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3897 |
---|---|
한자 | 協同組合 |
영어공식명칭 | Cooperative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노광 |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사업 조직.
[개설]
협동조합은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고용과 경제위기를 협동조합으로 극복한 몬드라곤(Mondragon) 등의 사례가 부각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2012년 12월 1일 「협동조합 기본법」이 제정된 이후 협동조합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도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대구광역시는 2013년 8월 12일 협동조합 활성화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대구광역시 협동조합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다.
[변천]
2013년 12월 26일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대구광역시 협동조합 정책심의위원회를 발족하였으며, 2014년 7월 29일 대경협동조합연합회 출범식을 가졌다. 2017년 12월 26일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대구광역시 협동조합 정책심의회’를 발족하였으며, 위원회는 행정 부시장을 위원장으로 교수 3명, 협동조합 대표 3명, 관련 전문가 등 총 14명으로 구성하였다. 2018년에는 대구광역시 협동조합 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하여 대구광역시 제2차 협동조합 기본계획[2019~2021년]을 마련하고, 대구광역시 협동조합의 비전, 목표, 추진 방향, 분야별 계획 등을 수립하였다.
대구광역시는 협동조합 육성 사업으로 협동조합 발굴, 설립 지원사업, 협동조합 맞춤형 컨설팅 및 특성화 모델 지원사업 등 4개 사업을 통하여 협동조합 자원 발굴과 설립 지원, 기초 경영 컨설팅, 고도화 성장 지원 및 대구형 특성화 모델 개발 등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또한 협동조합 간 연대와 규모화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2020년에는 아동 돌봄, 마을 관리, 사회적 농업, 학교 협동조합 등 신규 모델을 발굴·설립하였다. 북성로를 기반으로 사회적경제기업 간 협업으로 골목상권 활성화 협업 모델을 육성하였으며, 전국 최초의 상생 모델로서 대구로컬푸드이종협동조합연합회[일반 협동조합 6개, 사회적 협동조합 2개, 소비자생활협동조합 2개]와 영남 지역 최초의 대구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 설립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대구광역시의 이러한 협동조합 육성 정책으로 인하여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우수 마을기업에 선정된 협동조합들이 많다. 2018년도에 우수 마을기업으로 선정된 레인메이커 협동조합은 지역 청년의 창작 활동에 선도적인 역할을 이어 가고 있으며, 청년 창작 플랫폼과 판매장을 결합한 복합문화공간을 만들고 있다. 이와 함께 2019년 제2회 대한민국사회적경제박람회에서 진행된 ‘전국 우수 마을기업 경진 대회’에서 장려상을 받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아가쏘잉 협동조합은 미혼모와 지역사회 경력 단절 여성들에게 육아와 사회 활동을 함께 겸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핸드메이드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특히, 지역 내 사회적 모성애 확산을 위한 활동과 미혼모 관련 단체와 협력사업을 활발히 펼쳐 지역사회와 마을기업이 함께 하는 사례로 인정받았다.
대구농업마이스터고 담쿱사회적 협동조합은 2021년 1월에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 동아리에서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전환된 협동조합이다. 지역 주민과 학교가 함께 성장하고 마을공동체가 가지는 공통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학부모, 학생, 교직원, 지역 주민이 함께 학교 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담쿱사회적 협동조합은 대구농업마이스터고교 영농 마이스터 센터 내에 학교 농산물 판매 생산장을 마련하여 직접 생산한 농산물을 판매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이 직접 대구경북로컬푸드이종협동조합연합회와 연계하여 농산물 유통 및 판매의 경험을 쌓고 있는 것은 주목할 점이다.
[현황]
2020년 기준 협동조합의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726개 중 일반 협동조합 675개, 사회적 협동조합 48개, 일반 협동조합 연합회 3개이다. 업종별로 보면 도매 및 소매업 157개, 교육서비스업 93개,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81개, 제조업 69개,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67개, 농업·어업·임업 65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40개, 숙박 및 음식업 37개, 운수업 30개,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25개,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20개, 사업 시설관리 및 사업 지원 서비스업 18개, 건설업 10개, 하수·폐기물 처리·원료 재생 및 환경 복원업 4개, 국제 및 외국 기관 2개 등이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는 협동조합 육성을 통하여 지역사회에서 경제적 자립과 생태적 지속가능성, 지역문화의 활성화와 사회안전망을 확보하여, 지역민이 안심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지역공동체를 회복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