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600767 |
---|---|
한자 | 飛鴻山城 |
영어음역 | Suhongrisanseong |
영어의미역 | Suhongrisanseong Fortress |
이칭/별칭 | 비홍산성(飛鴻山城),할미성,고성,합미성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내동리 산 57-2 |
시대 | 고대/삼국 시대 |
집필자 | 김진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0년 12월 29일 - 비홍산성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74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비홍산성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성격 | 성곽 |
양식 | 산성|포곡식 |
건립시기/연도 | 삼국시대 |
(잔존)높이 | 6m |
소재지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생면 내동리 산 57-2 |
문화재 지정 번호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내동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
[위치]
유적은 비홍재와 곰재를 잇는 산줄기에 위치한다. 성의 북면은 주생면과 대강면의 경계인 비홍치 정상에서 산능선으로 문덕봉을 향하여 50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시작된다.
[형태]
비홍산성은 포곡식 산성이며, 적당히 치석한 가공석을 이용하여 성벽의 내·외면을 맞추고 그 안쪽에는 할석을 채웠다. 내탁법으로 쌓아 올린 성벽 중 6m 정도의 높이가 남아 있는 곳도 있으며, 윗면의 폭은 약 4.7m 내외이다. 성 안에는 망루터와 건물 유구도 보인다. 유물은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용성지(龍城誌)』 고적편에는 이 성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이 성은 자성방(者省坊) 비홍산(飛鴻山) 아래 기슭에 있고, 고성(姑城)이라 하며, 성 안에 우물을 파서 감천(甘泉)이 솟아나는데 고정(姑井)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비홍산성은 출토 유물로 보아 삼국시대에 축성된 산성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그 구조와 성격을 명확히 파악할 수 없다. 성벽의 축조 방식과 출토 유물 등을 고려해 볼 때, 남원에서 확인된 척문리 산성·교룡 산성·아막성 등 삼국시대 산성과 비교할 수 있는 자료로 판단된다.
이 산성과 관련된 이야기가 『용성지』에 전한다. 순창 양(楊)씨 집안의 이씨 성을 가진 할머니가 고려 때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치마폭으로 돌을 가져다 쌓은 성이라서 ‘할미성’이란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또한 군대 식량으로 쓰일 군량미를 창고에 모으고 합하여 둔 곳이라는 의미에서 합미성(合米城)이 할미성으로 와전되었다는 설이 있다. 2000년 12월 29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7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