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유인시무등산가구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919
한자 有人示無等山歌求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67년 - 강항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18년 - 강항 사망
배경 지역 무등산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지도보기
성격 한시
작가 강항

[정의]

조선 시대 문신인 강항이 전라도 광주 지역에 있는 무등산을 유람하고 지은 한시.

[개설]

「유인시무등산가구화(有人示無等山歌求和)」를 지은 강항(姜沆)[1567~1618]의 자는 태초(太初), 호는 수은(睡隱), 본관은 진주(晋州)이다. 강희맹(姜希孟)의 5대손이며, 아버지인 강극검(姜克儉)과 어머니인 김효손(金孝孫)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성혼(成渾)과 신응시(辛應時)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93년 별시문과에 급제한 후 공조·형조의 좌랑을 지냈으며, 1597년 정유재란 때 일본에 포로로 끌려갔다가 1600년에 귀국하였다. 일본에서 승려 후지와라 세이카[藤原醒窩]에게 조선의 주자학과 과거제도, 상례 등을 가르쳤고, 귀국 후에는 은거하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저서로 『강항휘초(康沆彙抄)』, 『간양록(看羊錄)』, 『운제록(雲堤錄)』, 『강감회요(綱鑑會要)』, 『좌씨정화(左氏精華)』, 『문선찬주(文選纂註)』, 『수은집(睡隱集)』 등이 있다. 「유인시무등산가구화」는 『수은집』 제1권에 실려 있다.

[구성]

「유인시무등산가구화」는 1구에 7자씩 모두 4구로 이루어진 칠언절구이다.

[내용]

유인시무등산가구화(有人示無等山歌求和)[어떤 이가 「무등산 노래」로 화답시를 구하다]

층봉석일강반제(層峯昔日強攀躋)[그 옛날 층층 봉우리 힘겹게 올랐더니]/ 서석회암몽이미(瑞石回岩夢已迷)[서석에 두른 절벽 꿈처럼 아득하여라]/ 종차불탄무제승(從此不憚無濟勝)[이제부터 좋은 경치 없어도 개의치 않으니]/ 명산거작일전제(名山遽作一筌蹄)[명산이란 말 갑자기 쓸모없게 되었구나]

[특징]

「유인시무등산가구화」는 층층 봉우리로 이루어진 무등산을 힘들게 올라 정상에 오른 후 눈앞에 펼쳐진 절경에 감탄하며 그 정취를 시로 옮긴 것이다. 무등산의 경치는 강항이 경험해 본 것 중 최고의 아름다움이었다. 이에 좋은 경치를 보겠다는 목적을 달성하여 더 이상의 명산은 의미가 없어졌다[筌蹄]고 시를 마무리한다.

[의의와 평가]

강항의 「유인시무등산가구화」는 조선 후기 무등산의 절경을 고사로써 극찬하고 있다. 또한, 정상에 오르기까지의 육체적 힘듦과 산을 오른 후의 황홀한 감정을 대비하여 작품 말미의 평가를 뒷받침한다는 면에서 시의 짜임새가 돋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