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809 |
---|---|
한자 | 金夏錫 |
영어공식명칭 | Kim Haseok |
이칭/별칭 | 몽득(夢得),졸재(拙齋)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광우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학자.
본관은 서흥(瑞興). 자는 몽득(夢得), 호는 졸재(拙齋). 김굉필(金宏弼)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김천도 찰방(金泉道察訪)을 지낸 김대진(金大振)이고, 할아버지는 사맹(司猛)을 지낸 김확(金確)이다. 아버지는 헌릉 참봉(獻陵參奉)을 지낸 김원귀(金元龜)이며, 어머니는 우윤(右尹)을 지낸 박선영(朴善永)의 딸 공인(恭人) 밀양 박씨(密陽朴氏)와 봉사(奉事)를 지낸 강수인(姜壽仁)의 딸 진양 강씨(晉陽康氏)이다. 부인은 종사랑(從仕郞) 이준량(李俊良)의 딸 공인 완산 이씨(完山李氏)이다.
김하석(金夏錫)[1638~1687]은 문장(文章)과 필법(筆法)이 뛰어났다고 한다. 이현일(李玄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673년(현종 14) 생원시에 급제하였다. 장사랑(將仕郎)이 된 후 광릉 참봉(光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1677년(숙종 3) 아버지 김원귀가 세상을 떠난 후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 연구에만 힘썼다.
2권 1책의 『경현속록 유보(景賢續錄遺補)』를 저술하였다. 『경현속록 유보』는 『경현록(景賢錄)』과 『경현속록(景賢續錄)』에 수록되지 않은 김굉필의 사적과 다른 문사(文士)들의 글들을 보완한 책이다.
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에 있다.
증손자인 김정제(金鼎濟)가 현달함에 따라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증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