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송림사복장전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300429
한자 松林寺腹藏典籍
영어의미역 Classical Books in Songnimsa Temple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길 73[구덕리 91-6](송림)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갑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5년 5월 23일연표보기 - 칠곡:송림사복장전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칠곡:송림사복장전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불교 경전
편자 송림사
간행자 사원
저술연도/일시 조선 전기 및 중기
편찬연도/일시 조선 전기 및 중기
간행연도/일시 조선 전기 및 중기
소장처 송림사
소장처 주소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송림사지도보기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의 송림사의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불경·다라니 등의 전적(典籍).

[개설]

송림사 극락전 석조아미타불좌상의 복장에서 5종의 유품, 명부전 석조천장보살상 복장에서 발견된 총 21종 34책의 경전, 다라니, 후령통, 명부전 목조무독귀왕입상의 복장에서 4종의 유품, 명부전 목조 도명존자의 입상에서 8종의 유품, 명부전 목조제1진광대왕의좌상 복장에서 4종의 유품, 명부전 석조지지보살좌상의 복장에서 4종의 유품, 귀왕상(우) 복장에서 6종의 유품, 귀왕상(좌) 복장에서 6종의 유품, 판관상(좌) 복장에서 5종의 유품이 발견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송림사복장전적에서는 모든 재해가 사라지고 수복이 증장되며 선조의 영가가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며 중수한다는 등의 기록이 남아 있다.

[서지적 상황]

간행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판정된 것은 1488(홍치 1) 4월에 간행된 『금강반야바라밀경』이다. 나머지는 16세기 또는 17세기에 간행된 서적들이다.

[형태]

목판본을 종이에 간행한 것이며 판심과 간행기가 모두 붙어 있다.

[구성/내용]

송림사복장전적의 구체적 내용을 크기에 따라서 분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송림사극락전석조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松林寺極樂殿石造阿彌陀佛坐像 腹藏一括)

① 조성발원문(造成發願文): 1655년, 종이, 18.5×35.9, 1매, 주지실

② 대불정수능엄신주다라니(大佛頂首楞嚴神呪陀羅尼) 조선시대, 종이, 28×21.5, 2매, 주지실

③ 다라니(陀羅尼) 조선시대, 종이, 25×21.5, 10매, 주지실

④ 오곡(五穀)

⑤ 묘법연화경 권제1(妙法蓮華經 卷第一) 조선시대, 종이, 전곽 26×41.6, 104매,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2. 송림사명부전석조천장보살좌상 복장일괄(松林寺冥府殿石造天藏菩薩坐像 腹藏一括)

① 천장보살중수발원문(天藏菩薩重修發願文)

1753년 추정, 종이, 22.5×19.6, 1매, 주지실

② 후령통(喉鈴筒)

③ 다라니(陀羅尼)

조선시대, 종이, 36.5×46.5, 1매, 주지실

④ 다라니(陀羅尼)

조선시대, 종이, 40.5×26.2, 1매, 주지실

⑤ 한지(韓紙)

조선시대, 종이, 83×116, 2매, 주지실

⑥ 필사다라니(筆寫陀羅尼)

조선시대, 종이, 37.2×48.5, 10매, 주지실

⑦ 다라니(陀羅尼)

조선시대, 종이, 전곽 36×49.5, 36매, 주지실

⑧ 다라니(陀羅尼)

조선시대, 종이, 전곽 36.2×49.6, 16매, 주지실

⑨ 다라니(陀羅尼)

조선시대, 종이, 전곽 36.4×49.1, 13매, 주지실

⑩ 다라니(陀羅尼)

조선시대, 종이, 전곽 36,4×49.1, 12매, 주지실

⑪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36.5, 1매, 주지실

⑫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5×36.5, 1매, 주지실

⑬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1488년, 종이, 반곽 18.8×12.8,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無界, 半葉 8行17字, 無魚尾

板心題 : 金一

刊記 : 弘治九年戊申四月日全羅道高山地花岩寺開板

※『大方廣佛華嚴經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大佛頂首楞嚴神呪』 合綴

⑭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1728년, 종이, 반곽 18.5×13.2,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無界, 半葉 8行17字, 上下內向花紋魚尾

板心題 : 金

刊記 : 康熙三十三年甲戌來鍾日金溝地母岳山金山寺開刊 禪和印性書

刊記 : 雍正六年甲申六月日慶尙右道安陰長水寺藏冊

⑮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

1537년, 종이, 반곽 27×19.8,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有界, 半葉 9行14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金剛經序, 金剛經上, 金上

序文: 永樂乙未六月日涵虛堂納守伊盥手焚香謹序

刊記 : 時嘉靖十六年丁酉午月日全羅道錦山郡地神陰山身安寺此經及眞覺詩眞實珠集幷開板

⑯ 금강반야바라밀경 하 (金剛般若波羅蜜經) 下

조선후기, 종이, 반곽 26×19.8, 2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有界, 半葉 9行14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金剛經下, 金下

