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400277 |
---|---|
한자 | 蓮臺烽燧臺 |
영어의미역 | Becon Signal Station in Yeondaebong Peak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 산17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정의연 |
현 소재지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 산17 |
---|---|
성격 | 봉수대 |
양식 | 석축 |
소유자 | 하동군 |
관리자 | 하동군 |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봉수대.
[건립 경위]
연대 봉수대는 왜구를 방어하는 중요한 요새지로, 봉수대의 잔존 형태나 주위 여건을 감안해 볼 때 조선 시대에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연대 봉수대는 적군의 침입 시 가장 먼저 봉화를 올리는 곳으로, 하동 금오산 봉수대(河東金鰲山烽燧臺)와 정안봉 봉수를 거쳐 지리산[1,915m]에 있는 봉수대로 연락하게 된다.
[위치]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 뒷산 연대봉에 위치하고 있다. 연대봉은 노량해협을 바라보며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 북쪽과 송문리 동남쪽에 우뚝 솟아 있다. 연대봉에는 석성인 연봉산성이 있고, 그 안에 연대 봉수대가 있다.
[현황]
2011년 현재 연대 봉수대는 하동군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봉화를 올린 흔적은 남아 있지만, 석렬이 와해되고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원래의 규모를 추정하기는 어렵다.
[의의와 평가]
남쪽 해안에는 성곽과 간봉 역할을 한 봉수대가 많았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때 왜구들의 침입이 잦은 관계로 이에 대한 감시 및 전투 대비를 위해서 봉수대의 역할이 중요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하동은 광양, 여천, 순천, 여수 등 전라도 해안과 남해, 사천, 통영 등 경상도 해안의 동향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였다. 연대 봉수대 인근에는 하동 고소성(河東姑蘇城)의 외곽 봉수대인 두우산 봉수가 전라도와 경계 지점에 있다. 지형적으로 볼 때 두우산 봉수가 전라도 쪽의 감시를 담당하였다면, 연대 봉수대는 경상도 쪽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