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1872년 지방도』 「능주목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0369
한자 1872年地方圖綾州牧地圖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건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72년 - 『1872년 지방도』 「능주목 지도」 제작
현 소장처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103동[신림동 산 56-1]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회화식 필사본
소유자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관리자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정의]

1872년에 제작된 군현 지도 중 화순 능주 지역의 지도.

[개설]

임진왜란병자호란의 전쟁을 겪은 조선 사회는 18세기 영조정조 대에 이르러 부흥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각종 문물제도가 정비되고 사회적으로 안정되면서 농업 부문의 생산력 또한 높아지고 더불어 상품 유통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또한 18세기에는 실학을 비롯한 학문뿐 아니라 문학과 예술 부분에서도 많은 성과들이 축적되었다. 조선 시대 지도 제작 역시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19세기로 넘어가면서 조선 사회는 세도 정치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더불어 삼정의 문란 등으로 민생의 안정이 위협을 받게 되었고, 관료 사회의 부패는 정상적인 국가 정책의 집행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집권한 흥선 대원군은 과감한 개혁을 추진하였다. 중앙 집권적 정치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외척의 세도 정치를 일소하고 당쟁을 타파하며 군제를 정비하고 재정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조치를 취하였다. 특히 두 차례의 양요(洋擾)를 겪으면서 서양의 침략에 적극적인 대응책을 모색하던 과정에서 국방과 치안을 위한 관제 개정, 군제의 개편, 군사 시설의 확충과 경비의 강화, 군기의 정비와 실험 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지방의 실정 파악은 시급한 과제였다. 1871년(고종 8)에는 전국적으로 읍지(邑誌) 편찬 사업을 시작하였고 이듬해인 1872년(고종 9)에는 전국적인 차원의 지도 제작 사업을 추진하였다. 현재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는 조선 시대 관찬 지도 제작 사업의 마지막 성과로 평가되는 『1872년 지방지도』가 소장되어 있는데 총 459매이다.

[형태 및 구성]

능주목은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도곡면·도암면·춘양면·청풍면·이양면·한천면 일대에 해당한다. 능주목은 호남 정맥의 서쪽 사면에 있으면서 영산강의 상류인 지석강을 끼고 있다. 능주목의 진산은 읍치의 서쪽에 있는 운산이었고 읍치는 능주면 관영리 일원에 있었다.

지도는 당채를 많이 사용하여 색채감이 풍부하다. 산지는 산의 맥세를 강조하면서도 입체감 있게 표현하였다. 특히 ‘화순광치내룡(和順廣峙來龍)’이라 하는 것과 같이 산을 용(龍)으로 인식하는 풍수적 지형 인식이 강하게 배어 있다. 능주목 지역을 지나며 흐르는 하천은 영산강의 상류로서 영벽강(暎碧江)이라 불렸다. 마을의 서쪽 호암면(虎巖面)에는 천불 천탑으로 유명한 운주사(雲住寺)가 여러 탑의 모습과 함께 그려져 있다. 남쪽 도림면(道林面)의 쌍봉사(雙峰寺)에도 석탑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국보 제57호로 지정되어 있는 화순 쌍봉사 철감 선사탑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1872년 지방도』는 1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제작되어 수합되었기 때문에 통일적인 제작 원칙하에 체계적으로 그려지지는 못했다. 하지만 군현(郡縣) 지도뿐 만 아니라 영(營)·진보(鎭堡)·목장(牧場)·산성(山城) 등을 그린 지도까지 포함하고 있어서 한 시기에 제작되어 수합된 지방 지도로는 가장 많은 분량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전 시기의 지도보다 큰 규격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지도에 들어있는 정보량은 현재 남아 있는 다른 방안 지도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풍부한 편이다. 때문에 『1872년 지방지도』의 「능주목 지도」에서 근대 개항기 능주목에 대한 정보를 풍부하게 획득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http://kyu.snu.ac.kr/)
  • 국립 중앙 박물관(http://www.museum.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