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0959 |
---|---|
한자 | 碑石-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안수현 |
적당한 거리(2.5~3m)에 상대편의 비석돌(손바닥만한 납작한 돌)을 세워 놓고 자신의 비석으로 상대편의 비석을 맞혀 쓰러뜨리는 아이들의 놀이.
전국적으로 행해지는 놀이로, ‘비석치기’, ‘비석차기’라고도 한다. 특별히 때를 가려 행해지지는 않지만 선선한 가을부터 추석에 많이 행해진다. 보통은 동네의 아이들이 패를 나누어 노는데, 전체적인 틀에 마을과 아이들마다의 창의성이 더해진다.
놀이방식은 다양하나 기본적인 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서로 합의하여 그어놓은 선상에 비석을 세워두면 상대편은 반대편 선상에서 서 있는 비석을 향하여 비석을 던진다. 비석을 던진 사람은 앙감질(한 발로만 뛰어 걷는 것)로 한 발 내딛어 자기 비석을 밟는다. 물러나서 비석을 집어 한 발을 든 채로 서서 비석을 맞혀 쓰러뜨린다. 다음은 거리를 멀게 던져 나아가 비석을 맞힌다. 만약 비석을 맞히지 못하거나 넘어지거나 한 발을 땅에 디디면 지게 된다.
이러한 규칙에서 서 있는 비석을 맞히는 다양한 방법을 더한다. 발로 차서 비석을 쓰러뜨리거나 혹은 머리에 놓고 가서 쓰러뜨리기도 한다. 신체의 다양한 부분-어깨, 배, 궁둥이, 허리-를 사용하여 비석 쓰러뜨리기를 한다. 비석을 오른손에 들었으면 오른발을 들고 왼손이면 왼발을 든 채 가랑이 사이로 돌을 던져서 상대편의 비석을 맞혀 넘어뜨린다. 혹은 양 무릎 사이에 비석을 끼고 깡충깡충 뛰거나 살금살금 걸어가서 상대의 돌을 넘어뜨리는 방법 등이 있다.
비석치기도 전국적인 놀이의 하나이다. 마을 어른들의 기억에 의하면 비석치기를 하고 놀았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굳이 나이든 어른이 아니어도 40~50대의 어른들은 기억하고 있는 놀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