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진도문화대전 > 진도향토문화백과 > 삶의 자취(문화유산) > 기록유산 > 고문헌
-
조선 말기 정만조가 진도 유배생활 중 쓴 시문을 모은 책. 무정 정만조(鄭萬朝)[1858~1936]는 1896년 진도에 유배와서 12년간 지냈다. 이 기간 동안 정만조는 『은파유필(恩波濡筆)』을 집필하였다. 『무정시고』는 정만조에게 사사받은 진도의 한 유생이 정만조의 시문만을 모아 필기해 둔 필사본이다. 모두 45쪽으로 되어 있다. 앞쪽에 ‘무정시고(茂亭詩稿)’라 쓰여 있고 ‘소산...
-
조선 후기의 화가 소치 허련이 쓴 글을 모은 책. 화가 허련(許鍊)[1809~1893]의 자필 기록인 『운림잡저(雲林雜著)』·『운림수록(雲林隨錄)』·『운림묵록(雲林墨錄)』 등의 여러 기록을 모아 만든 책이다. 1843년 이후 서울 생활을 청산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운림산방에 기거하면서 썼다. 『소치실록』에는 진도의 풍광과 함께 여러 인물들과 교류한 내용이 들어있다. 허련은 당대의 고...
-
조선 후기 유와(牖窩) 김이익(金履翼)이 저술한 예의범절 지침서. 『순칭록(循稱錄)』은 1800년에 전라남도 진도에 유배되어 적거하던 김이익이 문하생 후옥(厚玉) 박진종(朴震琮)[1758~1834]의 요청으로 간행한 책이다.『순칭록』은 진도의 낙후된 예의범절의 지침서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간행되었다. 그 후 진도지역의 문장가인 강재(康齋) 박진원(朴晋原)[1860~1932]...
-
조선 말기 진도의 풍속에 대해 쓴 책. 무정(茂亭) 정만조(鄭萬朝)는 궁내부참의관 시절 명성황후가 시해당하고 이에 관계되었다는 혐의로 1896년 진도 금갑도(金甲島)에 유배되어 1907년까지 12년간 진도에서 생활하였다. 이 기간 동안 정만조는 진도에서의 생활을 기록하였다. 일기체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책에는 진도의 독특한 풍속들이 기록되어 그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강강...
-
조선 후기 영국인 바실 홀이 쓴 조선 견문기. 영국 정부는 청나라와의 무역 관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절단을 파견하기로 하였다. 암 허스트 사절단을 수행한 파이어호 함장 바실 홀(Basil hall) 대령은 주함 알세스트호를 이끈 머리 맥스웰(Murray Maxwell) 함장과 함께 1816년 2월 19일 영국을 출항하여 7월 27일 목적지인 천진 항에 도착하였다. 천진에서 북경으로...
-
조선 후기 진도군 향청(鄕廳)의 업무를 기록한 자료. 1796년(정조 20)부터 1808년(순조 8)까지 12년간 진도군 향청이 처리한 업무에 대한 자료이다. 진도군 군내면 김진용(金珍龍)이 소장 중인 것을 1992년 진도문화원이 『진도향토사자료』제1집 영인본으로 간행했다. 조선 후기 향청은 향임(鄕任)과 향리(鄕吏)의 이원화된 군 행정기구의 하나였다. 이런 특징을 가진 향청이 업...
-
1871년 간행한 진도의 현황이 기록된 읍지. 『전라남도 진도부읍지』는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소장하고 있다. 진도부로 승격된 진도의 당시 현황을 조사하여 기록한 읍지로 1871년 10월에 제작되었다. 관속(官屬), 호구(戶口), 물산(物産), 교량(橋梁), 누대(樓臺), 진공(進貢), 봉수별장, 연대군(烟臺軍)·수군·목장의 목자(牧子)등에 관한 자료가 실려 있다. 관속(官屬)란에는...
