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0746
한자 星州李氏
영어의미역 Seongju Yi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태성

[정의]

이순유를 시조로 하고 이만득을 입향조로 하는 창원시 세거 성씨.

[연원]

시조는 신라 말의 명재상 이순유(李純由)이다. 이순유는 신라 문성왕 때 이부 상서를 지낸 명신으로 경주 이씨(慶州李氏) 시조 이알평(李謁平)의 32세손이다. 이순유는 뒤에 이극신(李克臣)으로 개명했는데, 신라에서 재상까지 올랐으나 신라가 망하자 고려에 벼슬하지 않고 절개를 지켰다. 이순유의 12세손이며 중흥 시조인 이장경(李長庚)으로부터 8세(世) 안에 대제학 18명, 정승 15명 등을 배출하였다. 이장경의 아들 5형제는 모두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이백년(李百年)·이천년(李千年)·이만년(李萬年)·이억년(李億年)·이조년(李兆年) 등 모두 현달하였다. 그 중 이조년의 시조 「다정가(多情歌)」가 유명하다. 성주 이씨는 고려 후기에 성세를 보였는데, 조선 개국에 참여하여 개국공신 2명을 냈고, 문과 급제자 107명, 상신 1명을 배출하였다.

[입향 경위]

소산처사(小山處士) 이만득(李萬得)이 창원 평산으로 이거하여 입향조를 이루었다. 또 창원 북면 남백에 묘를 둔 백월산 아래에 살던 충의위부호군(忠義衛副護軍) 이세윤(李世尹)은 다른 일파로, 경상도 수군 절도사와 겸하여 창원 도호부사를 지낸 이영분(李永蕡)의 아들 이합(李欱)에게 권하여 처음 창원에 살게 되었는데, 이세윤의 5세조이다. 이합은 북면 남백에 이거하였다.

이세윤의 조부인 이광춘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공훈록에 올랐으며, 이후 대대로 벼슬이 끊이지 않았다. 한편 병마절도사를 지낸 이거인(李居仁)의 6세손인 교리(校理) 이학탑(李鶴傝)이 함안에서 창원으로 이거하였고, 그의 둘째 아들인 정곡공(定谷公) 이응룡(李應龍)이 백월산 남쪽으로 이거하였다. 이들의 재실로는 월산재가 있다.

김병린(金柄璘)이 지은 『월산재기(月山齋記)』에 성산 이씨의 내력과 창원으로 입향한 경위를 기록하고 있다. “군 북쪽 백월산 서쪽 기슭 양지쪽에 기와집이 있다. 이는 성산이씨의 것이다. 그 선조 정곡 이응룡이 지은 것이다. 전년에 후손 이종서(李棕瑞)가 내게 와서 말하였다. 우리 이씨는 동정공(同正公) 이무재(李茂材)에서 비롯하였다. 3대를 전하여 광평군(廣平君) 이능(李能)이 있었고 다시 5대를 전하여 병조 판서(兵曹判書) 정무공(靖武公) 이호성(李好誠)이 있다. 셋째 아들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이거인이 있고 절도사의 6세손 교리 이학탑이 함안에서 군의 남쪽으로 이주하였다. 둘째 아들 정곡공이 다시 이 마을로 이사를 왔으니 오래되었다. 재실 둘레에 사는 사람들은 모두 나의 종족이다.”

[현황]

창원시 의창구 팔룡동, 곧 지금의 평산 초등학교와 평산 중학교 자리에 있던 평산 마을이 성주 이씨 문열공파 평산 종회의 집성촌이다.

[관련 유적]

창원시 의창구 팔룡동 평산 공원 서남쪽에 이만득을 기리는 재실 연산재와 평산 유허비가 있고, 그 밖에 이응룡을 봉향하는 재실인 월산재가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3.02.25 [입향경위] 인명 수정 <변경 전> 이영분(李永蕡)이 그의 아들 이합(李欱)에게 <변경 후> 이영분(李永蕡)이 그의 아들 이갑(李欱)에게
이용자 의견
관** 디지털창원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하는데 시간이 지체되어 죄송합니다. 성주이씨 족보 1권 99쪽 내용 검토 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02.25
이** 이합(李欱)---을 "이갑(李欱)"으로 수정 바랍니다. 잘 보았읍니다. 2012.12.05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