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1206
한자 大關嶺國師城隍祭-山神祭-服飾
영어의미역 Clothes Worn for the Festival of Daegwallyeong Tutelary Deity and Mountain Spirit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의복/의복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최혜정

[정의]

대관령 산신과 대관령 국사 서낭신을 제사하는 서낭제에서 입는 복식.

[형태]

제례복 일습은 헌관복 6벌, 제례복, 대축복, 행차복 각 한 벌, 집사복 6벌, 예모 6점, 유건 10점, 전립 2점 등이다.

헌관복은 초헌관(初獻官) 2인, 아헌관(亞獻官) 2인, 종헌관(終獻官) 2인의 복식으로 조선시대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이 함께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초헌관은 7량관을 쓰고 홍색 조복을 입고 있다. 아헌관은 5량관에 조복과 제복의 겉옷 속에 받침용으로 착용하는 속옷류인 백초중단(白綃中單)과 청초중단(靑綃中單)을 겹쳐 입어 겉옷으로 착용하고 있다. 종헌관은 3량관에 청색 제복차림으로 3헌관 가운데 가장 적절한 옷차림을 하고 있다.

현행 복색은 강릉단오제의 고유한 전통이라기보다는 서울[만물상회]에서 구입하여 사용해 왔다고 하니 구입 과정에서 규정에 어긋나게 만들어진 것을 구입하거나 정확한 제도를 인식하지 못하고 구입한 데서 혼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길례(吉禮)」를 보면 국가에서 주도하는 제사 중 특정한 산이나 강 또는 고을에 제사를 드렸다고 한다. 그 중 ‘제주현 명산대천의(濟州懸 名山大川儀)’, 성황당에서 고유제를 드리는 ‘주현제의(州縣祭儀)’ 등이 대표적인 것으로서 이때 헌관과 집사자들은 모두 제복을 갖추어 입었다. 따라서 본 제의의 헌관복은 제복으로 하여 신분에 맞게 착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황 및 개선점]

초헌관 복식은 홍색 공단[화학섬유], 흰색 공단[화학 섬유]으로 이루어진다.

7량관 적초의[홍색폐슬 부착], 백초중단[홍색상 부착], 대대, 각대, 후수[환이 없음],패옥[외짝], 홑[나무], 목화로 일습을 갖춘 조복 차림이다.

7량관은 1897년(광무 1)의 제도이나 곧이어 서양식 복제가 수용됨에 따라 실행에 어려움이 있었고 현전되는 유물 중에도 7량관의 실물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조선 전기에 사용되었던 1등품용 5량관의 제관이 제도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관 뒤에 꽂혀 있는 목잠에 늘어뜨려야 할 끈을 턱 아래서 매는 것은 잘못이며 후수에 환(環)을 달아 주어야 하며 패옥은 반드시 1쌍으로 좌우에 달아야 한다.

홀은 모두 나무로 되어 있으나 이는 모두 당하관용이므로 상아와 유사한 느낌이 있는 재료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신발은 제복용안 흑[피]혜가 규정에 맞는다.

서울에서 구입한 숙고사[화학섬유]로 된 적초의에는 방심곡령과 흑색 폐슬이 가슴에 달려 있는데 이는 제도에 없는 형태이다. 조복인 적초의에는 방심곡령이 달릴 수 없으며 폐슬이 확실하게 나타난다. 아마도 이를 따라서 적초의에 검은색 폐슬을 단 것으로 보이나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상인들이 제작한 전통복식은 오류가 지적되므로 구입에 신중하여야 할 것이다. 양관을 제외하고 헌관복의 모든 부속제구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아헌관 복식은 청색 공단[화학섬유], 흰색 공단[화학섬유]으로 이루어진다.

5량관 청초중단[홍색상 부착], 백초중단[홍색상 부착], 대대, 각대, 후수, 패옥, 홀, 목화로 일습을 갖추었다. 중단을 겉옷으로 입을 수 없을 뿐 아니라 2개를 겹쳐 입을 수도 없다. 더욱이 속에 받쳐 입는 옷을 겉에 입고 부속 제구들은 그대로 착용하고 있는 점도 이해할 수 없다.

양관을 착용한 모습에서 헌관의 순서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앞에서 지적한 대로 아헌관의 복식은 수차례 번복되고 있다. 초헌관과 같은 복장에 2품용인 4량관의 제관을 쓰는 것이 적합하리라 생각된다.

