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1829 |
---|---|
한자 | 李誾墓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33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주홍 |
성격 | 묘역 |
---|---|
양식 | 방형 쌍분 |
관련인물 | 이은 |
높이 | 1.2m |
지름 | 전후 3m|좌우 4.6m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33
![]() |
소유자 | 광주이씨 대종회 |
조선 전기의 문신 이은(李誾)의 묘.
이은[1455~1527]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화(子和), 호는 음애(陰厓)이다. 이극기(李克基)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1519년(중종 14)에는 현량과에 천거되었다. 고원군수를 지냈으며 기묘사화 때 영광군 서면 보라리로 유배되었다. 전라남도 영광의 보촌서원(甫村書院)에 제향되었다.
이은 묘는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33에 위치하며, 광주이씨 대종회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방형의 봉분은 숙부인 한양조씨(淑夫人漢陽趙氏)와의 쌍분이며, 봉분의 하단에는 장대석으로 둘레돌을 두르고 있다. 봉분 중앙에 묘표, 혼유석, 상돌, 향로석과 상돌 좌우에 망주석, 문인석 한 쌍 등 다수의 석물을 배치하여 놓았으나, 원래의 석물은 문인석 뿐이다. 문인석은 머리에 관모를 쓰고 얼굴에 눈을 지그시 감고 미소 띤 모습이다. 두 손은 깍지를 끼고 홀(忽)을 잡고 있으며 관복은 두 팔에 걸쳐 길게 발목까지 늘어뜨리고 있다. 아버지 이극기의 문인석보다 규모면에서 작지만 세련된 모습이다.
이은의 묘는 하대원동 돌마로와 경충국도가 교차하는 중원교 부근 남동쪽 나지막한 능선에 아버지 이극기의 묘 아래에 정동향하여 있다. 이은 묘 바로 아래에는 충무위사과(忠武尉司果)를 지낸 이희경(李熙敬)의 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