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0714 |
---|---|
한자 | 東遠橋 |
이칭/별칭 | 머내1교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성환,서철수 |
준공 시기/일시 | 1968년![]() |
---|---|
증설|폐설 시기/일시 | 1992년 - 동원교 증설 |
전구간 | 동원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동원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
성격 | 교량 |
길이 | 75m |
차선 | 4차선 |
폭 | 30m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과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를 연결하는 다리.
동원교는 성남시의 서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청계산 산지에서 발원하여 성남시 중앙부를 관통하는 탄천으로 유입하는 성복천과 동막천이 합류하는 지점 하류에 건설된 다리이다. 1968년에 건설되었으나 교통량이 증가하여 1992년 확장 건설하였다.
동원동의 이름을 따서 동원교라고 하였으며 현재는 머내1교로도 부른다.
동원교는 1968년 최초 설치 당시는 총연장 72m, 교폭 8,5m이었다. 1992년 연장 75m, 교폭 30m로 증설하였으며, 축조 형식은 피시(PC) 슬래브 방식이다.
동원교는 지방도 23호선을 개설할 당시 수지 지역과 성남 지역을 잇는 도로 시설물로 건립하였다.
1968년에 건설되었으나 교통량의 증가로 도로 확장 및 노선을 개선할 필요에 따라 1992년 연장 75m, 교폭 30m로 증설하였다.
동원교를 지나는 도로는 지방도 23호선으로, 북쪽으로 수정구 고등동과 남쪽으로 경기도 용인시 수지 지역을 연결하여 지나는 대왕판교로 상의 시설물이다.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확장 공사를 할 때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나누었으며, 도로 가운데에 고가도로 형식인 머내고가교를 건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