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2061 |
---|---|
한자 | 中央公園-群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산1-2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김충배 |
성격 | 고인돌군 |
---|---|
건립시기/연도 | 청동기시대 |
높이 | 53㎝|60㎝|40㎝|30㎝|90㎝|60㎝|30㎝|100㎝|70㎝|40㎝(1~10기순) |
지름 | 190㎝|200㎝|220㎝|250㎝|350㎝|415㎝|210㎝|150㎝|185㎝|120㎝(1~10기순)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산1-2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내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무덤군.
분당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조사된 171기의 추정 고인돌 중 대표적인 10기를 모아놓은 고인돌군이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산1-2번지에 위치한 중앙공원 내에 원형의 형태로 이전 복원되어 있다.
1980년대에 정부에서는 수도권 지역의 주택난 해소와 인구 분산을 목적으로 성남시 분당 일대에 대규모의 신도시 개발 계획을 수립하였고, 이에 따라 개발 사업으로 인해 사라질 수 있는 유적을 보전하기 위해 1989년 성남분당지구문화유적 지표조사, 1990년 분당지구문화유적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9개 기관 10개소에 대해 수행된 지표 조사와 발굴 조사를 통해 총 171기의 고인돌이 확인되었지만 대부분이 자연 암괴이거나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난 것들로 결론지어졌다. 다만 도촌동과 분당동 등 일부 지역에서 발굴된 고인돌들은 하부 구조 흔적이 확인되었으나 이 또한 심하게 교란되었고, 출토 유물이 약간의 민무늬토기 조각 이외에는 거의 전무한 상태여서 정확한 규모나 형태 및 성격이 파악되지 않았다. 현재 중앙공원에 놓인 고인돌들은 그 중 대표적인 것 10기를 모아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여 복원한 것들이다.
이전 복원된 10기는 각각 ① 한양대박물관에서 조사한 분당동 357-2번지의 190×152×53㎝ 규모를 가진 것과 200×126×60㎝ 규모를 가진 것 등 2기, ② 고려대박물관에서 조사한 야탑동 191-1번지의 220×150×40㎝ 규모의 것과 250×140×30㎝ 규모의 것, 그리고 야탑동 185번지의 350×280×90㎝ 규모의 것 등 3기, ③ 경희대박물관에서 조사한 야탑동 산30번지의 415×250×60㎝ 규모의 것 1기, ④ 성균관대박물관에서 조사한 야탑동 307번지의 210×170×30㎝ 규모의 것 1기, ⑤ 숭실대박물관에서 조사한 도촌동 산83번지의 150×80×100㎝, 185×100×70㎝, 그리고 120×130×40㎝ 규모의 것 등 3기로 구성된 것이다.
이들은 발굴 자료에 따라 엄격하게 복원되었다기보다는 조경을 고려한 임의적인 이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표 조사 당시 고인돌의 뚜껑돌(개석)과 동일한 재질의 암맥이 노두에 드러나지 않았고, 경작지에 흩어져 있던 암석들이 상당한 정형성을 보이고 있어 단순히 주변의 암맥에서 흘러나온 것으로 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또 일부 지역이기는 하나 고인돌의 하부 구조 흔적과 약간의 민무늬토기 조각 등이 확인되는 등 고인돌로서의 가능성 또한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아직까지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학계의 명확한 검토가 선행되지 않았으므로 섣부른 판단은 유보하여야 할 것이다.
조사 결과 확실한 고인돌 유적으로 볼 수 있는 명확한 유구가 없었고, 유물이 거의 전무하여 정확한 유적의 성격은 파악되지 않았지만, 일부에서 고인돌로서의 흔적이 발견됨으로써 고인돌의 자료가 매우 드문 이 지역 일대에 고인돌 사회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확인함과 더불어 고인돌 연구에 하나의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