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1018
한자 孝子
분야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집필자 김선명

[정의]

전통 시대 천안 지역에서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섬긴 인물.

[개설]

우리나라에 유교가 들어온 삼국 시대부터 효 사상은 중요한 덕목이었다. 오늘날의 국립대학이라 할 수 있는 고구려의 태학(太學), 신라의 국학(國學)에서 『효경(孝經)』은 중요한 교수 과목이었다. 통일 신라 시대 원성왕 때 실시한 독서삼품과에서도 『효경』은 시험의 필수 과목이었다. 고려 시대 국립대학인 국자감(國子監)에서도 『효경』은 필수 과목이었다.

성리학을 정치 이념으로 한 조선 시대에는 충효 사상을 사대부뿐만이 아니라 백성들에게까지 전파하기 위해 삼강오륜을 중요시하였고 그림과 한글로 만들어진 『삼강행실도』와 같은 책이 만들어졌다. 유교 윤리의 전파와 이를 통한 통치 체제의 안정이 그 목적이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사회 질서가 혼란해지자 효와 충은 더욱 중요한 유교의 실천 윤리로 등장하였다. 이에 국가적 차원에서 효자, 효부, 열녀에 대한 표창이 자주 이루어졌다.

천안 지역의 효자에 관한 기록은 『대록지(大麓誌)』, 『직산현지(稷山縣誌)』, 『영성지(寧城誌)』, 『대록삼강실록(大麓三綱實錄)』, 『여지도서(輿地圖書)』, 『조선환여승람(朝鮮環輿勝覽)』 등에서 찾을 수 있다.

[효자]

천안 지역은 예로부터 충효의 고장으로, 수많은 충신과 함께 효자·효부가 많이 배출되었다. 『대록지』에 수록된 효자는 서만(徐萬), 목주가의 주인공 효녀, 안죽향(安竹向), 이심언(李審言), 황덕휴(黃德休), 한인조(韓仁祖), 이란수(李鸞壽), 김원(金洹), 정연(鄭淵), 이탁(李倬)·이일(李佾)·이옥(李亻玉) 형제, 허상(許商)·허주(許周) 형제, 이반복(李潘福)의 장손, 김천규(金天揆), 김중기(金重器), 김득려(金得勵), 현부(玄俯), 한운(韓橒), 이기준(李頎俊), 김중정(金重鼎), 이순학(李順鶴), 이귀웅(李貴雄), 이병(李邴), 한상명(韓尙鳴), 유광익(柳光翼), 김철명(金哲命), 윤취갑(尹就甲), 김수필(金壽弼), 한이기(韓頤基), 윤헌(尹忄憲), 유하창(柳夏昌), 한정현(韓廷鉉), 김도혁(金道赫), 황기인(黃基仁), 한협(韓峽), 김한겸(金漢謙), 김의연(金義淵), 김인경(金隣慶), 강집(姜潗), 곽리제(郭利濟), 황치중(黃致中), 유준(柳譐), 윤형(尹炯), 이찬(李纘), 이재겸(李載謙), 안경우(安景雨), 이규원(李圭遠), 서학원(徐學源), 김덕빈(金德彬), 이덕령(李德齡), 심락윤(沈樂潤), 김덕휘(金德輝), 윤영발(尹永發), 황치운(黃致雲), 김경운(金慶雲), 김인석(金仁碩), 이광춘(李光春), 황벌어지(黃伐於之), 이성벽(李聖碧), 하한돌(河漢乭)·하한이(河漢伊) 형제, 효녀 이씨 등이 있다.

『영성지』에 수록된 효자는 양호(梁好), 서충필(徐忠弼), 서충좌(徐忠佐), 서충우(徐忠佑), 서정생(徐挺生), 서한장(徐漢章), 유연(柳淵), 유흥우(柳興雨), 곽의(郭義), 이병(李昞), 장사일(張士逸), 유언(柳堰), 고성욱(高成郁), 유언겸(兪彦謙), 유경인(兪敬仁), 유명립(兪名立), 정계인(鄭戒仁), 김인립(金仁立), 주선종(周善宗), 유후양(兪後揚), 유응채(兪應采), 현상후(玄尙後), 현유선(玄有先), 효녀 고씨, 효녀 정씨, 효녀 모진(毛珍) 등이 있다.

