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215 |
---|---|
한자 | 野隱堂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광주광역시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 559-1]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이영미 |
건립 시기/일시 | 1936년 - 야은당 건립 |
---|---|
현 소재지 | 야은당 - 광주광역시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 559-1] |
성격 | 정자 |
양식 | 팔작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2칸 |
[정의]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정자.
[개설]
야은당(野隱堂)은 김용훈(金容燻)이 당시의 어지러운 세태를 어쩌지 못하고 초당을 짓고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읊으며 이를 실천하고자 은거한 유유자적한 처소이다.
[위치]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 서창향토마을 서창한옥문화관 옆에 있는데, 서창향토마을뒤에는 백마산이 있고 마을 앞으로는 넓은 들과 극락강이 흐른다. 정자 입구에는 야은거사(野隱居士) 김해김공(金海金公) 용훈(容燻) 유적비(遺積碑), 가운데는 임진왜란의병장(壬辰倭亂義兵將) 삽봉김세근장군훈적비(揷峯金世斤將軍勳積碑), 그 옆에는 열부유인김씨행적비(烈婦孺人金氏行蹟碑)가 있다.
[변천]
김용훈이 60세 되던 1936년, 자제들이 김용훈이 일제강점기 혼란에 관직을 포기하고 세하동으로 오게 된 취지와 그 절의를 사모하여 모든 고난을 다 버리고 건강하게 장수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액호를 야은당이라고 하였다.
[형태]
도리석초, 도리기둥의 정면 3칸, 측면 2칸의 정내 중앙에 내실을 둔 팔작지붕 양식이다.
[현황]
야은당은 현재 서창한옥문화관과 함께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정자이자 재실로 활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자연부락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광주광역시에서 몇 곳 남지 않은 정자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