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하동 운암영당 최익현 초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1935
한자 河東雲岩影堂崔益鉉肖像
영어의미역 Portrait of Choi Ikhyeon in Unam-ri, Hadong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 912-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박용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0월 7일연표보기 - 하동 운암영당 최익현 초상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1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하동 운암영당 최익현 초상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제작 시기/일시 1878년연표보기
현 소장처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 912-1
성격 초상화
소유자 경주 최씨 화숙공파 하동운암 문중
관리자 경주 최씨 화숙공파 하동운암 문중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 운암영당에 있는 최익현의 영정.

[개설]

하동 운암영당 최익현 초상은 크기가 가로 154㎝, 세로 101.5㎝이며, 세 폭으로 이어진 마본 바탕에 그려진 족자 형태이다. 화면 오른쪽 상단의 ‘면암 최선생 사십사세 진상(勉庵崔先生四十四歲眞像)’이라는 묵서명에 의하면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1833~1906]이 44세 되던 1878년(고종 15)에 조성된 좌안(左顔) 관복상의 교의 좌상(交椅坐像)이다. 1925년부터 운암영당에 봉안되어 있었다고 전하며, 2010년 10월 7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1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하동 운암영당 최익현 초상은 마본 채색으로서 3부 1포를 이루고 있다. 인물 복식은 오사모(烏紗帽)에 쌍학흉배(雙鶴胸背)를 단 청색 단령(團領)의 관복이며, 표범 가죽 장식을 걸친 의자에 앉아 있다. 안면부는 두껍게 호분을 사용하였고, 입술은 붉다. 얼굴의 윤곽선은 고르게 갈색을 띠고 있으며, 안면의 주름은 선묘 위주로 표현되어 있다. 눈은 상검선은 먹선, 하검선은 호분으로 그린 후 그 안에 동공은 연한 갈색, 동채는 먹색으로 묘사하였다. 속눈썹과 눈썹은 섬세한 세필로 그렸고, 눈과 콧망울 주변은 약간의 선염으로 입체적인 효과를 냈다.

오사모는 상단과 하단의 정상 부분을 농묵으로 강조하였고, 아래 부분은 담묵으로 처리하였으며, 이마에 닿는 상투선과의 경계 부분은 채색하지 않아 보는 이로 하여금 이마의 일부분을 엿볼 수 있게 하는 수법을 사용하였다. 흉배는 흰 학과 노란 학의 쌍학흉배로, 학의 도상과 오색구름 문양을 묘사하였는데, 조선 후기 흉배 묘사에 보이는 수를 놓은 듯한 세필 묘사는 보이지 않는다. 허리 부분에 걸린 서각대(犀角帶)의 중심부에는 복숭아문이 그려져 있다. 청색 단령의 문양 묘사는 의습선의 흐름과 무관하게 운보 단문을 농묵 세필로 그려 장식하였고, 단령 사이로 보이는 내의의 소매 끝단, 그리고 소맷자락 뒤쪽으로 드리워진 술의 채색도 백록색으로 하였다. 배경은 조선 후기 다른 예처럼 화문석이다.

[특징]

하동 운암영당 최익현 초상은 오사모, 교의, 신발 등은 먹빛으로 그리고, 안면 및 관복에는 백록색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20세기 초에 다시 칠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단령의 끝자락을 수정, 보채(補彩)하는 과정에서 화문석의 일부 문양이 소실된 부분도 발견된다. 상태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편이나 화면 하단부에 부분적으로 결견된 부분이 있다. 결견된 부분 사이로 밑그림이 보인다. 다소 훼손되어 갈라진 배접 사이로 화묘선이 확연히 드러나 있어 하동 운암영당 최익현 초상의 초본이 안쪽에 들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초상화 제작 이후 초본을 떼어내는데, 이 영정의 경우 본지 뒤쪽에 영정초가 있어 영정 제작 연구에 중요한 사료가 될 듯하다.

[의의와 평가]

최익현의 초상화는 1905년(고종 42)에 제작된 「최익현 초상」[보물 제1510호, 국립제주박물관 소장]과 작자 미상의 충청남도 청양군 모덕사 소장 초상화가 전하고 있다. 하동 운암영당 최익현 초상은 1878년에 제작된 관복본 초상화로 질이 높지 않고 오사모, 교의, 의습 동정 부분에서 다시 칠한 흔적이 보이지만 경상남도 지역에 초상화의 작례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