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여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033
한자 鄭汝諧
이칭/별칭 중화(仲和),둔재(遯齋)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권수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450년연표보기 - 정여해 출생
활동 시기/일시 1480년 - 정여해 진사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487년 - 정여해 사헌부 지평 제수
활동 시기/일시 1498년 - 정여해 소초 작성
활동 시기/일시 1498년경 - 정여해 낙향, 은거
활동 시기/일시 1508년 - 정여해 해망단 건립
몰년 시기/일시 1530년연표보기 - 정여해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71년 - 정여해 해망단 배향
묘소|단소 정여해 묘소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덕곡리 이곡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해망 서원(海望書院)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대신리 904 지도보기
성격 문인·학자
성별
본관 하동(河東)
대표 관직|경력 사헌부 지평

[정의]

조선 전기 화순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중화(仲和), 호는 둔재(遯齋). 호참(戶參) 정인귀(鄭仁貴)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정지영(鄭之英)이며, 어머니는 신평인(新平人) 송침(宋鍼)의 딸이고, 부인은 죽산 안씨(竹山安氏) 안경지(安璟之)의 딸이다.

[활동 사항]

정여해(鄭汝諧)[1450~1530]는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 등과는 학문적으로 교유하며 격려하였다. 1480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삭주 교수(朔州敎授)를 지냈으며, 1487년(성종 18)에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에 제수되었으나 허명(虛名)으로 벼슬할 수 없다 하며 취임하지 않았다.

1498년에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날 때 신구소초(伸救疏草)를 지어서 순천의 김굉필(金宏弼) 배소(配所)에 가서 소초(疏草)를 보이니 김굉필이 손잡고 만류하며 소초를 불살랐다. 이때 통곡하고 돌아와 화순의 해망 산중(海望山中)에 정사(精舍)를 짓고 후진을 양성하는 일에 힘썼다.

1508년(중종 3)에는 김종직(金宗直), 김굉필(金宏弼), 정여창(鄭汝昌), 김일손(金馹孫) 등이 무오 사화와 갑자 사화로 인하여 참형을 당하게 되자 이들을 기리기 위하여 화순 해망 정사 뒤에 해망단(海望壇)을 만들고 향사하였다.

[학문과 저술]

문집으로는 『둔재집(遯齋集)』이 있다.

[묘소]

묘는 화순군 도곡면 덕곡리 이곡(耳谷)에 있다.

[상훈과 추모]

1871년에 전남 화순의 숭의사(崇義祠)에 김종직을 주벽(主壁)으로 하고, 김굉필·정여창·김일손(金馹孫)과 함께 배향(配享)되었다. 1979년에 해망 서원으로 확장되었다. 해망 서원화순군 춘양면 대신리에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김** 1508년(중종 3)에는 김종직(金宗直), 김굉필(金宏弼), 정여창(鄭汝昌), 김일손(金馹孫) <등> 무오 사화와 갑자 사화로 인하여 <희생된> 이들을 기리기 위하여 화순 해망 정사 뒤에 해망단(海望壇)을 만들고 향사하였다.
  • 답변
  • 디지털화순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께서는 해당 문장의 윤문을 요청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집필자의 서술 또한 말씀하신 문장과 동일한 의미이며 서술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기존 서술을 유지함을 알려드립니다. 의견 개진에 감사드립니다.
2019.11.0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