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1914 |
---|---|
한자 | 二月- |
이칭/별칭 | 중화절,머슴 날,이월 초하루,노비 날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
집필자 | 박종오 |
[정의]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이월 초하룻날 행하는 풍속.
[개설]
화순 지역에서는 2월 초하룻날이 되면 “머슴들이 썩은 사내끼[새끼줄]를 가지고 산에 목매달려 올라간다.”는 말이 있다. 이때부터가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날은 콩을 볶아 먹기도 하고, 노래기를 쫒는 등 다양한 풍속이 행해진다.
[연원 및 변천]
이월 초하루는 중화절이라 하여 임금이 대나무나 향나무로 만든 중화척(中和尺)이라는 자를 신하에게 내려주었으며 농사를 장려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날은 ‘머슴 날’이라고도 하는데, 본격적인 농사 일이 시작되는 시기임으로 머슴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날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하여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정월 보름날 세워 두었던 볏가릿대[禾竿]에서 벼이삭을 떨어서 흰떡을 만든다. …〈중략〉… 이 송편을 노비들에게 나이 수대로 먹인다. 그래서 이날을 속칭 노비 날[奴婢日]이라고 한다. 농사일이 이때부터 시작되므로 이렇게 노비들을 먹이는 것이라고 한다.”라고 그 기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절차]
이월 초하루에는 영등 할머니가 내려오는 날이라고 한다. 화순읍 연양리 양촌 마을에서는 2월 초하루 날 영등 할머니[영등 할매]가 내려오는 날이라고 여긴다. 이날 비가 내리면 ‘물 영등’이라 하고, 바람이 불면 ‘바람 영등’이라 한다. 초하루에 내려온 영등 할머니는 20일에 올라가는데, 영등 할머니가 내려와 있는 2월에는 빨래를 하지 않는다. 또한 영등 할머니가 내려와 있을 때는 울긋불긋한 색의 천을 만지지도 않고 집안에 들이지도 않는다. 춘양면 양곡리 단양 마을에서는 영등 할머니가 2월 초하루[하리드랫날]에 내려와서 20일에 올라간다고 하며, 영등 할머니가 내려올 때 비가 오면 ‘물 영등’, 바람이 불면 ‘바람 영등’이라고 한다. 아울러 2월 초승부터 영등 할머니가 내려와 있을 때는 잿물을 받아서 빨래를 하지 않는다. 정월 초승에도 역시 잿물을 받아서 빨래를 하지 않는다. 또한 2월에는 오색 천을 만지지도 말고 집으로 가져오지 말라고 하는데, 오색 천을 만지거나 집으로 가지고 들어오면 ‘눈에 피’가 온다고 한다. 이서면 야사리 용호 마을에서는 정월 그믐날 영등이 내려온다고 한다. 영등은 이날 내려와 2월 24일에 하늘로 올라가는데, 영등이 내려올 때 며느리를 데리고 오면 찹찹하고[비 오고], 딸을 데리고 내려오면 설렁거린다[바람 불고]고 한다. 비가 오면 ‘물 영등’이라 하고 바람이 불면 ‘바람 영등’이라 하며, 2월에 빨래를 하면 눈이 아프다고 하여 빨래를 하지 않는다. 또한 2월에는 무색천을 만져도 눈이 아프기 때문에 만지거나 집에 들이지도 않는다. 그래서 이를 피하기 위해 영등 달에는 농문을 열어둔다고 한다. 농문을 열어두면 눈병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한다.
이와 함께 이월 초하루에 날씨 점을 치기도 한다. 화순읍 연양리 양촌 마을에서는 좀생이별이 달과 가까이 가면 수일 내에 비가 온다고 예견한다. 춘양면 양곡리 단양 마을에서는 좀생이별과 달이 가깝게 가면 쉽게 비가 오고, 멀리 떨어져서 가면 비가 늦게 온다고 여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본격적으로 한 해의 농사가 시작되는 이월 초하루에는 일꾼들을 위해 음식을 장만하여 대접하면서 하루 쉬게 하는 날이다. 이날은 바람을 관장하는 신(神)인 ‘영등 할머니’가 내려오는 날이라고 한다. 때문에 한 해 우순풍조(雨順風調)를 기원하면서 빨래를 하지 않는 등 행동거지를 조심했고, 좀생이별을 보아 날씨를 점치는 등 한 해의 풍요를 기원하기 위한 다양한 풍속이 행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