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과거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713
한자 科擧制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노성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958년연표보기 - 과거제 도입
시행 시기/일시 1798년 - 특별 과거 시험 광산관에서 실시

[정의]

고려와 조선시대에 시험을 통해 관리를 선발하던 제도.

[개설]

과거제는 학문적 능력을 가려 관리를 뽑는 제도로, 고려시대인 958년(광종 9)에 처음 도입되어 조선 말까지 지속되었다.

[내용]

우리나라에서 과거제가 정착된 것은 조선시대였다. 과거에는 문과, 무과, 역과가 있었는데, 그중 가장 영예롭고 고위 관직으로 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하였던 것은 문과였다. 조선 왕조 500여 년간 문과는 총 804회가 실시되었고, 여기서 배출된 급제자는 15,000여 명이었다. 영조 이후 문과 급제자 5,000여 명 중 서울[한양] 출신이 약 30%이었고, 그 뒤를 이어 평안도·경상도·전라도 순이었다. 전라도는 영조 이후 급제자의 7% 정도인 380여 명이었다. 3년에 한 번 실시된 문과 시험 1등 합격자를 장원급제자라 불렀는데, 조선시대에 전라도 광주 출신으로 장원급제한 인물은 박순(朴淳)[1523~1589], 고경명(高敬命)[1533~1592], 이발(李潑)[1544~1589]이었다.

1798년(정조 22년) 광주목 객사였던 광산관에서는 아주 특별한 과거 시험이 치러졌다. 1579년 정철, 고경명 등이 면앙정에서 스승인 송순을 위한 과거 합격 60주년을 기리는 회방연(回榜宴)을 베풀었는데, 200여 년 뒤 정조가 그 이야기를 듣고 전라도 광주에서 특별한 과거를 치르게 하였다. 정조는 호남의 인재를 선발하는 과거 시험을 치르도록 명한 후 첫날 실시된 시(詩)의 제목인 ‘하여면앙정(荷輿俛仰亭)’ 의 시제(試題)를 직접 내렸다. 특별 과거 시험의 시제인 ‘하여면앙정’은 200여 년 전인 1579년 송순의 회방연 때 송순의 제자들이 스승을 가마에 태워 집까지 데려다준 것에 대해 각자의 생각을 쓰라는 내용이었다. 이 특별 시험에 69명이 응시하여 3일간에 걸쳐 시(詩)·부(賦)·전(箋)·의(義)·책(策) 등 5과목의 시험을 치렀는데 고정봉과 임흥원이 공동 1등으로 합격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