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600002
영어음역 gogae
영어의미역 pass
이칭/별칭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고기만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지역에 분포하는 산등성이와 봉우리 사이가 낮은 지형 형태.

[개설]

남원의 지형은 중앙을 경계로 서쪽은 침식분지 형태의 남원~오수·보절 평야와 그 서쪽의 규암산지이다. 동쪽은 고원상 분지인 운봉~아영·인월 고원과 그 남동쪽의 지리산지로 구분이 된다.

이와 같은 분지상의 지형이나 고원상 분지에는 분지벽의 안부를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는 주요 고개들이 있다. 요천 쪽의 남원평야와 아영·인월~운봉고원 사이에도 분지벽의 안부에 고개가 있다.

지리산지에도 산등성이의 안부에 고개들이 있다. 고개에는 전설과 그 지역의 지명과 관련된 명칭이 붙어 있다. 고개와 관련된 지명으로는 고개·재·티·치·개 등이 있다.

[현황]

요천 쪽의 남원평야와 아영면인월면~운봉고원 사이에 있는 분지벽의 고개로는 다리재(850m, 장수군 번암면 동화리~아영면 구상리), 꼬부랑재(665m, 장수군 번암면~아영면 성리), 복성이재(545m, 장수군 번암면 논곡리~아영면 성리, 지방도 751호), 새맥이재(560m, 장수군 번암면 논곡리~아영면 아곡리) 등이 있다.

이외에도 사치재(515m, 장수군 번암면 유정리~아영면 아곡리, 광주 대구 고속 도로), 유치재(460m, 장수군 번암면 유정리~운봉읍 매요리, 지방도 743호), 통안재(670m, 산동면 월석리~운봉읍 권포리), 장치(505m, 이백면 양가리~운봉읍 장교리), 여원재(연재, 485m, 이백면 양가리~운봉읍 장교리, 국도 24호), 갓바래재(545m, 이백면 과립리~운봉읍 행정리) 등이 있다.

이러한 고개들은 모두 다 요천 쪽은 급경사이지만 운봉분지나 아영면인월면 쪽은 경사가 거의 없이 완만하다. 주천면 덕치리운봉읍 주촌리 사이의 지방도 60호선은 운봉분지의 곡중분수계로서 백두대간이 된다.

인월면과 함양군 사이에 있는 고개로는 매치(430m, 아영면 의지리~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광주 대구 고속 도로, 지방도 37호), 진양치(565m, 인월면 유곡리~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오천리), 곰실재(755m, 인월면 유곡리~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오천리), 팔량치(470m, 인월면 성산리~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죽림리, 국도 24호) 등이 있다.

이러한 고개들은 해발고도 430m 내외의 아영면인월면의 300m 내외의 함양을 연결하기 때문에 함양 쪽은 경사가 급하고 아영·인월 쪽은 경사가 완만하다.

운봉분지와 아영면과 인월분지 사이에는 황산 옆에 명석재(510m, 운봉읍 가산리~아영면 봉대리)가 있다.

운봉고원산내면 사이에 있는 고개로는 팔랑치(1,010m, 운봉읍 용산리~산내면 내령리), 부운치(1,070m, 운봉읍 공안리~산내면 부운리), 세동치(1,110m, 운봉읍 공안리~산내면 부운리), 정령치(1,172m, 산내면 덕동리~주천면 고기리, 지리산횡단도로인 지방도 737호) 등이 있다.

정령치 도로는 달궁 삼거리에서 지방도 861호선과 만나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의 성삼재[1,090m]를 넘어 구례읍에 연결되며, 지리산 횡단도로를 구성한다. 북사면을 지나는 부분이 많아서 겨울철 적설 기간에는 자동차 통행이 불가능하다.

도경계 역할을 하는 지리산지의 고개로는 등구재(645m, 산내면 중황리~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창원리), 영원령(1,320, 산내면 부운리~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 다름재(1,000m, 주천면 고기리~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위안리), 숙성재(518m, 주천면 용궁리~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계천리), 밤재(495m, 주천면 배덕리~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계척리) 등이 있다.

숙성재와 밤재 사이에는 두 개의 밤재터널을 통해 국도 19호선이 지난다. 밤재터널은 편도 2차로의 신밤재터널(상행선, 표고 300m, 길이 1,510m)과 밤재터널(하행선, 표고 340m, 길이 800m)이 있어서 상·하행선의 터널이 다르다. 전주와 전라남도 순천~광양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간선도로 역할을 하며, 남원~순천 간 산업도로가 된다.

보절면갈치동 사이에는 지방도 721호선이 갈치[210m]를 통과한다. 사매면광치동 사이에는 국도 17호선이 뒷밤재[240m]를 지나지만 현재는 춘향터널을 지나게 된다. 이러한 고개들은 남원에서 임실~진안~장수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의 역할을 한다.

산동면이백면 사이에는 까막재[280m]가 있다. 대강면주생면 사이에는 국도 24호선이 비홍치[240m]를 지나며, 곰재[310m] 아래 남원터널(표고 192m, 길이 785m)을 통하여 광주 대구 고속 도로가 지난다. 보절면과 장수군 산서면 사이에는 지방도 721호선이 약샘고개[180m]를 넘는다. 산동면과 장수군 번암면 사이에는 북치재[470m]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