「시집살이 노래」의 사설은 출가한 여성이 힘들고 고된 시집살이를 겪고 난 후 좋은 시절이 온 것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멀리 떠난 남편을 그리워하는 여성요. 「임 그리는 노래」는 진천군 초평면과 광혜원면에서 전승되는 소리로서 멀리 떠나서 소식이 없는 남편을 그리워하는 여성들의 가창유희요이다. 대부분 여성들이 혼자서 음영(吟詠)하며, 일반적으로 3분박 4박자의 리듬을 보이고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수문마을의 주민 최권식[남, 60]...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에서 조자룡(趙子龍)을 흠모하며 부르던 노래. 「자룡가(子龍歌)」는 초평면 금곡리에서 소설 『삼국지(三國志)』의 등장인물인 조자룡과 관련하여 전승되어 불리는 토속민요이다. 우리나라 토속신앙 중에는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나오는 관운장(關雲長)와 조자룡을 신으로 모시는 풍습이 있다. 「자룡가」는 조자룡이 유비의 아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구산리에서 어린아이들이 잠자리를 잡으면서 부르던 노래. 「잠자리 노래」는 덕산면 구산리에서 어린이들이 잠자리를 잡을 때 부르던 동요이다. 사설의 첫머리인 ‘나마리동동 싸리[파리]동동’에서 ‘나마리’를 차용하여 「나마리 노래」라고도 한다. 예전의 어린이들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여러 동물들을 놀이의 대상으로 삼았다. 낮게 날아다니면서 주위...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후렴에 ‘아리랑 아리랑’을 부르는 아리랑류의 민요. 「초평아리랑」은 광혜원면 실원리, 백곡면 구수리, 덕산면 구산리·석장리 등의 일원에서 채집되고 있는 토속민요이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라는 후렴구를 노래하면서 장절을 나누고 있다. 리듬 박자는 3분박 4박자로 되어 있다. 이종수와 이재복의 노래는 사설...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여인이 자신의 운명을 탄식하며 부르는 민요. 「팔자요」는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전승되는 노래로 어려서부터 늙을 때까지 여인의 풍모와 심정을 형상화한 여자탄식요이다. 이를 「신세한탄 노래」·「세월한탄 노래」라고도 일컫는다. 혼자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음영(吟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사설은 3·4조 내지 4·4조로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기생첩을 데려온 남편 때문에 죽음을 선택했다는 부녀요. 「한양낭군가」는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서 전해지고 있는 한양에 간 낭군이 첩을 데려와 속을 썩이자 결국 죽음을 택했다는 노래로, 내용이 짧으면서도 묘미가 있는 옛 여인의 서사민요이다. 「한양낭군가」는 경상남도 지역에서 불리는 「진주낭군가」와 사설의 내용이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시집살...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초평면 금곡리에서 화투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화투뒤풀이」는 광혜원면 실원리와 초평면 금곡리에서 채집된 노래로서, 12종류의 그림으로 이루어진 화투 그림을 1년 열두 달에 비유하고 월별에 따라 해학적으로 풀이한 달거리식[月令體]의 토속민요이다. 이를 「화투 타령(花鬪打令)」, 「화투 노래」, 「화투푸리」라고도 한다. 「화...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환갑의 부모가 자식에 대한 마음을 담아 부르는 유희요. 「회갑 노래」는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회갑이 된 부모가 자식들에 대한 사랑과 소망을 사설로 엮어서 부르는 토속민요이다. 이를 「환갑 노래」라고도 일컫는다. 회갑 때에 회갑을 맞이한 사람이 부르던 소리로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민요는 찾아보기 어렵다. “하늘 같은 우리 가장 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