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0126
한자 花林里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화림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경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3월 1일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화림리 개설
전 구간 화림리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화림리 지도보기
성격 법정리
면적 3.2㎢
가구수 124가구
인구[남,여] 229명[남자 105명, 여자 124명]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개설]

화순군 춘양면 화림리는 화곡(花谷)·광대월·임동(林洞)·신촌 등 4개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명칭 유래]

화림리의 지명은 화곡 마을의 화(花)자와 임동의 임(林)자를 각각 취한 것이다. 화곡 마을의 뜻은 마을에 꽃이 만발하였다 해서 이름 붙여졌다고 전한다. ‘화곡’의 원뜻은 꽃메골로 이것은 곶메에서 꽃메로 변한 것이다. ‘곶메골’의 원뜻은 산골짜기 마을이란 뜻이다. 임동 마을은 마을 입구에 비사리등과 큰솔밭 지명에서 보이는 것처럼 수목이 울창하여 임동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광대월 마을은 과거 뒷골에 옥산이라는 마을이 있었는데 외세의 침략으로 지금의 마을로 이사해 마을을 이루었고 민씨와 장씨 등이 대성촌을 이루었다고 전한다. 의령 남씨가 마을 뒷골에 터를 잡고 살면서 세터골이라 부르다 다시 지금의 터로 이사하여 광대월이라 했다고 전한다. 풍수지리상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뒷산등이 동에서 뜨는 반달 형국인데, 동반달이 기우는 달이라 마을이 쇠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을 이름을 광대월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신촌 마을은 원래 옹기를 굽던 곳으로 점촌이라 불렀으며 이후 새터라고 부르다가 이를 한자로 쓰면서 신촌(新村)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1789년 『호구 총수』에는 능주목(綾州牧) 남일면(南一面) 광대촌(廣大村), 옹점리(瓮店里)[혹은 독점리], 1864년 『대동지지』에는 능주목 석정면(石亭面), 1895년 5월 1일 전국 행정 구역 개편에 의거 나주부(羅州府) 능주군(綾州郡) 부춘면(富春面), 1896년 8월 4일 지방 행정 개편에 의해 전라남도(全羅南道) 부춘면, 1912년 『지방 행정 구역 명칭 일람』에는 능주군 부춘면 화곡(花谷)·광대촌(廣大村)·임동(林洞)으로 기록되어 있다. 1913년 능주군의 폐지로 화순군(和順郡) 부춘면, 1914년 3월 1일 행정 구역 변경에 의해 화순군 춘양면(春陽面) 화림리(花林里)[화곡리·광대촌·점촌·임동]로 개편되었다.

[자연환경]

전체적으로 평탄한 평야 지역으로 지석천의 지류가 화림리의 중앙부와 경계를 이루며 흐르고 있다. 화곡 마을은 서쪽으로 얕은 산이 있으며 내가 마을의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흐르고 남쪽은 춘양 중학교가 있는 구릉이 있으며 동쪽과 북쪽은 평야 지역으로 형성되었다. 광대월 마을은 마을 뒤쪽으로 얕은 구릉이 있으며 마을 앞은 앞들과 함께 130여 미터의 산이 있다. 하천은 마을 북쪽 웃골에 있는 화림제에서 남으로 흐르며 남쪽은 평지이고 동쪽 구릉 너머로 대가들의 평야가 있다. 임동 마을은 마을 뒤쪽으로 작치산(鵲雉山)이 있으며 마을 앞은 평지이고 동쪽에는 지석천이 남에서 북으로 흐른다. 신촌 마을은 마을 뒤쪽으로 작치산(鵲雉山)이 있으며 마을 앞은 평지이고 동쪽에는 지석천이 남에서 북으로 흐른다.

[현황]

화림리춘양면의 북부에 위치하는 법정리이다. 2011년 12월 기준으로 면적은 3.2㎢, 124가구에 남자 105명, 여자 124명으로 모두 229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동쪽으로 한천면 모산리, 서쪽으로는 춘양면 대신리, 남쪽으로는 석정리, 북쪽으로 능주면 잠정리·내리와 이웃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벼와 보리 농사가 주소득원이다. 주산물은 쌀과 보리이며 특산물은 아스파라거스·고추·축산·담배 등이다.

충청남도 서산시와 전라남도 보성군을 잇는 국도 29호선이 마을의 중앙부를 남북으로 지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전라북도 익산시와 전라남도 여수시를 연결하는 경전선 철도가 마을을 남북으로 지난다. 유물 및 유적으로는 모화재(慕華齋), 연방죽 터, 대판 거리 주막 터, 날뿌리 주막 터, 다리께[개내 앞에] 주막 터, 당산나무[500년 수령], 옹기점 터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