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1221
한자 金重元
영어음역 Gim Jungwon
이칭/별칭 응삼(應三),관어재(觀魚齋),퇴장암(退藏庵)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양곡면 청천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전병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80년연표보기
활동 시기/일시 1728년연표보기
몰년 시기/일시 1750년연표보기
출생지 경상남도 하동군 양곡면 청천리
묘소|단소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신월리 지도보기
성격 공신
성별
본관 용궁

[정의]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공신.

[가계]

본관은 용궁(龍宮). 임진왜란 때 수문장으로 진주성에서 순절하여 창렬사(彰烈祠)에 향사된 낭선재(浪仙齋) 김태백(金太白)의 후손이다. 고조할아버지는 김준걸(金俊傑)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김여생(金麗生)이며, 할아버지는 김명립(金明立)이다. 아버지는 청천재(淸川齋) 김상침(金尙琛)이며, 어머니는 윤효일(尹孝一)의 딸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정사석(鄭思錫)의 딸인 첫째 부인 연일 정씨(延日 鄭氏)와의 사이에 김창윤(金昌潤)·김창연(金昌演)을 낳았으며, 최응천(崔應天)의 딸인 둘째 부인 삭녕 최씨(朔寧 崔氏)와의 사이에서 김창호(金昌濠)·김창필(金昌弼)을 낳았다.

[활동 사항]

김중원(金重元)은 1680년(숙종 6)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양곡면 청천리에서 태어났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가 난을 일으켰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창의(倡義)하였다. 집안이 가난하여 군비(軍備)를 갖출 수 없었으나 부인 정씨가 남편을 위해 치마를 찢어 깃발을 만들어 주었다. 종제(從弟) 김중익(金重益)이 기르던 말을 빌려 타고 출정하였는데, 당시 집안의 종들과 마을의 장정들을 모으자 50명 정도가 되었으며, 종제 김중익, 차남 김창연(金昌演), 친구 조영하(曺永河) 등과 함께 적진을 향해 나아갔다.

당시에 진주절도사 이시번(李時蕃)이 병을 핑계대고 나서지 않자, 영장(營將) 이석복(李碩復)이 대신 수장(首將)이 되었으며, 곤양군수 우하형(禹夏亨)이 중군장을 맡았다. 김중원은 산청에 머물고 있던 우하형에게 나아가 적을 토벌할 계책을 말하여 크게 칭찬받고 선봉 부대에 배속되었다.

거창의 소사(素沙)에 이르렀을 즈음 역적의 세력이 더욱 번성해졌다. 이에 관군과 의병이 모두 두려워하였는데, 김중원이 종제 김중익과 조하영 등을 몰래 파견하여 고개 위에 의병(疑兵)[군사가 있는 것처럼 거짓으로 꾸며 보이는 것]을 설치하고, 격문을 지어 하인 덕금작지(德金作之)를 보내 적진에 전달하여 그들의 죄를 낱낱이 성토하였다. 그리고 마침 적군의 병졸을 생포하였는데, 회유하여 돌려보내 은밀히 내통하였다. 또 언문으로 격문 한 통을 작성하여 적군을 깨우쳤다. 또한 하인 덕금작지와 해선(海先) 등을 적진에 보내 이전에 회유하여 돌려보낸 병졸과 암호를 약속하고서 적진의 위에 쳐져 있던 가죽 차일의 줄을 끊어 적군을 혼란에 빠뜨렸다. 그리하여 관군과 의병이 이때를 틈타 힘을 합쳐 적군을 무찔렀다.

난이 평정된 후 김중원은 자신의 공적을 내세우지 않고 조용히 지리산 아래에 물러나 은거하였다. 그러고는 자신이 기거하는 집의 이름을 ‘퇴장암(退藏庵)’이라 하고는, 경전을 연구하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기며 여생을 보내다가 1750년(영조 26)에 사망하였다.

명암(明庵) 정식(鄭栻), 죽계(竹溪) 오우(吳佑) 등과 교유하였으며, 그들과 함께 『참동계(參同契)』와 성리서(性理書) 등을 강론하였다. 젊어서는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과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즐겨 읽었다고 전한다.

[사상과 저술]

문집으로 『퇴장암유집(退藏庵遺集)』 3권이 전한다.

[묘소]

묘소는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신월리 갈록치(渴鹿峙)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인좌의 난을 평정한 공을 인정받아 양무일등공신(揚武一等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아버지 김상침은 호조참판에 증직되고 어머니는 정부인(貞夫人)이 되었다. 양보면 운암리김중원을 추모하는 사당인 경의사(景義祠)가 있으며, 경의사 경내에 용궁 김씨 재실인 관어재가 있다. 관어재 내에 조총과 운검(雲劍), 문집 등 김중원 관련 유물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