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600525
영어음역 jebi
영어의미역 swallow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기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명 Hirundo rustica
생물학적 분류 동물 〉척추동물문 〉포유강 〉참새목 〉제비과
원산지 유럽|아시아|북아메리카
서식지 시가지|농촌
몸길이 약 18㎝
새끼(알) 낳는 시기 4월 하순~7월 하순
수명 9년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제비과에 속한 새.

[개설]

우리나라에서는 3월 3일 날 왔다가 9월 9일 날 떠나간다는 길조로 흔한 여름새이다. 『흥부전』에 나오는 은혜갚는 제비로 알려졌고, 남원을 상징하는 새이기도 하다.

[형태]

몸길이 약 18㎝이다. 몸의 윗면은 푸른빛이 도는 검정색이고 이마와 멱은 어두운 붉은 갈색, 나머지 아랫면은 크림색을 띤 흰색이다. 꼬리 깃에는 흰색 얼룩무늬가 있다. 어린 새는 긴 꼬리 깃이 다 자란 새보다 짧으며 전체적으로 색이 희미하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제비는 음력 9월 9일 중양절에 강남에 갔다가 3월 3일 삼짇날에 돌아오는데, 이와 같이 수가 겹치는 날에 갔다가 수가 겹치는 날에 돌아오는 새라고 해서 민간에서는 감각과 신경이 예민하고 총명한 영물로 인식하고 길조로 여겨왔다.

집에 제비가 들어와 보금자리를 트는 것은 좋은 일이 생길 조짐으로 믿었으며 지붕 아래 안쪽으로 들어와 둥지를 지을수록 좋다고 본 것은 그만큼 사람들이 제비에게서 친밀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제비가 새끼를 많이 치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경상북도 안동 연비사(燕飛寺)에 있는 제비원에는 와공(瓦工)이 지붕에서 떨어져 몸은 산산조각이 나고 혼은 제비가 되어 날아갔다는 전설이 전한다.

『흥부전』에서는 제비가 ‘은혜를 갚는 제비’와 ‘구원을 받는 제비’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나타난다. 은혜를 갚는 제비는 하늘의 심부름꾼을 뜻하고, 구원을 받는 제비는 지친 몸을 의지할 곳을 찾아다니는 힘없는 민중을 상징한다.

[생태 및 사육법]

이동할 때나 번식기에는 단독 또는 암수 함께 살다가 번식이 끝나면 가족과 함께 무리를 짓는다. 둥지 재료를 얻기 위해 땅에 내려앉는 것 외에는 거의 땅에 내리지 않는다.

날 때는 날개를 퍼덕이거나 기류를 타고 신속하게 나는데, 날아다니는 곤충을 잡아먹고 땅 위에 있는 먹이도 날면서 잡아먹는다. 높이 날다가 땅 위를 스치듯이 날기도 하며 급강하와 급선회를 반복하면서 원을 그리듯이 날아오를 때도 있다.

번식이 끝난 6월부터 10월 상순까지 평지 갈대밭에 잠자리를 마련하고 해가 질 무렵 수천 마리에서 수만 마리씩 떼 지어 모여든다. 빠른 속도로 지저귀며 전선에 앉거나 날아다니면서 운다. 경계할 때는 울음소리가 날카롭다.

건물이나 교량의 틈새에 둥지를 트는데, 보통 한 집에 1개의 둥지를 짓고 매년 같은 둥지를 고쳐서 사용한다. 귀소성이 강해서 여러 해 동안 같은 지방에 돌아오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경희대학교 조류연구소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어미 새는 약 5%, 새끼는 약 1%가 같은 장소로 돌아온다.

4월 하순~7월 하순에 3~5개의 알을 낳아 13~18일 동안 품고 부화한 지 20~24일이면 둥지를 떠난다. 먹이는 파리·딱정벌레·매미·날도래·하루살이·벌·잠자리 등 날아다니는 곤충을 잡아먹는다. 유럽·아시아 및 북아메리카 전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동남아시아·뉴기니 섬·오스트레일리아·남태평양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

[현황]

제비는 우리나라 전역에 번식하는 대표적인 여름새로 봄철이면 인가의 처마 밑에 둥지를 만들고 알을 낳아 새끼를 부화해서 가을이면 남쪽나라로 떠나는 철새다. 요즘은 환경오염과 농약의 과다사용으로 보기 어려운 새가되고 있다.

제비는 성공, 번영, 풍요, 행운, 보은을 상징하는 「흥부전」의 모티브이다. 『흥부전』의 발상지가 남원이기 때문에 남원시에서는 남원을 대표하는 새로 지정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