⑰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

1661년, 종이, 반곽 24×20.4, 6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有界, 半葉 9行16字, 上下內向混用魚尾, 板心題 : 圓覺經

後跋: 順治十八年…

刊記 : 順治十八年辛丑六月日慶尙道密陽地載岳山靈井寺開板留

所藏本: (1), (2), (3), (4), (5), (6)

⑱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 권제1~2 (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 卷第一~二)

조선후기, 종이, 반곽 25.3×21,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有界, 半葉 9行16字, 上下內向混用魚尾, 板心題 : 圓覺經序, 圓覺經二卷

⑲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 권제5~6 (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 卷第五~六

1588년, 종이, 반곽 21.2×16.2,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無界, 半葉 11行21字, 上下內向混用魚尾, 板心題 : 圓覺下

刊記 : 萬曆十六年戊子潤六月日慶尙道淸道地雲門寺開板

⑳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1464년, 종이, 반곽 21×16,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雙邊, 有界, 半葉 8行19字,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板心題 : 阿彌陀經

刊記(阿彌陀經): 天順八年甲申歲朝鮮國刊經都監奉敎雕造 忠毅校尉行忠佐衛中部副司正臣安惠書

刊記(王郞返魂傳): 乾隆十八年十一月日慶尙道大丘八公山東華寺開刊

刊記(父母孝養文): 乾隆六年辛酉季春日慶尙道新寧八公山修道寺開刊

※『王郞返魂傳』, 『臨終正念訣』, 『正念諺解』, 『父母孝養文』 合綴

묘법연화경 권제1 (妙法蓮華經) 卷第一

1574년, 종이, 반곽 23.3×16.5,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有界, 半葉 8行13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 : 法一

跋文: 成化六年夏四月有日我太王大妃殿下…

刊記 : 萬曆二年甲戌正月日全羅道金提地興福寺開板

묘법연화경 권제1 (妙法蓮華經) 卷第一

1636년, 종이, 반곽 22×17,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有界, 半葉 8行13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法一

刊記 : 崇禎九年丙子七月日慶尙道咸陽地智異山君子寺開刊

刊記 : 崇禎後丁亥孟月日安陰地長水寺

묘법연화경 권제1 (妙法蓮華經) 卷第一

1637년 추정, 종이, 반곽 19.4×14,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無界, 半葉 10行20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法一

墨書 : 崇禎九年丁丑日造

묘법연화경 권제1 (妙法蓮華經) 卷第一

1638년, 종이, 반곽 21.3×16.4, 7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雙邊, 有界, 半葉 8行13字,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板心題 : 法華經卷一

刊記 : 崇禎十一年戊寅十一月日慶尙道密陽府載岳山靈井寺開刊

묘법연화경 권제1 (妙法蓮華經) 卷第一

1649년, 종이, 반곽 19.4×14,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無界, 半葉 10行20字, 無魚尾

板心題 : 法一

刊記 : 順治六年己丑六月日慶尙道梁山地鷲捿山通度寺開刊

묘법연화경 권제1 (妙法蓮華經) 卷第一

1655년 종이, 반곽 23.2×16.8,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有界, 半葉 8行13字, 上下大黑口,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法華經卷一

墨書 : 順治十二年乙未三月日經施主金連上兩主引勸性悟比丘

묘법연화경 권제1 (妙法蓮華經) 卷第一

조선시대, 종이, 반곽 20.8×14.2, 2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無界, 半葉 10行20字,

板心題 : 法一

묘법연화경 권제1 (妙法蓮華經) 卷第一

조선후기, 종이, 반곽 20.5×13.6,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無界, 半葉 10行20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法一

묘법연화경 권제1 (妙法蓮華經) 卷第一

조선후기, 종이, 반곽 26.2×20.8,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有界, 半葉 9行21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法華經卷一

묘법연화경 권제1 (妙法蓮華經) 卷第一

조선후기, 종이, 반곽 24.3×16.8,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有界, 半葉 10行18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妙法一

묘법연화경 권제1 (妙法蓮華經) 卷第一

조선후기, 종이, 반곽 23×16.7,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雙邊, 有界, 半葉 8行13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法華經卷一

묘법연화경 권제1~2 (妙法蓮華經) 卷第一~二

조선시대, 종이, 반곽 26.6×17,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無界, 半葉 10行18字, 上下下向黑魚尾, 板心題 : 妙法蓮華一, 妙法一,二

墨書 : 壬午七月初四日未時未他動

묘법연화경 권제1~2 (妙法蓮華經) 卷第一~二

조선시대, 종이, 반곽 19.9×14.2,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無界, 半葉 10行20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法一, 二