-
1923년 간행한『진도읍지』의 증보편.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지동리(池洞里)에 사는 김종열(金鍾烈) 인쇄본이다. 당시 판매 가격은 3원이었다. 1923년 4월 전라남도 나주에 있던 도지간행소(道誌刊行所)에서 간행하였다.『중증진도읍지』 간행의 도유사는 박진원(朴晉遠)이 맡았고, 교정은 소양삼(蘇良三)·박봉우(朴鳳瑀)가 맡았다. 당시 이 읍지를 중증이라 함은 김몽규의 『옥주지』 발간...
-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진도의 현황이 기록된 읍지. 1791년 간행한『전라도읍지』를 보면 전라도 내 군 기록을 모두 읍지(邑誌)라는 항목에서 다루고 있다. 1871년 간행한『전라남도 진도부읍지(全羅南道 珍島府邑誌)』에서도 진도부읍지라 했고『호남읍지』류도 모두 읍지라 했다. 특히 일제강점기 중기인 1923년에 간행한 군지도『중증진도읍지(重增珍島邑誌)』라 하였다. 다만『진도읍지』의 서문...
-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선무원종공신들에게 발급한 증서. 선무원종공신록은 1592년부터 1598년까지의 7년에 걸친 임진왜란 중 나라에 공헌한 자를 선조(宣祖)가 도승지 신흠(申欽)을 시켜 공신도감(功臣都監)에서 발급했으며 3등까지의 명단과 신분이 기록되어 있다. 1604년 선정의 선무공신(宣武功臣)이 1,2,3등 전체 18명에 불과해, 이듬해 재정리하여 공헌자 9,060명을 녹훈한...
-
조선 전기 『세종실록』에 실려 있는 전국 지리지의 해남·진도 항목. 세종은 1424년(세종 6) 지지(地誌) 및 주·부·군·현의 연혁을 편찬할 것을 명하였고, 8년 뒤인 1432년(세종 14)에 『신찬팔도지리지』가 완성되었다. 다시 22년이 지난 1454년(단종 2)에 『신찬팔도지리지』가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제148권에서 제155권에 실리게 되었다. 전라도 해진군조...
-
조선 후기에 간행된 『여지도서』의 진도군에 관한 항목. 1757년(영조 33) 홍양한(洪良漢)이 제안하여 왕명에 따라 홍문관에서 팔도 감사에게 명을 내려 각 읍에서 읍지를 올려 보내도록 하여 1765년(영조 41)까지 편찬을 완료하였다. 대부분 읍지의 호구조의 기준 연도가 1759년인 점으로 볼 때, 1760년 이후에 수집된 읍지들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여지도서』의 편찬...
-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교동리에 있는 청룡사 소장의 불교전적. 청룡사 소장 불교전적은 2002년에 주지로 부임한 도훈(정한종) 스님이 1960년대에 대흥사로 출가하여 경전 공부를 할 때 은사 스님(청우 양경운)과 강사 스님(김종환)으로부터 전해 받은 것들과 은사 스님 밑에서 함께 수학했던 사람들로부터 보존을 위해 전래받았거나 해남 진학사 창건주의 유품들로 전하는 것들이다. 청룡사(...
-
농악 관련 자료집. 1964년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옥연리에 사는 김수영이 농악대 설쇠인 박정규의 구술을 기록한 책이다. 진도군 향토사료 영인본 2집에도 들어 있는 내용으로, 다른 마을로 걸립을 갈 때 알아야 할 사항들을 적은 것이다. 진도읍에 사는 박복남이 소장하고 있다. 1984년 해남문화원이 복원한 해남의 ‘서산대사 진법군고’는 구전을 중심으로 재현했다가 1991년 『서산대...
-
소포농악단이 다른 동네에 걸군하는 순서를 적은 문서.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전 농악대 집사 차근현(車根炫)이 가지고 있는 2장 짜리 기록이다. 차근현은 이 악보가 구한말 소포농악 설쇠였던 주창계가 가지고 있던 것이라고 구술하였다. 소포 농악단이 다른 동네에 걸군갈 때 순서를 적고 있다. 동네 입구에서의 문잽이 대화법, 동네로 들어가서의 원진법 그리고 마당놀이 원진법 등이 기술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