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장대에 올라 서러움을 머금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1972
한자 -登將臺慷慨-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성남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전관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가(원작자) 영조(英祖)
성격 한시

[정의]

조선 영조남한산성에 들렀을 때 쓴 칠언절구 시.

[개설]

『남한지(南漢志)』권8에 「영조대왕어제(英祖大王御製)」라는 제목 아래 실려 있는 3수의 영회삼수(詠懷三首)인 ‘알원릉추모(謁園陵追慕)’, ‘좌행궁유감(坐行宮有感)’, ‘등장대강개(登將臺慷慨)’ 가운데 세번째 작품이다.

[역사적 배경]

실록에 의거하면, 1733년(영조 9) 헌릉(獻陵)[태종의 능]으로 행차할 때 쓰여진 작품으로 보인다. 또한 함께 실린 다른 작품들을 통해 볼 때 능행(陵幸) 중 남한산성에 들렀을 때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이 함락되었던 일을 회고하면서 이러한 불행한 일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기를 스스로 바라는 마음으로 썼다.

[내용]

“回駕直登西將臺(회가직등서장대)

君臣說往日昏來(군신설왕일혼래)

忽然慷慨不能抑(홀연강개불능억)

惟有善承善繼哉(유유선승선계재)“

“말 멍에 돌려 곧장 서장대에 올라서

옛날 일 나누는 사이 해가 저무는구나

문득 강개해지는 마음 억누를 길 없으니

오직 할 일이란 선왕들의 일을 잘 이어가는 일뿐이로구나“

[평가]

청나라에 굴욕을 당한 뒤로 조선 후기 왕들은 성벽의 축조와 개수에 많은 노력들을 기울었다. 영조의 이 시 역시 청나라에 당한 치욕을 다시는 반복하지 말고 사직을 이어가야 한다는 왕으로서의 다짐이 잘 담겨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