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신봉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0020
한자 靈神峰
영어음역 Yeongsinbong
영어의미역 Yeongsinbong Peak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기근도김영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전구간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해당 지역 소재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지도보기
성격
높이 1,651.9m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함양군 마천면, 산청군 시천면에 걸쳐 있는 산.

[개설]

지리산 영신봉은 높이 1,651.9m로 백두대간 낙남정맥의 출발점이다. 서쪽으로 칠선봉[1,576m]·삼각고지[1,470m], 동쪽으로 촛대봉[1,703.7m]·천왕봉[1,915m], 남쪽으로 삼신봉[1,284m]과 이어지는 주요 능선들이 영신봉에서 갈라지며, 남쪽 비탈면에 산청군 시천면 거림골, 하동군 화개면 큰세개골·대성계곡, 북쪽 비탈면에 함양군 마천면의 한신계곡이 있다.

[자연 환경]

노고단에서 삼각고지를 거쳐 영신봉, 천왕봉에 이르는 동서 방향의 지리산 주요 능선의 중심에 있는 영신봉은 혼성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편마암은 지표 표층만 1m 안팎으로 얇게 풍화되는 표층 풍화 특성을 보이지만, 지형적 개석(開析)[원래의 지형면이 하천의 침식 작용으로 골짜기가 형성되면서 새로운 지형으로 바뀌는 일]이나 침식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분지보다는 높은 산지를 이루는 경향이 강하다.

편마암의 표층은 얇은 풍화층 때문에 기반암 노출이 적고 식생 피복이 두껍게 발달하는 생태적으로 안정된 산지를 이루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지리산 주요 능선과 산 정상부는 대부분 암괴가 노출되어 있다. 이는 1,500m 이상의 고도를 보이는 곳에서는 겨울철 토양과 풍화층이 얼었다 녹았다 하는 동파 작용이 매우 강해 표층의 토양이 바람과 지표수에 씻겨 나갔기 때문에 흙 속의 기반암이 노출된 결과이다. 영신봉 정상부에 규모는 크지 않지만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현황]

영신봉에 오르면 날씨가 맑은 날에는 동쪽으로 촛대봉·연화봉[1,703m]·장터목 대피소·제석봉[1,808m]·천왕봉까지 보이고, 서쪽으로는 칠선봉~덕평봉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삼신봉에 이르는 남쪽 능선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영신봉 서쪽 덕평봉에는 수량은 적으나 마르는 일이 없는 선비샘이 있다.

[참고문헌]
  • 『하동군지』 (하동군지편찬위원회, 1996)
  • 하동군청(http://www.hadong.go.kr/)
  • 하동 문화관광(http://tour.hadong.go.kr/)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정보시스템(http://geoinfo.kigam.re.kr)
  • 한국의 산천(http://www.koreasan.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