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5001
한자 江陵-無形遺産
영어의미역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t of gangnueng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강원도 강릉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광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7년 1월 16일 - 강릉단오제 중요무형문화재 13호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8년 5월 18일 - 강릉학산오독떼기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5년 12월 1일 - 강릉농악 중요 무형문화재 제11-4호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3년 3월 21일 - 강릉사천하평답교놀이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3년 4월 25일 - 방짜 수저장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4월 12일 - 강릉 갈골과즐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23호로 지정

[정의]

강원도 강릉에서 전승되는 문화적 소산으로 형체는 없지만 역사적, 예술적으로 보존 가치가 높은 전통 문화로 그 문화와 그 기능을 가졌다고 인정되는 보유자 및 전수자.

[개설]

강릉은 타 지역에 비하여 다양한 무형 문화를 전승하고 있다. 강원도의 18개 시·군 중에 지정 문화재 6개를 보유하고 있는 곳은 강릉이 유일하다. 강원도 내 두 개뿐인 중요 무형문화재는 모두 강릉이 보유하고 있다. 중요 무형문화재 제13호로 등록된 강릉 단오제와 제11-4호인 강릉 농악이다. 도 지정 문화재는 「강릉 학산 오독떼기」, 강릉 사천 하평 답교놀이, 방짜 수저장 그리고 2013년에 강릉 갈골 과즐[강릉 갈골 과줄]이 지정되면서 6개로 늘었다. 이밖에도 강릉시 성산면 금산리용물달기나 서낭제 등이 문화재 지정을 기다리고 있다.

강릉은 예로부터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지역 사회 풍토를 논해 왔는데 그중 하나는 학문을 숭상한다는 점이다. ‘동대문 밖 강릉’, 또는 ‘문향(文鄕) 강릉’이라는 말에는 학문을 숭상하는 사회적 풍토와 전통이 담겨 있다. 다른 하나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서 언급하듯이 ‘놀이를 좋아하는 고장’이라는 점이다. 여기서 놀이는 단순히 소비적 행위도 포함되겠지만 주된 목적은 주민 간의 화합을 전제로 한 것이며 신에게 바치는 놀이로서 풍농과 풍어를 기원하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강릉 단오제강릉 농악 등 다양하게 전승되는 무형 문화들이 여기에 적용되는 것이다.

강릉에 무형문화재가 많이 전승되는 이유는 지형적인 영향이 적지 않다. 예로부터 강릉은 교통의 요지였고 수많은 시인 묵객이 다녀간 유명 관광지였다. 신라 시대에는 남북을 연결하는 교통로였으며 경주에 이은 두 번째 도시로서 역사의 중심에 있었다. 또 고려 시대에는 동쪽의 안보를 담당하는 교통과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이 같은 성격은 조선 시대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산과 평야 그리고 바다가 공존하는 강릉은 서로 다른 문화적 충격을 스스로 완충하면서 독창적인 문화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백두대간은 산간 민속을 발달시켰다. 상고대 동예(東濊) 지역이었던 강릉은 무천(舞天)의 영향으로 산천을 소중히 여기고 호랑이를 숭배하는 습속을 가지고 있었다. 지금도 강릉 단오제를 비롯한 민속 현장 곳곳에서 호랑이에 대한 신앙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바닷가 마을은 어로 민속을 형성하면서 남근 신앙, 용왕굿 등 풍요를 위한 주술적 신앙 등을 전승하였고 완충지인 평야 지역에는 별을 보고 점을 치는 강릉 사천 하평 답교놀이가 전승되고 있으며 신과 인간의 화합, 그리고 신앙과 생활의 조화를 추구하는 공동체 축제가 발달하였다.

또한 백두대간을 곁에 두고 펼쳐진 영동 지역은 평지가 넓지 않은 해안 지역으로 강릉 일원이 가장 넓은 평야 지대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시대적 격변기는 물론이고 평상시에도 인구의 유동이 많았다. 타지에서 들어올 때는 사람만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문화를 함께 가지고 입향한다. 이렇게 들어온 문화가 겹겹이 쌓이면서 현재 강릉의 문화를 형성했다고 보기도 한다.

[강릉 단오제]

음력 5월 5일, 단옷날을 중심으로 8일간 열리는 강릉 단오제는 지역민들이 대관령에서 서낭신을 모셔와 강릉시 홍제동에 있는 여성황사에 봉안하고, 보름 뒤 남대천 가설 제단에 모시고 벌이는 축제이다.

강릉 단오제는 1967년 1월 16일 제례, 굿, 관노 가면극 등 3개 부분을 중심으로 중요 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11월 25일에는 ‘인류 구전 및 무형 문화유산 걸작’으로 지정되었다. 이 명칭은 2008년 6월 제2차 무형 문화유산 보호 협약 당사국 총회의 제도 변경에 따라 ‘인류 무형 문화유산 대표 목록’으로 바뀌었다.

강릉 단오제 전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제례는 지역 인사들이 헌관으로 참석해 유교식으로 거행되며 지역의 안녕을 기원한다는 점에서 공동체 의례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관노 가면극은 한국의 유일한 무언극으로 음양의 조화, 화합이라는 강릉 단오제의 이념을 구현한다. 단오굿은 다양한 굿거리와 서사 무가, 춤사위, 음악 등으로 우리나라 샤머니즘 공연의 정수를 간직하고 있다.