3. 송림사명부전목조무독귀왕입상 복장일괄

松林寺冥府殿木造無毒鬼王立像 腹藏一括

①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8.5×36.6, 360매, 주지실

② 보치진언(寶齒眞言)

1657년, 종이, 전곽 21×38.3, 4매, 주지실

刊記 : 順治十四年丁酉六月日七谷松林寺發願刊

③ 보치진언(寶齒眞言)

1657년, 종이, 전곽 21.7×38.5, 7매, 주지실

刊記 : 順治十四年丁酉六月日七谷松林寺發願刊

④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37, 81매, 주지실

4. 송림사명부전목조도명존자입상 복장일괄

松林寺冥府殿木造道明尊者立像 腹藏一括

① 조성발원문(造成發願文)

1665년, 종이, 35.6×223, 1매, 주지실

②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8.7×36.5, 154매, 주지실

③ 보치진언(寶齒眞言)

1675년, 종이, 전곽 21.5×37.2, 24매, 주지실

刊記 : 順治十四年丁酉六月日七谷松林寺發願刊

④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5×41.2, 49매, 주지실

⑤ 보치진언(寶齒眞言)

1657년, 종이, 전곽 21×38.2, 10매, 주지실

刊記 : 順治十四年丁酉六月日七谷松林寺發願刊

⑥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37, 109매, 주지실

⑦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5×37, 47매, 주지실

⑧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조선시대, 종이, 전곽 26.5×41.5, 114매,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半葉 9行16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法華經 卷一

5. 송림사명부전목조제1진광대왕의좌상 복장일괄

松林寺冥府殿木造第一秦廣大王倚坐像 腹藏一括

①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3×36.5, 85매, 주지실

②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8.8×36.9, 65매, 주지실

③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5×37, 61매, 주지실

④ 보치진언(寶齒眞言)

1657년, 종이, 전곽 21×38.7, 58매, 주지실

刊記 : 順治十四年丁酉六月日七谷松林寺發願刊

6. 시왕조성발원문(十王造成發願文)

1665년, 종이, 36.3×140, 1매, 주지실

7. 송림사명부전석조지지보살좌상 복장일괄

松林寺冥府殿石造地持菩薩坐像 腹藏一括

① 후령통(喉鈴筒)

조선시대, 철, 전체높이 18.5, 1점, 주지실

②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37, 76매, 주지실

③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37.2, 66매, 주지실

④ 보치진언(寶齒眞言)

1657년, 종이, 전곽 21.8×38.3, 30매, 주지실

刊記 : 順治十四年丁酉六月日七谷松林寺發願刊

8. 귀왕상(우) 복장일괄 鬼王像(右) 腹藏一括

① 후령통(喉鈴筒)

1665년, 철, 전체높이 18, 1점, 주지실

②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36, 42매, 주지실

③ 보치진언(寶齒眞言)

1657년, 종이, 전곽 20.8×38.2, 57매, 주지실

刊記 : 順治十四年丁酉六月日七谷松林寺發願刊

④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8.8×36, 79매, 주지실

⑤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5×36.8, 77매, 주지실

⑥ 보치진언(寶齒眞言)

1657년, 종이, 전곽 20.8×38.7, 51매, 주지실

刊記 : 順治十四年丁酉六月日七谷松林寺發願刊

9. 귀왕상(좌) 복장일괄 鬼王像(左) 腹藏一括

① 후령통(喉鈴筒)

1665년, 철, 전체높이 21, 1점, 주지실

②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8.6×37, 99매, 주지실

③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21×38.8, 38매, 주지실

④ 보치진언(寶齒眞言)

1657년, 종이, 전곽 21.7×37.5, 60매, 주지실

刊記 : 順治十四年丁酉六月日七谷松林寺發願刊

⑤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3×36.5, 67매, 주지실

⑥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地藏菩薩本願經) 卷下

조선시대, 종이, 반곽 21.8×17, 1책, 주지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

木版本, 四周單邊, 半葉 8行16字, 上下內向黑魚尾, 板心題 : 地下

10. 판관상(좌) 복장일괄 判官像(左) 腹藏一括

① 후령통(喉鈴筒)

1665년, 철, 전체높이 10, 1점, 주지실

②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5.6×37, 20매, 주지실

③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21×38.5, 20매, 주지실

刊記 : 順治十四年丁酉月日七谷松林寺發願刊

④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8.7×36.7, 21매, 주지실

⑤ 보치진언(寶齒眞言)

조선시대, 종이, 전곽 19.2×37, 31매, 주지실

[의의와 평가]

복장전적이 흔히 발견되기는 하지만, 한 곳에서 이만큼 많이 발견된 것은 희귀한 일이다. 또한 간행 연대가 오래 되어 출판문화를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2005년 5월 23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 내부자료(송림사 유물조사담당자, 『불교문화재연구소 조사자료 일괄』, 2009년 2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