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721 |
---|---|
한자 | 市民軍尹祥源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신현준 |
창작|발표 시기/일시 | 1996년![]() |
---|---|
제작 단체 | MBC광주문화방송 -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로 116번길 17[월산동 300-10]![]() |
성격 | 드라마 |
양식 | 다큐멘터리 |
작가(원작자) | 박효선 |
감독(연출자) | 오창규 |
출연자 | 박효선|김창준|신동호|오성환|은송|김훈찬|박규상|나창진|심효정|김진홍|이방수|이경훈|최금표 |
주요 등장 인물 | 윤상원|김상윤|김영철|이양현|윤강욱|정상용|김창길|박용진|박기순|박남선|김종배|임낙정|박관현 |
공연(상영) 시간 | 88분 |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의 삶과 철학을 다룬 방송 다큐멘터리 드라마.
「시민군 윤상원」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외신기자였던 브래들리 마틴, 테리 앤더슨, 필립 퐁스 등의 취재 경험과 증언을 바탕으로 하여 윤상원을 중심으로 한 5월 항쟁 지도부의 투쟁과 고뇌, 긴박하였던 상황 등을 입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1996년 MBC광주문화방송에서 다큐멘터리 드라마 형식으로 제작하여 방영되었다.
1부[투사회보]와 2부[마지막 새벽] 총 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윤상원과 함께 들불야학과 시민군 지도부 역할을 하였던 박효선이 직접 극본을 쓰고 배우로 참여하였다.
1부에서는 구술을 통하여 윤상원이 들불야학에서 활동한 이야기와 녹두서점에서의 경험을 주로 재현하였다. 2부에서는 항쟁의 마지막날 윤상원의 생애를 언론 보도 및 구술을 통하여 재현하였다.
「시민군 윤상원」은 5·18민주화운동을 이끈 한 시민군 지도자의 결연하고 숙연한 삶의 태도에서 감동을 받은 외신기자들의 고백이 잘 드러나 있다. 5·18민주화운동을 취재한 외신기자들의 최초의 증언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시민군 윤상원」을 통하여 시민군 지도부의 전남도청 내 상황에 대한 영상화가 최초로 시도되었다는 점도 고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