[강릉 농악]

강릉에서 전승되고 있는 농악으로 1985년 12월 1일 중요 무형문화재 제11-4호로 지정되었다. 농악대는 평소 농기(農旗) 1명, 호적(胡笛) 1명, 꽹과리 3명, 징 2명, 장구 2명, 북 3명, 소고 8명, 법고 8명, 그리고 무동 8명 등으로 편성된다. 매년 정초에 지신밟기를 시작으로 정월 대보름 달맞이와 다리밟기, 2월 좀상날 다리밟기, 봄 농사가 끝난 뒤의 질먹기, 단옷날 대관령 성황제의 길놀이 등 다양한 공연을 전승하고 있다.

농악대원의 옷차림은 일반적인 작업복에 풍물만 드는 정도로 간소하며 상모와 고깔을 쓴다. 악기는 꽹과리, 징, 장구, 북, 소고, 법고, 흔히 ‘날나리’라고 부르는 호적을 사용한다. 농기는 흰 바탕에 검은색으로 ‘農者天下之大本[농자천하지대본]’을 내려 쓰며, 작은 글씨로 ‘강릉 농악 보존회’ 또는 소속을 표시한다. 예능 보유자는 박기하(朴基河)[1920~], 고(故) 김용현(金龍泫)[1929~2003], 정희철(鄭喜澈)[1934~] 등이다.

[강릉 사천 하평 답교놀이]

강릉시 사천면 하평리에서 음력 2월 6일 좀생이별과 초승달의 거리를 보고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다. 이날 늦은 오후에 마을 입구 서낭당에서 성황신, 용왕신, 토지신을 모시고 제례를 지낸다. 날이 어두워지면 횃불을 밝혀 마을 회관에서 1㎞ 정도 떨어진 사천진리 다리까지 농악대를 앞세우고 간다. 다리 앞에는 소나무 가지[송아리]로 솔문을 세운다. 솔문은 소나무 잎의 송침과 같은 주술적인 의미로 부정을 막는 액막이다. 다리밟기나 횃불 놀이꾼들은 반드시 이 솔문을 통과하여 참여한다. 다리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헌관이 되어 다리제를 올린 뒤 횃불을 들고 답교놀이를 시작한다.

강릉 사천 하평 답교놀이의 정착으로 사라져가는 다리밟기와 좀생이날 별점 풍속이 되살아났고, 강원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보존도 가능해졌다. 2001년 제42회 한국 민속 예술 축제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으며, 2003년 3월 21일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고 예능 보유자로 조규복이 지정되었다.

[강릉 학산 오독떼기]

1988년 5월 18일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된 「강릉 학산 오독떼기」는 강릉의 토속 민요로 전해지는 노동요이다. 정확한 유래는 확인할 수 없으나 신라 시대부터 즐겨 불렀다고 하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는 세조가 동해안 일대를 둘러보면서 ‘오독떼기’를 잘하는 사람을 뽑아 노래를 부르게 하고 상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강릉 학산 오독떼기」는 크게 모내기 소리, 김매기 소리, 벼 베기 소리, 타작 소리로 구분되는 농사의 전 과정을 일의 순서에 따라 불렀다. 잦은 아라리로 불리는 모내는 소리의 경우 3분박과 2분박이 혼합된 박자로 엇모리장단에 맞으며, 구성음은 ‘미·도·솔·라·레’이고 ‘미’ 또는 ‘라’로 마치는 메나리조로 되어 있다. 2012년 아리랑이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면서 「강릉 학산 오독떼기」의 잦은 아라리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강릉 학산 오독떼기」는 매년 모내기, 김매기, 추수 등 세 번 전승 발표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윤흥용·최삼영·정완화·이상욱·손병선 등이 예능 보유자로 활동 중이다.

[방짜 수저장]

방짜 수저는 전통적 방식으로 놋쇠를 계속 두들겨 만든 수저이다. 전통적인 금속 공예품인 유기(鍮器) 제품의 하나로 우리 생활공간에서 사용한 실용성 높은 공예품이다. 방짜는 양대(良大)라고도 하는데 동과 주석의 합금을 도가니에 녹여 부어 사각 형태의 놋덩어리를 만든 후 덩어리를 불에 달구어 두들겨서 늘리고 다듬어 만드는 방법이다. 숯불에 15회 이상 적당한 담금질을 되풀이하여 두드리면 쇠의 조직이 치밀해져 강도가 높고 광택이 나게 된다.

강릉 방짜 수저장은 2003년 4월 25일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으며 기능 보유자 고 김영락은 어려서부터 부친에게 방짜 수저 제작에 관한 일을 배웠다. 아들 김우찬은 2005년 6월 28일 방짜 수저장 전수 조교로 인정받아 매년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전승 활동을 하고 있다.

[강릉 갈골 과줄]

허균(許筠)의 『도문대작(屠門大嚼)』, 이익(李瀷)의 『성호사설(星湖僿說)』 등에 등장하는 과줄[과즐]은 오랜 역사를 가진 민족 음식이다. 일찍이 강릉 지역에서는 모래 과줄이 전승되었는데 기름 대신 깨끗한 모래를 달구어 과줄을 튀겨내는 방식이다. 한과라고도 불리는 과줄은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납작하게 만든 조각[바탕]을 말려 기름에 튀기고 꿀이나 조청을 발라 쌀알을 튀겨 마치 꽃처럼 부풀어 벌어진 튀밥을 붙인 것이다. 가짓수가 300여 종에 이른다. 2013년 4월 12일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된 강릉 갈골 과줄은 한과 중 유과인 산자와 강정이 유명하며 대한민국 식품명인인 최봉석[71]이 기능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7.17 용어 개칭 업데이트 전통 식품 명인 -> 대한민국 식품명인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