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688 |
---|---|
한자 | 金處精 載寧李氏 孝烈閣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비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달창로 429[본말리 662-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동락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본말리에 있는 김처정과 재령이씨의 효성을 기리기 위해 세운 조선 후기의 정려각.
김처정·재령이씨 효열각(金處精載寧李氏孝烈閣)은 효자 김처정(金處精)[1623~1670]과 그의 손자 김여탁(金汝鐸)의 처 열녀 재령이씨를 위해 건립되었다. 김처정은 청도 사람으로 30년 동안 지병을 앓던 부친을 한결같이 지성으로 봉양하였다. 부친의 병세가 악화되자 인근 마을을 다니며 사람 젖을 얻어 봉양하였다. 재령이씨는 김처정의 손자며느리로 아이를 출산한 후 이미 사망한 남편을 따라 식음을 전폐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699년(숙종 25) 김처정과 재령이씨에게 정려(旌閭)가 내려졌다.
김처정·재령이씨 효열각은 달성군 유가읍 본말리 개백마을 남서쪽 도로 좌측에 위치한다. 도로 너머 서쪽에는 달창 저수지가 있다. 1699년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옥산리[강정]에 처음 건립되었다가, 1799년(정조 23) 달성군 현풍읍 대리[솔례], 1928년 달성군 유가읍 유곡리 차천 상류, 1978년 달성군 유가읍 유곡리 차천 하류, 2004년 달성군 유가읍 금리 780-5번지로 이건되었고, 2011년 현재의 위치에 자리 잡았다.
김처정·재령이씨 효열각은 정면 2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사방은 담장이 둘러져 있으며, 남쪽에 맞배지붕의 출입문이 있다. 효열각 내부 좌측 칸에 ‘효자 증별검 청도 김공 휘 처정지려(孝子贈別檢淸道金公諱處精之閭)’, 우측 칸에 ‘열부 청도 김공 휘 여탁지처 유인 재령이씨지려(烈婦淸道金公汝鐸妻孺人載寧李氏之閭)’ 현판이 있다. 현판 좌측에는 정려와 관련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정려 현판은 모두 가로가 긴 세장방형의 형태이다.
1. 김처정 정려
앞면에는 '효자 증별검 청도 김공 휘 처정지려(孝子贈別檢淸道金公諱處精之閭)'라 적혀 있다. 전면 좌측에는 다음의 내용이 적혀 있다. “효자 김처정은 일찍 행실이 뛰어나 천거하는 글에 이름이 들어갔다. 부친께서 고질병이 있어 30년 간 시탕하니 한결같이 지성으로 봉양하였다. 어느 날 부친의 병세가 더욱 악화되어 음식도 먹지 못하고 인유(人乳)만 먹은 것이 이십여 년이나 되었다. 항상 의복을 유녀에게 나눠 주고 직접 나아가 울면서 젖을 얻어 한 번도 끊어지게 하지 않았다고 한다. 부친이 하루는 메추리를 먹고 싶다 하여 그것을 구하려 할 때 매가 메추리를 잡아 집 앞에 던져주었다. 의원이 말하기를 노루고기가 가장 좋다고 하니 홀연히 사냥꾼이 노루를 지고 와서 순제라고 불렀다. 그 일이 알려져 숙종 기묘년[1699년]에 정려를 내리니 사실이 『포산지』에 실려 있다.[夙著行義累入薦書父有/病疾侍湯三十年至誠如 一日父病轉劇只服人乳/者垂二十餘年常以衣服 散給遠近乳女親詣泣乞 未嘗乏絶父於一日欲嘗 鶉実忽有飛鷂掠鶉墮庭 醫云獐肉最良忽有獵者 負獐而至號 純齊事聞 肅廟己卯褒旌贈氷庫別 檢事載苞山誌]" 맨 끝에 '이천사년 갑신 하지절 중건(二千四年甲申夏至節重建)'이라 기록되어 있다.
2. 재령이씨 정려
앞면에 '열부 청도 김공 휘 여탁지처 유인 재령이씨지려(烈婦淸道金公諱汝鐸之妻孺人載寧李氏之閭)'라 적혀 있다. 전면 왼쪽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남편이 죽은 뒤에 유복자를 위해 참으며 죽지 않고 출산 후에 식음을 전폐하고 자진하여 뒤를 따랐다. 그 일이 알려져 숙종 기묘년[1699년]에 정려를 내리니 사실이 『포산지』에 실려 있다.[夫死之后爲其遺服 隱忍不死及其解胎 不食自盡事聞 肅廟己卯褒旌事載苞山誌]" 맨 끝에는 '이천사년 갑신 하지절 중건(二千四年甲申夏至節重建)'이라 기록되어 있다.
김처정·재령이씨 효열각은 효자와 열부에 관련된 정려각으로 후세 사람들의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