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1038 |
---|---|
한자 | 蒙齋集 |
영어음역 | Mongjaejip |
영어의미역 | Collection of Mongjaejip Works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정명수 |
성격 | 문집|시문집 |
---|---|
관련인물 | 이안도(李安道, 1541~1584)|이만도(李晩燾, 1842~1910) |
저자 | 이안도(李安道, 1541~1584) |
저술연도/일시 | 1584년 |
간행연도/일시 | 조선 말기 |
권수 | 3권 |
책수 | 1책 |
사용활자 | 석인본 |
가로 | 28.8㎝ |
세로 | 19.5㎝ |
표제 | 蒙齋先生文集 |
간행처 | 도산서원 |
소장처 | 안동대학교 도서관|한국국학진흥원 도서관 |
소장처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388[경동로 1375]|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20[퇴계로 1997] |
[정의]
조선 말기에 간행된 안동 출신의 문신 이안도의 문집.
[개설]
이안도(李安道, 1541~1584)는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의 적손(嫡孫)으로 어려서부터 이황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천거를 받아 목청전참봉(穆淸殿參奉), 풍저창부봉사(豊儲倉副奉事), 상서원직장(尙瑞院直長) 등을 지냈다.
[편찬/발간경위]
『몽재집(蒙齋集)』은 도산서원에서 간행되었다고 하는데, 기타 간행 과정 및 시기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없어 자세한 내막은 알 수 없다.
[서지적 상황]
『몽재집』은 현재 안동대학교 도서관과 한국국학진흥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에 보관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형태]
3권 1책의 석인본(石印本)으로 반곽의 크기는 가로 15.5㎝, 세로 19.7㎝이다. 표제는 몽재선생문집(蒙齋先生文集)이다. 어미는 상화문어미(上花紋魚尾)로 행수는 10행, 한 행의 자수는 19자, 주석은 쌍행이다.
[구성/내용]
서문은 없다. 목록에 이어 「몽재선생연보(蒙齋先生年譜)」가 실려 있고, 9세 후손 이만도(李晩燾, 1842~1910)가 쓴 「연보발(年譜跋)」이 연이어 있다. 권1에는 42수의 시와 16편의 편지가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부분 퇴계 문하의 동문들과 수창한 것이다. 16편의 편지 중에는 퇴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이 두 편 있은데, 연보 작성과 관련해 동문들에게 보낸 「여동문제현품정선생년보(與同門諸賢稟定先生年譜)」와 예장시(禮葬時) 예의 절차에 대해 설명한 「여동문제현논선생예장시의절(與同門諸賢論先生禮葬時儀節)」이 그것이다.
권2에는 잡저(雜著)인 「선생언행차록(先生言行箚錄)」, 「가정잡록(家庭雜錄)」, 「고종기(考終記)」 3편과 「제례책(祭禮策)」, 「이항보파중외소진리해논(李沆報罷中外所陳利害論)」이 실려 있다. 권3에는 부록으로 21편의 만사와 15편의 제문, 유사(遺事), 유근(柳根)이 지은 묘갈명, 정곤수(鄭崑壽)가 지은 묘지명 등이 실려 있다. 이밖에도 이급(李級)이 지은 「동계서원봉안문」과 이식(李植)이 지은 「부공인권씨묘지명」이 부록되어 있다. 문집 끝에는 김도화(金道和)의 발문이 있다.
[의의와 평가]
『몽재집』의 잡저 부분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은 퇴계 이황의 인간적인 삶과 그 행적을 자세히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고종기」는 퇴계 이황의 임종 상황을 기록한 것으로 이황의 마지막 모습을 고찰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