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101200 |
---|---|
이칭/별칭 | 용천리 흰둥바위 검둥바위,흰둥바위 검둥바위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용천1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현주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6년 - 「검둥바위 흰둥바위」 『경산문화유적총람』에 수록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2년 - 「검둥바위 흰둥바위」 김주영으로부터 채록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5년 - 「검둥바위 흰둥바위」 「용천리 흰둥바위 검둥바위」라는 제목으로 『경산 지방의 설화문학연구』에 수록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9년 - 「검둥바위 흰둥바위」 「흰둥바위 검둥바위」라는 제목으로 『경산문화대사전』에 수록 |
관련 지명 | 흰둥바위 검둥바위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용천1리 |
채록지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용천1리 |
성격 | 설화|지명 전설 |
주요 등장 인물 | 마을 사람들|마을 아낙네들 |
모티프 유형 | 비보풍수(裨補風水) |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용천리에 있는 흰둥바위 검둥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검둥바위 흰둥바위」는 용성면 용천리 인근에 있는 검둥바위와 흰둥바위의 명칭에 대한 기원을 담고 있는데, 검둥바위는 남성을 상징하고 흰둥바위는 여성을 상징한다는 지명 유래 전설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6년 경산대학교 부설 경산문화연구소에서 간행한 『경산문화유적총람』에 「검둥바위 흰둥바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으나 채록 시기와 채록 장소가 명확하지 않다. 2005년 대구대학교 부설 인문과학연구소에서 간행한 『경산 지방의 설화문학연구』에 「용천리 흰둥바위 검둥바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2002년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용천1리 김주영[남, 당시 64세]에게 채록한 것이다. 이는 2009년 경산시립박물관에서 간행한 『경산문화대사전』에 「흰둥바위 검둥바위」라는 제목으로 인용되어 있다.
[내용]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육리 지역의 용천1리 앞산 6부 능선에 여근과 같이 생긴 바위가 있는데 이를 ‘흰둥바위’라고 한다. 용성면 노인회관 앞길에서 보면 바로 근거리에 있어 뚜렷이 쳐다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바위는 언제부터인가부터 마을 사람들에 의하여 바위의 앞면이 가려져 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이 바위 앞에 나무를 베어버려서 이 바위가 길가에서 바라다 보이면 용천 1, 2리의 젊은 처녀나 아낙네들이 모두 바람이 나 음탕한 짓을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어느 해 이 일대에 땔감을 하러 갔던 나무꾼이 주변의 나무를 모두 베어버리자 갑자기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일 잘하던 마을 처녀가 집을 나가고 부녀자들도 집을 나가 외간 남자들과 놀아났다는 것이다. 그 연유는 마을 앞산이 여자의 국부인 여근과 닮아 그 앞에 가려져 있는 나무들을 베어버리면 불현듯 여근의 형상이 밖으로 드러나 보여 마치 아녀자가 속옷을 벗고 많은 사람들에게 알몸을 내보이는 것과 같고 시간이 흐를수록 대담해져 바람이 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이 있고부터는 흰둥바위 근처의 나무를 베지 않아서 외부에서 바위를 바라보지 못하게 하였다. 그런데 이 마을 앞산에 흰둥바위가 있다면 이 산 건너편 마을 뒷산에는 검둥바위라 하여 남근과 같이 생긴 바위가 있다. 용천리에 있는 이 흰둥바위가 마을 건너편의 숫바위를 바라보면 곧 암바위 아래 물기가 서리고 일 일대의 아낙들에게도 이상하게도 바람기가 돈다는 것이다. 이 마을 사람들은 마을의 아녀자들이 집을 나서면서 자신도 모르게 마을 앞 흰둥바위가 있는 앞산을 쳐다보는 버릇이 있다고 하며 마을 사람들은 그 누구도 이 흰둥바위 주변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감시를 하며 가급적 이들 바위가 서로 마주보지 못하도록 주위의 수목을 무성하도록 관리한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검둥바위 흰둥바위」 설화의 주요 모티프는 ‘비보풍수(裨補風水)’이다. 여성의 음부와 남성의 음부를 닮은 바위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여성의 행실을 단속하는 것은 전국에 널리 전승되고 있는 설화이다. 이야기의 기본구조는 우연히 나무꾼이 흰둥바위 주변의 나무를 베는 일로 인해 마을 여자들이 바람이 나자 주위에 수목을 무성하게 했다는 것이다. 비보풍수는 어떤 지형이나 산세가 풍수적으로 부족하면 이를 보완하는 술법을 말한다. 나무가 없어서 바위가 보일 정도일 때 비가 많이 온다면 산 밑에 사는 사람들에게 산사태 등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산사태나 홍수 등이 나는 것을 미리 방지하고, 사람에게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던 것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풍수(風水)이야기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