종헌관 복식은 청색 공단[화학섬유], 흰색 공단[화학섬유], 홍색 공단[화학섬유]으로 이루어진다.

3량관 청초의[청색폐슬·방심곡령 부착], 백초중단[홍색상 부착], 대대, 각대, 후수, 홀, 목화로 일습을 작춘 제복이다.

초헌관과 같은 복장에 3품용인 3량관의 제관을 써서 순위를 구분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생각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현관복은 조선시대 제복 제도에 맞지 않을 뿐 아니라 재봉 상태도 극히 조잡하다. 부속제구는 초헌관 제도와 동일하다.

집례복 및 행차복은 겉은 청색 공단[화학섬유], 안은 홍색 숙고사[화학섬유], 쌍학흉배 및 폐슬을 부착한다.

집례와 행차는 동일한 복장으로서 사모를 쓰고 청색 단령[쌍학흉배 부착], 각대, 목화로 일습을 갖추었다. 단령은 등솔선이 없고 양 옆의 무는 뒷길 쪽이 생략된 극히 간소화된 형태이다. 가슴 부위에 홍색 폐슬이 달려 있어 흉배를 가리고 있는데 어디에 근거를 둔 것인지 알 수 없다. 단령에는 폐슬이 있을 수 없다.

집사복은 흑색 공단[화학섬유], 홍색 나일론[띠]으로 이루어진다.

유건, 흑단령, 홍띠, 고무신으로 일습을 갖추었다.

단령은 홑옷으로 된 흑색 단령이다. 『국조속오례의』「길례」 가운데 제복 착용 시 4품 이상은 제복을 5품 이하는 흑단령을 착용토록 하였으며 조선말기에 이르러서는 현녹색 단령이었던 것이 모두 흑단령으로 되어 상복용으로 널리 착용되었다.

본 집사복은 지정 초기부터 착용된 극히 간소화된 양식임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관복을 입은 상태에서 유건과 고무신을 사용하는 것은 규정에 어긋난 제도이다.

대축복과 찬인복은 옥색[화학섬유], 청색 테트론[띠]으로 이루어진다.

유건, 옥색 직령[중단형], 목화로 일습을 갖추었다.

옥색 직령에는 깃, 수구, 도련에 흑색선이 둘러져 있어 마치 조복인 적초의의 받침옷 청초 중단과 동일한 형태이다. 여기에 남색 테트론으로 된 폭이 넓은 띠를 매고 유건을 쓰고 목화를 신었는데 근원적인 제도를 알 수 없다.

이 모습은 초기의 사진에는 보이지 않고 있어 헌관복이 바뀔 때 새로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도포는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대표적인 통상 예복이었으므로 전통성을 살려 도포차림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생각된다.

장군복은 겉은 남색 갑사[화학섬유], 안은 옥색 갑사[화학섬유]로 이루어진다.

바지·저고리, 조끼 위에 남색 겹 전복을 입고 홍띠[전대]를 매고 머리에는 수건을 두르고 전립을 쓴 모양이다. 발에는 행전을 차고 고무신을 신고 있다. 이러한 차림은 극히 간소화된 무관의 구군복 형태이다. 구군복에는 거죽을 검은색으로, 안은 홍색으로 하여 겹으로 된 전복과 전복 밑에는 길은 주홍색으로 소매는 홍색을 달아 용맹스러움을 강조한 동다리옷을 받쳐 입는다. 남색으로 된 전대와 밀화와 산호, 상모 공작털 등으로 화려하게 꾸며진 전립을 썼다.

현행 의복 제도는 율곡제[文成祠]의 제관복을 따라 개정하였다는 구전대로 1980년대 중반부터 바뀐 것으로 보인다. 1994년 강릉시에서 발행된 『강릉단오제』에는 조복에 방심곡령이 있는 초헌관과 현재의 종헌관 복식을 하고 있는 아헌관 등 혼란을 보이고 있다. 이는 착용 절차가 복잡한 조복과 제복을 함께 사용함에 따라 더욱 혼란을 가중시킨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대관령 국사성황제와 대관령 산신제의 복식은 제복과 조복이 함께 혼용되고 있는 점이 특이하며 민관이 함께 제의를 준비함으로써 지역 공동체의식을 고취시킨다는 점에서 후세까지 전승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12.14 2011 한자 최종 검토 종헌관(終獻官)2인의 ->종헌관(終獻官) 2인의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