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1004 |
---|---|
한자 | 星山呂氏 |
영어공식명칭 | SeongsanYeo Clan|SeongsanYeossi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냉천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소희 |
여양유를 시조로 하고, 여희길을 입향조로 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세거 성씨.
여양유(呂良裕)를 시조로 하는 성산여씨는 1546년(명종 원년) 무렵 여희길(呂希佶)이 대구광역시 달성군으로 입향한 이래 현재까지 후손들이 가창면 냉천 2리 여촌 마을 일대에서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성산여씨는 중국 당나라에서 한림학사를 지내고 황소의 난을 피해 신라로 귀화한 여어매(呂禦梅)를 여씨의 시조로 한다. 이후 여씨는 성산여씨와 함양 여씨로 분관되는데, 성산여씨는 고려 말 삼중대광을 지낸 여양유를 시조로 하고, 함양 여씨는 고려 대장군을 지낸 여임청(呂林淸)을 시조로 한다. 여양유에게는 두 아들 여위충(呂渭忠)·여위헌(呂渭賢) 등이 있었는데, 그중에서 가창면 냉천 2리 여촌 마을에 세거하고 있는 성산여씨는 여위충의 후손이다.
여위충의 9세손인 여희길이 1546년 무렵 군위에서 달성군 가창면 냉천 2리 여촌으로 입향하였다. 당시 마을 앞에 큰 하천이 흘러 마을 이름을 대천으로 하였는데, 이후 대천 서쪽에 여씨가 집단적으로 산다고 하여 여촌(呂村)이라 불렀다고 한다.
달성군 가창면 냉천 2리 여촌 마을 성산여씨 집성촌에는 1990년대 후반 약 28가구가 성산여씨였으며, 지금도 20여 가구가 성산여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