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전막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600
한자 全幕
영어음역 Jeonmak
영어의미역 Jeonmak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시대 조선/조선,근대/근대
집필자 정내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명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지역에 있던 고을을 일컫던 지명.

[명칭유래]

전막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두 가지가 전한다. 하나는 주막거리가 있어서 마차들이 전부 쉬어 갔다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곳은 구한말 청나라 사람들의 밭이 많았으며, 그 밭을 돌보는 작은 집들이 있었다고 한다. 다른 하나는 천막을 오른다는 뜻으로 이곳에 빈촌이 많이 있었던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1. 금강전막의 변천

공주는 감영 도시로서의 이점(利點) 외에 금강 수계와 사통팔달의 도로망 덕택에 개항 이전부터 강경·논산·예산·둔포 등과 함께 독자적인 상품 유통권을 가진 상업 중심지로 정평이 나 있었다. 공주의 젖줄인 금강은 주변 연안의 농업 환경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인구 밀집 도시를 끼고 있었기 때문에 일찍부터 수운로로서 각광을 받았다.

1900년대에 금강 수계를 왕래하던 선박은 매년 15,000척 정도였으며, 군산~강경~공주~부강 구간에는 정기 기선도 운항되고 있었다. 당시 범선(평저선)의 경우는 군산에서 공주까지 이틀, 그 반대로 공주에서 군산까지는 하루 정도가 걸렸으며, 기선의 경우는 군산에서 부강까지는 8시간, 그 반대는 5시간 정도가 걸렸다.

1910년 5월과 9월 공주와 군산 간에는 제일공주환(第一公州丸)과 제이공주환(第二公州丸)이 각각 운항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한 사람당 운임은 1원 50전, 쌀은 석당(石當) 25전이었다. 당시의 1원은 현재의 1만원 정도 된다. 이처럼 수운이 번성했기 때문에 공주를 비롯하여 정산·부여·홍산·석성 등지의 물산들은 주로 육로가 아닌 금강 수계의 뱃길을 따라 운출되었다.

당시 공주에서 소상백화(遡上百貨)가 폭주했던 곳, 즉 가장 상업이 번창했던 곳은 곰나루(당시 남부면, 현재 웅진동전막·장깃대나루(옥룡동 백제대교 부근)였다. 회고에 따르면, 상당수의 공주 부자들은 위의 나루들을 근거지로 삼아 상업(소금과 어물)과 고리대업을 한 사람들이었다. 공주 인근에서 수집된 미곡 등 농산물들은 대부분 공주에서 군산에 이르는 뱃길을 통해서 일본이나 서울 지역으로 이출되었다.

일제강점기 공주는 철도가 통과하지는 않았으나 공주가 도청 소재지인 관계로 일찍부터 도로망이 발달해 있었다. 1923년 공주에는 천안과 논산으로 통과하는 1등 도로, 대전과 조치원으로 향하는 2등 도로, 부여와 예산으로 향하는 3등 도로가 방사형으로 구축되어 있었다.

당시 사람과 차량의 내왕이 가장 빈번했던 도로는 전막을 지나 조치원과 청주로 이어지는 공청가도(公淸街道)였다. 공청가도는 1894년 청일전쟁 시기 전쟁을 목적으로 일제가 급조한 신작로였다. 철도를 이용하려는 사람은 대개 승합차편으로 이 도로를 이용하여 조치원으로 향하였다.

공주 지역의 6·25 전쟁 진행 과정을 보면, 7월 12일경에는 국군의 명령이라 하면서 공주시민들을 총동원하여 장깃대나루·공주 공산성·곰나루 세 곳에 참호를 파게 하였다. 이는 북한군에 밀려 공주로 남하하던 미군 제34연대가 금강 방어선을 구축하기 위한 조처였다. 미군은 그날을 전후하여 나룻배 등 모든 도하 장비를 몰수하여 소각했을 뿐만 아니라, 13일 새벽쯤에는 금강철교를 공중 폭격하였다.

공주 방면을 공격해온 북한군 제3사단의 포격은 13일부터 본격화되었다. 밤이 되자 포성이 방벽을 흔들 정도로 강력해졌으며, 새벽녘에는 아예 집 전체가 들썩일 정도로 요란해졌다. 귀청을 찢는 듯한 포성이 요란한 가운데 전막금강 방면에서는 화염도 목격되기 시작하였다. 1933년 도청 이전의 대가로 만들어진 금강철교가 미군의 폭격으로 강물에 내려앉은 것은 13일 새벽 4시경이었다고 한다.

2. 전막의 도시 경관

신시가지에 위치한 전막의 가로변에는 일제강점기 이래 존재하던 가촌 형태의 소규모의 영세 상가가 남아 있다. 전막 일대에 발달해 있던 상가는 현재의 신시가지가 아직 전혀 개발되지 않았던 1980년대 초까지도 신관동 일대에서 가장 규모가 큰 집적 상가였다. 당시 이곳에서 많이 떨어진 공주사범대학 부근의 대학촌·관골·매산동·일신동 일대의 주민들과 대학생들이 이용하는 유일한 집적 상가였다. 당시의 전막 상가에는 버스정류소·약방·잡화상·쌀가게·야채상·석유가게·주점·다방·전자제품 판매 수리점 등이 입지해 있었다.

전막 상가의 상점들은 상호에 전막이라는 지명을 많이 사용하였다. 당시의 전막상회, 전막전파사 등의 상호는 아직도 존속되고 있다. 이 전막 상가들은 상업적 측면에서는 그 기능이 미미하지만, 관성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막 상가는 문화 경관의 측면에서는 보존 가치가 대단히 높으며,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도 있다.

한편, 공주시의 구도심 내부 시가지로 진입하는 여러 도로의 입구 부분에는 공주시를 상징하는 특이한 문화 경관들이 자리하고 있다. 부여 방면에서 공주시가지로 들어오는 우금치의 마루턱에는 성황목이 있으며, 우금치 정상부에는 목장승이 있다. 청양과 예산 방면에서 공주시가지로 들어오는 전막에는 세 마리의 곰상이 있다.

[위치비정/행정구역상의 구분]

전막의 위치는 신관동 지역 매산 서쪽으로 비정된다. 금강교를 건너 공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사이 금강 변에 위치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