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220
한자 和順吳氏不祧廟
영어음역 Hwasun Ossi Bujomyo
영어의미역 Ancestral Shrine for Hwasun O Clan
이칭/별칭 모충사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 581-8[매산길 8]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주명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부조묘
건립시기/일시 조선 시대
소재지 주소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 581-8[매산길 8]지도보기
소유자 화순오씨 종중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화순오씨의 부조묘.

[개설]

오사충(吳思忠)[1327~1406]은 고려 후기,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조선의 개국 공신 중 한 사람이다. 초명은 오사정(吳思正)이며, 호는 수암(守菴)이다. 1355년(공민왕 4) 문과에 급제하여 감찰규정, 헌납, 집의를 거쳐 1389년(창왕 1) 좌사의대부가 되었다.

이 해에 공양왕이 즉위하자 조박(趙璞) 등과 함께 우왕, 창왕을 폐할 것과 이색(李穡), 조민수(曺敏修), 이인임(李仁任)우왕창왕 옹립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 이로 인해 삭탈관직을 당했다. 복직되어 판전교시사로 있을 때 정몽주(鄭夢周) 및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다시 멀리 유배되었다.

1392년(공양왕 4) 정몽주가 살해되자 복직되어 좌상시가 되었고, 이성계가 즉위하자 개국 공신 3등으로 호조전서가 되었으며, 보국숭록대부 영성군(寧城君)에 봉해졌다. 1394년(공민왕 6) 중추원 부사(副使), 교주강릉도(交州江陵道) 관찰사가 되었고, 이듬해 상의(商議) 중추원사가 되었으며, 1396년(공민왕 8) 정당문학(政堂文學), 경기좌우도 관찰사, 1398년(태조7) 보문각대제학 숭록대부(종1품)로 재임하였다. 1402년(태종2) 보국숭록대부(정1품) 영성군(寧城君)으로 피봉(被封)되고, 1404년(태종 4)에는 판사평부사(判司平府事)가 되었는데, 시호는 공희(恭僖)이다. 오사충 사후에 "입각도형 입비기공[立閣圖形,立碑紀功]" 하라는 태조의 왕명에 따라 부조묘의 전사판은 세종때 최초 경기도 양주에 세워졌으나 여러 전란을 거치면서 소실되어 화순오씨 종중에서는 화순오씨의 부조묘(不祧廟)를 모충사(慕忠祠)라 하여 2001년 10월에 전북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 581-8 에 새로 건축하였다.

[위치]

고창읍에서 영광으로 가는 국도 23호선을 타고 15분간 달리면 고창군 대산면소재지가 나온다. 여기서 오른쪽 공음면 방향으로 꺾어져서 1㎞쯤 가면 왼쪽에 대산면 매산리 매산마을이 나타난다. 마을 뒤 구릉에 화순오씨 부조묘인 모충사가 있다.

[변천]

오사충(吳思忠)이 서거(1406년) 후 "입각도형 입비기공[立閣圖形,立碑紀功]" 하라는 태조의 왕명에 따라 부조묘의 전사판은 세종때 최초 경기도 양주에 세워졌으나 여러 전란을 거치면서 소실되어 화순오씨 종중에서는 화순오씨의 부조묘(不祧廟)를 모충사(慕忠祠)라 하여 2001년 10월에 전북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 581-8 에 새로 건축하였다.

[형태]

정면 4칸, 측면 2칸이다. 담장을 쌓고 지반과 비슷하게 기반을 만들어 원형 복발주초를 놓았고, 두리기둥을 세워 창방과 결구하였다. 공포는 익공양식이다. 겹처마에 팔작지붕이며, 풍판을 달았다. 정면에 솟을대문이 있고 관리사도 따로 세웠다.

[금석문]

‘모충사(慕忠祠)’라는 현판을 달았다.

[현황]

화순오씨 부조묘지석리 무신촌에 있을 때는 화순오씨들이 거의 외지로 이사를 하였고, 남아 있는 몇몇 집도 가세가 어려워 제대로 돌보지를 못해 비가 새는 등 허름하기 그지없었다. 이에 전국에 있는 화순오씨들이 힘을 모아 2001년에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모충사(慕忠祠)’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건립하였다.

[의의와 평가]

화순오씨는 고창 지역에서 꽤 세력 있는 성씨였다. 자신들의 조상인 개국 공신 오사충화순오씨 부조묘를 제대로 보전하지 못하다가 뒤늦게 사당을 신축하였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1.15 내용 수정 수정 요청 문서 참조.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