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355 |
---|---|
한자 | -精神健康相談-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로 261[대봉동 156-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영숙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96년![]() |
---|---|
개칭 시기/일시 | 1998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2년 - 해인정신건강상담센터 대구 지역 사회 복귀 시설 공동작업장 희망찾는일터 개소 |
이전 시기/일시 | 2010년 - 해인정신건강상담센터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1동에서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156-1로 이전 |
최초 설립지 | 해인심리상담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1동
![]() |
현 소재지 | 해인정신건강상담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로 261[대봉동 156-1]![]() |
성격 | 복지시설 |
전화 | 053-425-0425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에 있는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 재활 복지시설.
해인정신건강상담센터는 정신장애인의 재발 방지 및 사회복귀와 자활, 정신장애인 가족과 일반인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이해 및 편견 해소, 정신장애인의 권익 보호, 지역사회의 정신 건강 증진을 목표로 1996년 설립하였다. 해인정신건강상담센터는 정신장애인이 사회에 적응하여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구체적인 생활 경험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1996년 해인심리상담센터로 개소하여, 1998년 해인정신건강상담센터로 개칭하였고, 2010년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1동에서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156-1로 이전하였다.
해인정신건강상담센터는 2002년 대구 지역 3개의 복귀 시설과 함께 대구 지역 사회 복귀 시설 공동 작업장 ‘희망찾는일터’를 개소하였으며, 2007년 한국산업인력공단 임상심리사 실습 과정을 개설하였다.
해인정신건강상담센터는 정신장애인의 병에 대한 인식 고취, 정신장애인이 증상과 약 복용을 스스로 관리하여 재발 방지, 일상생활에서 자조 기능의 향상과 적절한 여가 시간의 활용 및 독립적인 생활 등을 통하여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해인정신건강상담센터는 주간 재활 사업[사회 기술 훈련, 사회적응 훈련, 일상생활 훈련, 취미 여가 활동 훈련, 정신 건강 교육], 직업 재활 사업[취업 전 준비교육, 보호 작업장 운영, 지원 고용 및 취업 지원 서비스, 사후관리 서비스], 기타 사업[재가 정신장애인 방문 사업, 가족 지원사업, 전문가 양성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해인정신건강상담센터의 등록 절차는 예약 접수[방문, 전화], 초기 면담 및 평가, 적응 기간[일주일간 프로그램 참여 및 체험], 등록 결정[본인, 가족 동의서 제출·의사 의뢰서 제출], 회원 등록 및 재활 계획 수립 순이다. 이용 대상은 만성 조현병·조울병·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 정신과 외래진료와 함께 약을 복용 중인 사람이다.
해인정신건강상담센터는 시설장, 자문의, 운영위원회, 사무국장, 생활복지사로 조직되어 있으며, 직원은 시설장을 포함하여 2020년 현재 총 4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