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1756 |
---|---|
한자 | 李塾墓 |
이칭/별칭 | 이숙의 묘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산17-1[궁내로 52]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민식 |
성격 | 능묘 |
---|---|
양식 | 원형 합장분 |
건립시기/일시 | 1689년 |
관련인물 | 이숙|이형신|송시열 |
높이 | 1.5m |
지름 | 5.4m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산17-1[궁내로 52]![]() |
소유자 | 전주이씨 덕양군파 종중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숙의 묘.
이숙[1621~1680]은 숙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학이(學而)이다. 중종의 다섯째 왕자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1524~1581]의 현손이자 봉산군(蓬山君) 이형신(李炯信)[1603~1682]의 아들이다. 음서(蔭敍)로 관직에 나아가 충좌위(忠佐衛)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으며, 한때 인선왕후(仁宣王后) 혼전(魂殿)의 집사관(執事官)을 지내기도 하였다.
묘소는 궁내동 윗말의 북서쪽 구릉에 자리 잡고 있는 궁내동 전주이씨 선영의 이형윤(李炯胤) 묘역에서 좌측으로 약 100여 미터 거리의 능선 상부에 동남향(東南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이숙 묘의 바로 하단에는 봉산군(蓬山君) 이형신(李炯信)의 묘가 위치한다.
이숙 묘역은 배여산송씨(配礪山宋氏)와의 합장분이다. 원형의 봉분은 용미와 활개를 갖추고 있으며, 크기는 높이 150㎝, 직경 540㎝이다.
묘역에는 봉분 중앙에 혼유석·상돌·향로석·우측에 백색화강암의 비좌와 비신 월두의 묘표 및 좌우로 망주석·문인석 등의 옛 석물을 갖추고 있다. 상돌은 고석 대신 계체석 위에 놓여 있는데, 크기는 높이 25㎝·너비 136㎝·두께 80㎝이다. 향로석은 4각으로 높이 34㎝·너비 28㎝이다. 망주석은 8각으로 좌가 높이 184㎝, 우는 높이 190㎝로 석수조각이 양각되어 있다. 문인석은 금관조복형으로 좌가 높이 166㎝·머리부분 58㎝, 우가 높이 160㎝·머리부분 60㎝로 눈꼬리를 위로 치켜 뜨고 조각수법이 치졸하며 2.5등신의 신체비율이다.
묘표는 봉분 우측에 동남향하여 있으며 비좌와 비신 월두형(月頭形)이다. 비좌는 마모되어 흑색으로 변색되어 있다. 비신의 비문은 전·후·좌(前·後·左) 3면이며, 전면에는 세로 3열의 대자(大字)로 ‘有明朝鮮禦侮將軍行忠佐衛副司果李公之墓 孺人礪山宋祔左’(유명조선어모장군행충좌위부사과이공지묘 유인여산송부좌)의 비문이 있다. 장남 이기홍(李箕洪)[1641~1708]이 스승인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1607~1689]에게서 묘표의 음기(陰記)를 받고, 동문(同門) 사제(舍弟)인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1641~1721]에게 글씨를 얻어 글자를 새겼으며, 표제(表題)는 기록하지 않았고, 건립연대는 1701년(숙종 27)이다. 크기는 비좌 높이 12㎝·너비 88㎝·두께 53㎝, 비신 높이 128㎝·너비 59㎝·두께 17㎝이며 총 높이 140㎝이다.
현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상태는 양호하고, 전주이씨 덕양군파 종중회에서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