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2282 |
---|---|
한자 | 韓士介墓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 산2-1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주홍 |
성격 | 능묘 |
---|---|
건립시기/일시 | 1521년 |
관련인물 | 한사개 |
높이 | 1.7m |
지름 | 13.3m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 산2-1
![]() |
소유자 | 청주한씨 문정공파 종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사개의 묘.
한사개[1453~1521]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렴(士廉)이다. 한계희(韓繼禧)의 넷째 아들이다. 1480년(성종 11) 별제(別提)에 제수되었으며, 이후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승진하여 영흥부사(永興府使)와 해주(海州), 광주(廣州), 진주(晉州) 등지의 목사(牧使)를 역임하였다. 사후 병조참판(兵曺參判)에 추증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계희의 묘소 아래에 있다.
활개를 두른 원형의 봉분은 하부에 백색화강암으로 높이 84㎝ 가량 둘레돌을 둘렀고, 각 면에는 무궁화·새·난초 등을 양각하였다. 봉분의 높이는 1.7m이며, 둘레는 13.3m이다. 묘역에는 상돌·8각 망주석·신도비 등의 석물이 있으며 문인석은 갖추고 있지 않다. 옛 석물은 신도비 뿐이며, 백색화강암제 상돌의 측면(側面) 에는 ‘광복후경신중춘대체수석(光復後庚申仲春代替竪石)’의 간지(干支) 가 소자(小字)로 음각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980년 보수한 것이다.
봉분 하단에는 청주 한씨 문정공파 묘역 신도비[경기도 문화유산자료] 중 묘갈이 남서향(南西向)한 채 세워져 있다.
봉분 하단에 위치하여 남서향(南西向) 하고 있는 신도비는 백색화강암의 비좌와 일석인 백색대리석의 비신 및 운문에 전후 일월문(日月紋)이 양각된 지붕돌[옥개석]을 갖추고 있다. 비좌는 4면에 안상문과 상부에 복련문이 조식되어 있으나 마모되었다. 비신의 비문은 전면(前面)에만 있으며, 비제는 분의정국공신정헌대부서천군시공간한공신도비명 병서(奮義靖國功臣正憲大夫西川君諡恭簡韓公神道碑銘 幷序)이다. 비문은 신용개(申用漑)[1463∼1519]가 찬하고, 신흠(申欽)[1566∼1628]이 서와 전을 했다. 크기는 비좌 높이 36㎝·너비 110㎝·두께 63㎝, 비신 높이 127㎝·너비 70㎝·두께 20㎝, 지붕돌 높이 48㎝·너비 78㎝·두께 24㎝이며 총 높이 211㎝이다.
현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주한씨 문정공파 종회에서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