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1645 |
---|---|
한자 | 李景顔墓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산37-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주홍 |
성격 | 묘역 |
---|---|
양식 | 원형 합장분 |
관련인물 | 이경안 |
높이 | 1.4m |
지름 | 5.2m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산37-1
![]() |
소유자 | 덕수이씨 의정공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경안의 묘.
이경안[1572~1614]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 자는 여우(汝愚), 호는 송석(松石)이다. 순천군수(順天郡守)를 지낸 이통(李通)의 아들이다. 1591년(선조 24)에 진사가 되고, 1605년 별시문과에 급제한 후 예조좌랑, 정언을 거쳐 강서현령, 중화부사, 황해병사를 역임하였다. 그의 시부(詩賦) 작품은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유생에 의해 다투어 전사되어 세상에 크게 유행하였다.
이경안 묘는 분당~내곡간 도시고속화도로와 인접한 고등동 덕수이씨 묘역에 위치하며 아버지 이통 묘 하단에 동남향하여 있다.
봉분의 형태는 배위(配位) 증숙부인(贈淑夫人) 언양김씨와의 원형 합장분이다. 봉분 중앙에 묘표, 혼유석, 상돌, 향로석과 상돌 좌우로 망주석 등의 석물을 갖추고 있다. 이 중 상돌은 장방형 받침돌 위에 얹혀 있으며, 망주석은 간주석에 석수조각이 양각되어 있는데 짧고 뭉툭하다.
묘표(墓表)는 비좌와 비신 월두형으로, 비좌는 4면에 안상문과 상부에 단판 복련문이 조각되어 있다. 비신의 비문은 앞면에만 있으며, 세로 3줄로 ‘贈承政院度承旨行司諫院正言李公景顔之墓 贈淑夫人彦陽金氏祔左(증승정원도승지행사간원정언이공경안지묘 증숙부인언양김씨부좌)’라 새겨져 있다. 비의 총 높이는 132㎝로, 비좌 높이 28㎝, 너비 85㎝, 두께 53㎝, 비신 높이 104㎝, 너비 상 52㎝, 하 45.5㎝, 두께 19㎝이다.
이경안 묘는 현재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산37-1에 위치하며 덕수이씨 의정공파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