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탄천선생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0328
한자 -炭川先生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경기도 성남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전관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문문집
저자 이지직
편자 이지직
편찬연도/일시 1916년연표보기
권수 1권
책수 1책
사용활자 목활자본
가로 16.6㎝
세로 20.8㎝

[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이지직의 문집.

[개설]

이지직(李之直)[1354~1419]은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평(伯平), 호는 탄천(炭川)이다. 1380년(우왕 6) 과거에 급제하고, 한림, 교리를 거쳐 관동과 호서 지방의 관찰사 등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정치적 격변기에 고위직을 역임하였다. 1398년(태조 7) 보문각직제학 재임 당시 소도 변란이 일어 광주[지금의 성남]의 탄천(炭川)에 은거하며 독서를 일삼아 사람들이 그를 ‘탄천선생’이라 불렀다.

[편찬/발간경위]

『탄천선생유고』는 그의 아버지인 둔촌(遁村) 이집(李集)의 『둔촌유고』에 『둔촌선생세고(遁村先生世稿)』라는 제목 아래 아우인 문숙공(文肅公) 이지강(李之剛), 이지직의 둘째아들인 풍애(楓崖) 이인손(李仁孫)의 글과 함께 합집으로 편찬되어 간행되었다.

[형태]

『탄천선생유고』는 1권 1책의 목활자본으로 크기는 가로 16.6㎝, 세로 20.8㎝이다.

[구성/내용]

『탄천선생유고』에는 이지직이 관동의 안찰사로 있을 때 양양의 이사군(李使君)에게 경치 좋은 곳에서 벼슬을 하는 것을 치하한 3편의 시 「증양양이사군삼수(贈襄陽李使君三首)」, 평창군에서 목민관으로서의 임무를 노래한 시 「평창군제영(平昌郡題詠)」, 동해에 사는 벗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시 「증우인(贈友人)」 등의 시가 실려 있다.

부록으로 이지직의 일생을 기록한 「유사(遺事)」에는 이지직포은 정몽주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도학의 종지(宗旨)을 얻어 학식이 높고 일처리가 엄정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태종 이방원이 방석을 제거하려 했을 때, 그 부당함을 알리다가 삭탈당하고 변계량의 도움으로 자손들도 금고(禁錮)를 당하는 데 그쳤다고 했다. 그리고 얼마 뒤 한적한 광주 탄천으로 옮겨와 단사표음(簞食瓢飮)[도시락 밥과 표주박 물, 즉 청빈한 생활의 비유]의 삶을 살아서 그때 학자들이 탄천선생이라고 불렀다고 했다. 태종의 임종 시에 태종은 그의 충정을 한나라의 충신 주운(朱雲)에 견주면서 데려다 쓰라고 하여 세종이 그를 불러들였으나, 끝내 조정으로 돌아오지 않고 임천(林泉)에서 살다가 죽었다고 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