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389 |
---|---|
한자 | 蔡貴河 |
영어공식명칭 | Chae Guiha |
이칭/별칭 | 청일(淸一),다의당(多義堂),정의(貞義)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구본욱 |
출생지 | 후동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
---|---|
거주|이주지 | 후동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
묘소|단소 | 채귀하 묘소 - 황해도 평산군 궁위면 불곡 |
사당|배향지 | 서산서원 터 -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로 234-32[검단동 1325] |
사당|배향지 | 웅연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
성격 | 문관 |
성별 | 남성 |
본관 | 인천(仁川) |
대표 관직 | 호조전서 |
[정의]
고려 후기 대구 출신의 문관.
[가계]
채귀하(蔡貴河)[?~?]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청일(淸一), 호는 다의당(多義堂)이다. 아버지는 형부상서 채원길(蔡元吉)이고, 어머니는 개성고씨(開城高氏)이다.
[활동 사항]
채귀하(蔡貴河)는 대구 후동(後洞)[현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에서 태어났다. 영천(永川)[현 경상북도 영천시]의 정몽주(鄭夢周)[1337~1392]와 교유하였으며, 둘 다 과거에 급제하여 함께 조정에서 관직을 수행하였다. 채귀하는 제학(提學)과 개성소윤(開城少尹)을 역임하고 벼슬이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전서(戶曹典書)에 이르렀다.
채귀하는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 등과 교유하였으며, 고려가 망하자 고향으로 돌아오지 않고 개성의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절의를 지켰다. 이후 황해도 평산 다의현(多義峴)에 은거하다가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채귀하의 저술로는 『다의당실기(多義堂實紀)』가 있다.
[묘소]
채귀하의 묘소는 북한 황해도 평산군 궁위면 불곡에 있다고 전한다. 신도비문은 형조판서 양천(陽川) 허전(許傳)이 지었다.
[상훈과 추모]
채귀하는 사망한 뒤 정의(貞義)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북구 검단동에 있었던 서산서원(西山書院)과 상주의 웅연서원(熊淵書院)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