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250 |
---|---|
한자 | 金世鎬 |
영어공식명칭 | Kim Seho |
이칭/별칭 | 치현(稚賢),수재(修齋)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
집필자 | 김충희 |
출생 시기/일시 | 1806년![]() |
---|---|
활동 시기/일시 | 1843년 - 김세호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846년 - 김세호 문과 중시 을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846년 - 김세호 부교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850년 - 김세호 경상좌도암행어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869년 - 김세호 경상도관찰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874년 - 김세호 유배 |
추모 시기/일시 | 1874년 - 김세호추사불망비 건립 |
활동 시기/일시 | 1879년 - 김세호 해배 |
활동 시기/일시 | 1880년 - 김세호 한성부판윤 역임 |
몰년 시기/일시 | 1884년![]() |
부임|활동지 | 경상감영 -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 |
유배|이배지 | 중화 - 북한 평안남도 중화군 |
사당|배향지 | 김세호추사불망비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번지 |
성격 | 문관 |
성별 | 남성 |
본관 | 청풍(淸風) |
대표 관직 | 경상도관찰사|한성부판윤 |
개항기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한 문관.
김세호(金世鎬)[1806~1884]의 본관은 청풍(淸風)이며, 자는 치현(稚賢), 호는 수재(修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택휴(金宅休)이고, 할아버지는 김희신(金熙臣)이다. 아버지는 황주목사를 지낸 김진교(金晉敎)이다.
김세호(金世鎬)는 1806년(순조 6)에 태어났다. 1843년(헌종 9)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846년 문과 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여 부교리에 임명되었다. 1850년(철종 1)에 지방관들의 수탈이 심하여 민란이 많았던 경상좌도의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탐관오리들을 숙청하였다. 그 후 사간원대사헌·이조참의·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김세호는 1869년(고종 6)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여 저지대에 위치하여 수해가 잦았던 영일현과 진보현의 관청을 고지대로 옮기고 청천진(晴川鎭)을 없앴으며, 포항진(浦項鎭)을 다시 설치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경상도관찰사 재임 시 지금의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 금호강 변의 왕옥산 기슭에 있는 압로정(狎鷺亭)을 방문하여 차운시 한 수를 남겼는데 『소유정 회화록(小有亭會話錄)』에 기록되어 전하고 있다.
김세호는 1874년에 경상도암행어사 박정양(朴定陽)이 민정의 규찰을 태만하게 하고 변방에서 다툼질을 일으켰다고 탄핵하여 중화(中和)[현 북한 평안남도 중화군]로 유배되었다. 유배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향리로 추방된 다음 1879년에 방면되었고, 1880년 다시 기용되어 한성부판윤을 역임하였다. 1884년 사망하였다.
김세호의 저서로는 『논어석의(論語釋疑)』, 『강화설제편(講話說諸篇)』 등이 있다.
김세호의 경상도관찰사 재임 시 치적을 기리기 위하여 1874년(고종 11)에 감역(監役) 송인곤(宋仁坤)과 색리(色吏) 이완영(李完英) 등이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번지에 김세호추사불망비(金世鎬追思不忘碑)를 건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