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일신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599
한자 日新驛
영어음역 Ilsinyeok
영어의미역 Ilsin Traffic Post Station
이칭/별칭 일신역(日神驛),일신역(馹新驛)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홍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폐지연도/일시 1984년연표보기

[정의]

조선시대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에 설치된 교통 통신 기관.

[개설]

역참은 중앙 관아의 공문을 지방 관아에 전달하며 외국 사신의 왕래, 공무 여행자에게 말을 제공하고 숙식을 제공하였으며, 주요 도로에 대개 30리마다 두었다. 여러 개의 역을 하나로 편성하여 찰방(察訪) 또는 역승(驛丞)이 이를 관장하는 동시에 교통로 상의 지위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보고하기도 하였다. 기록에 나타나는 공주 지역의 역참으로는 일신역, 광정역, 경천역, 단평역, 유구역, 이인역 등이다.

[관련기록]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역은 여섯 곳이니, 일신·광정·경천·이인·단평·유구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주 북쪽 10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에는 “주의 북쪽 10리 동부면(東部面)에 있다. 기마 7필, 복마(卜馬) 8필, 노(奴) 39명, 비(婢) 22명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공산지』에는 “주의 북쪽 10리 동부면에 있다. 기마 7필, 복마 8필, 노 39명, 비 23명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내용]

일신역광정·평천·단평·유구 등과 함께 일신도(日新道)[조선시대 충청도 공주의 일신역을 중심으로 한 역참]에 속하는 중심 역으로 역승이 주재하였다. 세조 때 성환도(成歡道): 조선시대 충청도 직산의 성환역을 중심으로 한 역참]에 병합되어 성환도에 속한 22개 역 중 하나가 되었다.

조선시대에 역은 이용도와 중요성에 따라 대·중·소로 구분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한양에서 개성·죽산·직산·포천까지를 대로로 하였다. 한양에서 양근, 죽산에서 상주, 직천에서 성주, 직산에서 전주, 개성부에서 중화, 포천에서 회양까지를 중로로 하였으며, 나머지는 모두 소로로 규정하였다. 일신역광정역, 경천역, 평천역 등과 함께 중로에 속하였다.

조선 후기가 되면서 이를 대폭 개편하여 대로는 경기의 12역, 중로는 경기의 9역, 충청 24역, 전라 4역, 경상 5역, 강원 6역, 황해 11역, 평안 13역, 함경 17역으로 하였으며 나머지는 모두 소로로 규정하였다. 각 역에는 공수전(公須田)으로 대로 20결, 중로 15결, 소로 5결의 토지가 지급되었다.

[현황]

공주시 신관동에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관련 기록으로만 존재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역은 조선시대에 교통과 통신을 담당하던 중요한 시설로 공주와 다른 지역을 잇는 도로망 등을 추측해 볼 수 있으며, 일신역이 있던 신관동의 지리적 이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