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700249 |
---|---|
한자 | 道禾洞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필성 |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도화동은 원래 베말, 일명 쑥골, 도마다리라 불렸다. 1903년 8월 인천부가 동 이름을 확정할 때 화동(禾洞)과 도마교리(道馬橋里)라고 이름하였다. 화동이란 벼 마을을 뜻하며, 도마교리란 경인 도로가 개설될 때 말이 지나 다니는 다리 마을이라는 뜻이다. 도화리(道禾里)란 도마교리의 ‘도’ 자와 화동이란 ‘화’ 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1910년에 인천부 다소면 매동, 옥정동, 화동[숙달], 상도마동[윗도마 다리], 하도마동[아랫도마 다리] 등 5개 동을 통합하여 도화리라 하였는데, 1914년에 부, 군, 면 폐합으로 부천군 다주면 도화리가 되었다가 1936년 인천부의 구역에 편입되는 동시에 인천부 앵정으로 개칭되었다.
1946년 1월 1일에 동명 개칭에 따라 인천부 도화동이 되었으며, 1956년 10월 1일에 인천시 도화동에서 인천시 도화 1동과 인천시 도화 2동이 분동되었다. 1968년 구제 실시로 인천시 남구 도화 2동으로 개편되었다. 1970년 1월 1일에 인천시 남구 도화 2동에서 인천시 남구 도화2 서부동과 인천시 남구 도화2 동부동으로 분리되었다. 1977년 5월 10일에 인천시 남구 도화2 동부동은 인천시 남구 도화 2동으로, 인천시 남구 도화2 서부동은 인천시 남구 도화 3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1년 9월 1일 인천시가 인천직할시로 승격됨에 따라 인천직할시 남구 도화 1동, 도화 2동, 도화 3동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1월 1일 지방 자치법의 개정에 따라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 1동, 도화 2동, 도화 3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9년 2월 1일 인천광역시 남구의 조례가 개정됨에 따라 도화 2동과 도화 3동이 도화 2·3동으로 통합되었다. 2018년 7월 1일 「인천광역시 남구 명칭 변경에 관한 법률」 에 의거, 남구 명칭이 미추홀구로 변경됨에 따라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이 되었다.
[현황]
도화동의 면적은 3.85㎢[도화 1동 0.92㎢, 도화 2·3동 2.93㎢]이며, 2018년 8월 31일 현재 2만 2107가구[도화 1동 1만 600가구, 도화 2·3동 1만 1507가구], 5만 716명[도화 1동 2만 3638명, 도화 2·3동 2만 7078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동쪽 경계선으로 경인 고속도로가 지나고, 남쪽의 도화 1동과 도화 2·3동 경계선에 경인선 철도가 지나간다. 도화 1동에 도화 나들목이 있어 고속도로 진입이 용이하다. 남동쪽 지역엔 도화역, 남서쪽 지역엔 제물포역이 위치하여 철도 이용도 용이하다.
인천 대학교가 있었으나 2009년 9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의 송도 국제도시로 이전하였다. 도화역 주변에는 주택지로 단독 주택 및 아파트들이 들어서 있고, 대화 초등학교의 북쪽[옛 도화 3동 지역]으로는 준공업 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출퇴근 시간에는 도화 5거리 주변의 정체가 심각하다. 도화동 남쪽에 있는 수봉산[107.2m]에는 수봉암, 청룡사, 연화사 등의 사찰과 인천광역시 시내를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인 우강정 등이 있다.
법정동인 도화동은 행정동인 도화 1동과 도화 2·3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화 1동에는 수봉 근린공원, 도화동 아파트 등이 있다. 도화 2·3동에는 청운 대학교 인천 캠퍼스 등 교육 기관이 있다. 인천 지방 산업 단지가 조성되어 기업체의 공장들이 많고, 인천광역시 의료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