『직산현지』에 수록된 효자는 봉유지(奉由智), 최돈(崔墩), 최극인(崔克認), 최극성(崔克誠), 최극해(崔克該), 최극량(崔克良), 최주민(崔柱旻), 최엽(崔熀), 최찬(崔燦), 최효동(崔孝童), 김세준(金世準), 정곤(鄭崑), 이충작(李忠綽), 조립(趙砬), 김경연(金景淵), 최의생(崔義生), 오막생(吳莫生), 오계학(吳桂學), 김중태(金重泰), 김중현(金重顯), 유석문(柳錫文), 유대(柳擡), 이세집(李世緝), 김담(金澹), 김응두(金應斗), 민기세(閔箕世) 등이 있다.

『대록삼강실록』에는 『대록지』 수록 효자를 빼고도 이효범(李孝範), 조정로(趙廷老), 김남수(金南粹), 한동오(韓東五), 한세기(韓世基), 이종은(李宗殷), 이규운(李奎運), 주도복(周道復), 한성기(韓聖基), 유주석(柳疇錫), 한의교(韓義敎), 정동철(鄭東哲), 김주수(金柱秀), 김경연(金景淵), 곽치능(郭致能), 이순학(李順鶴), 심지영(沈祉永), 유덕태(庾德泰), 이상익(李相益), 권학경(權學經), 신필권(申必權), 송영흥(宋永興), 소휘만(蘇輝萬), 주석영(周錫永) 등에 대한 기록이 실려 있다.

천안 지역의 효자에 대한 최초의 기록으로는 목주가의 주인공 효녀에 대한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정려 중에서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최유경(崔有慶)[태종 대], 최덕린(崔德璘)·최덕순(崔德珣)·최구현(崔九鉉)·최사립(崔斯立)·유언겸(兪彦謙)[중종 대], 김철명(金哲命)[선조 대], 최기(崔基)·최숙(崔塾)[인조 대], 최극인(崔克認)·조립(趙砬)[효종 대], 최주민(崔柱旻)·장사일(張士逸)·유폐인(兪敝仁)·이복장(李福長)·이공번(李公蕃)·서한장(徐漢章)·유흥우(柳興雨)[숙종 대], 유명립(兪名立)·오막생(吳莫生)·오계학(吳桂學)·유연(柳淵)·이순학(李順鶴)·이귀웅(李貴雄)[영조 대], 최종운(崔鍾運)·이춘영(李春榮)[순조 대], 이규호(李圭祜)·한범이(韓範履)[철종 대], 윤영발(尹永發)[고종 대] 정려를 들 수 있다.

아울러 시기를 확인할 수 없는 정려는 이수필(李壽弼), 이유(李維), 김인석(金仁碩), 채주영(蔡冑永), 지부(池傅)·지봉휘(池鳳輝)의 정려 등이 있다.

[관련 유적]

천안 지역은 효와 관련된 인물과 관련 유적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그 유형으로는 정려와 효자비가 있다.

천안 각 지역에 남아 있는 정려는 다음과 같다.

입장면 용정리최주민·최극인전주 최씨 십이 정려, 가산리 1구조립 정려가 있다.

풍세면 가송리에는 효자 장사일이 포함된 안동 장씨 3세 정려, 남관리에는 유언겸·유명립이 포함된 정려, 용정리에는 채주영 정려, 보성리에는 유후양 정려가 있다.

광덕면 매당리에는 유언 정려, 당하리에는 효자 서한장·서충좌·서충필의 정려, 매당리 3구에는 효자 유흥우·유연·유의신이 포함된 유씨 정려가 있다.

목천읍 덕전리에는 효자 김의연이 포함된 언양 김씨 정려, 북면 운용리에는 윤영발 정려가 있다.

성남면 석곡리에는 이규호 정려, 신덕리에는 이유 정려가 있으며, 수신면 장산리에는 이춘영 정려가 있다.

병천면 도원리에는 효자 김도혁이 포함된 정려, 매성리에는 효자 이복장 정려, 한범이 정려, 봉항리에는 이귀웅·이순학·김인석의 정려가 있다. 직산읍 마정리에는 오막생·오계학이 포함된 정려가 있다.

효부와 관련한 정려로는 입장면 용정리 강씨 정려가 있다.

효자비로는 성남면 대정리유붕기 효행비, 입장면 산정리정종덕(鄭鍾德) 효자비가 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8.21 내용 변경 [관련 유적] 입장면 가산리 김세준 정려 및 풍세면 신흥리 3구 지부·지봉휘 정려 (삭제)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